[정보] 공격대를 위해 아이템과 유물력을 얻자, 만레벨 이후 스펙 올리는 7가지 방법

게임뉴스 | 송원기 기자 | 댓글: 58개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는 만레벨을 찍고 나면 대개 공격대에 참여하기 위해 자신의 스펙을 올리곤 합니다. 그래서 만레벨 유저들은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파밍을 하고, 캐릭터에게 필요하거나 중요한 것을 놓치지 않기 위해 노력합니다.

확장팩 군단 베타 서버 기준으로 첫 공격대인 에메랄드의 악몽 공격대 찾기에 참가하려면 825이상의 아이템 레벨을 맞춰야 합니다. 만레벨을 달성한 직후 유저의 아이템 레벨은 대략 780~790 사이로, 공격대 참여를 위해선 40레벨 가량을 올려야 하죠.

이외에 캐릭터를 강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 생긴 시스템인 '유물 무기'의 특성도 올려야 합니다. 유물 무기의 특성은 대개 스킬을 강화시키거나 조건부로 캐릭터의 능력치를 올려줍니다. 이를 올리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유물력을 모아야 합니다.

이렇게 캐릭터의 스펙을 올리기 위해서는 아이템 레벨과 유물력 두 가지를 챙겨야 합니다. 이를 위해 해야 할 일로 유물 지식 연구, 직업 연맹 대장정 완료, 전역 퀘스트와 수라마르 지역 퀘스트 진행, 야외 우두머리 처치와 영웅 및 신화 던전 도전 등이 있습니다.



▲ 유물 무기의 특성을 올리면 스킬의 공격력이 올라가기도 한다




만레벨 이후 스펙 올리는 7가지 방법 (각 항목을 선택하시면 해당 정보로 빠르게 이동합니다.)



전당에서 유물 지식 연구를 하고 유물력 획득량을 증가시키자



직업 연맹 대장정을 완료하여 세 번째 성물 홈을 활성화하자



전역 퀘스트를 수행하면 장비, 유물력 부여 아이템, 유물 성물 등을 얻을 수 있다



수라마르 퀘스트를 통해 전역 퀘스트의 양을 늘리고, 던전과 공격대 참여 자격을 얻자



야외 우두머리를 처치하면 '에메랄드의 악몽'과 비슷한 수준의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난이도는 일반 → 영웅 → 신화 순, 아이템 파밍의 기본이 되는 던전



전문기술으로 제작을 하거나, 평판 사절단, 직업 전당에서 좋은 장비 아이템을 구입하자





■ 전당에서 유물 지식 연구를 하고 유물력 획득량을 증가시키자


유물력을 모으게 되면 유물 무기의 새로운 특성이 열리거나, 기존의 특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됩니다. 특성은 공격력이나 치유량이 증가하는 간단한 효과부터 생존 기술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2분에서 1분 30초로 줄여주는 등의 강력한 효과를 지니고 있어 스펙을 올리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유물력은 각종 퀘스트를 수행하거나 던전 클리어, 전장 참여 등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이때 '유물 지식 연구'를 진행하면 한 번에 얻을 수 있는 유물력의 양이 늘어나게 됩니다. 유물 무기 특성이 개방될 때마다 다음 유물 무기 특성 선택에 필요한 유물력이 크게 증가하므로, 유물 지식 연구는 필수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물 지식은 직업 전당에서 연구할 수 있습니다. 직업 전당에 있는 유물 지식 담당 연구원에게 '연맹 자원' 500을 투자하면 일정 시간 뒤에 유물 지식 두루마리가 생성되죠. 이것을 사용하면 유물 지식 레벨이 오르고, 획득하는 유물력의 양이 영구적으로 증가하게 됩니다.

유물 지식 연구는 만레벨부터 가능하고 연구에 1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만레벨이 되면 바로 직업 전당으로 이동하여 연구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 플레이어와 함께 성장하는 유물 무기! 어떻게 강화할 수 있나? [바로가기]



▲ 유물 연구 기록을 생산하여 사용하면, 유물력 획득량이 증가하게 된다







■ 직업 연맹 대장정을 완료하여 세 번째 성물 홈을 활성화하자


직업 연맹 대장정은 각 직업의 전당에서 받을 수 있는 퀘스트입니다. 이를 진행하면 직업 전당을 누가 추종하는지, 추종하는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이보다 중요한 것은 완료한 뒤에 얻는 보상으로, 대장정을 모두 완료하면 유물 무기의 세 번째 성물 홈을 활성화할 수 있고 그곳에 성물을 넣을 수 있게 됩니다. 유물 무기는 성물을 홈에 넣어야만 아이템 레벨이 올라가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무기 레벨을 올리기 위해선 반드시 대장정을 완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퀘스트는 레벨업을 하는 중에도 할 수 있지만, 계속 전당을 왔다 갔다 하는 과정이 레벨업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전당 안에서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만레벨을 달성한 뒤에 하는 것이 좋은 편입니다.



▲ 연맹 대장정을 완료하는 주 목적은 세 번째 성물 홈을 개방하는 것







■ 전역 퀘스트를 수행하면 장비, 유물력 부여 아이템, 유물 성물 등을 얻을 수 있다


전역 퀘스트는 만레벨이 된 뒤 부서진 섬 다섯 지역의 평판을 모두 약간 우호적 이상으로 만드는 선행 퀘스트 '부서진 섬 통일'을 완료하면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퀘스트와 달리 지도에서 수행 위치와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야외나 던전에서 특정 몬스터를 처치하거나 전문 기술로 아이템을 모아 전달하고 PvP를 하는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완료 시 보상으로 유물력 부여, 유물 성물, 장비 아이템, 제작 재료, 연맹 자원, 골드 등을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유물 관련 아이템과 장비, 연맹 자원의 경우, 던전 진행 등 다른 방법에 비해 쉽게 얻을 수 있죠.

이 중 장비 아이템은 현재 자신이 착용한 장비의 아이템 레벨보다 높은 레벨의 아이템을 보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보상으로 받는 아이템의 레벨이 최소 805가 넘는다는 점은 만레벨이 된 직후 장비를 파밍하는데 가장 도움이 되는 편입니다.

☞ 유물력과 장비를 손쉽게 얻는다! 만레벨부터 수행 가능한 '전역 퀘스트' [바로가기]



▲ 장비를 파밍할 때는 전역 퀘스트를 먼저 둘러보는 것이 좋다







■ 수라마르 퀘스트를 통해 전역 퀘스트의 양을 늘리고, 던전과 공격대 참여 자격을 얻자


수라마르는 만레벨부터 입성하게 되는 지역입니다. 이곳에 있는 퀘스트는 레벨업보다는 장비 아이템이나 유물력 획득, 전역 퀘스트 개수 늘리기, 수라마르 신화 던전 및 공격대 참여 자격을 얻기 위해 진행하게 됩니다.

수라마르 지역에 발생하는 전역 퀘스트의 경우 선행 퀘스트만을 완료한 상황이라면 4~5개 정도만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다른 지역에 발생하는 것에 비해 절반 정도밖에 안되는 양으로, 수라마르 지역 퀘스트를 진행하여 전역 퀘스트의 개수를 늘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이 지역에는 던전 '비전로'와 '별의 궁정' 그리고 공격대 '밤의 요새'가 있는데, 이곳은 모두 수라마르 지역 평판인 나이트폴른을 우호적 이상으로 올려야 입장할 수 있습니다. 이 중 비전로는 8,000, 별의 궁정은 12,000의 평판이 필요하므로 퀘스트를 꾸준히 진행하여 평판을 올려놓는 것이 좋습니다.

☞ 샬아란으로부터 시작되는 나이트폴른의 이야기, '수라마르' 지역 퀘스트 [바로가기]



▲ 수라마르의 지역 퀘스트를 수행하여 전역 퀘스트의 양을 늘려주자







■ 야외 우두머리를 처치하면 '에메랄드의 악몽'과 비슷한 수준의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군단의 주무대인 부서진 섬의 다섯 지역에는 총 11마리의 야외 우두머리 몬스터가 등장합니다. 이들은 만레벨 기준 해골 레벨로 보이며, 여러 플레이어와 함께 공격대를 구성하고 도전하는 것이 좋은 편입니다.

야외 우두머리가 드롭하는 아이템은 860레벨로, 첫 공격대인 '에메랄드의 악몽' 일반(850레벨), 영웅(865레벨) 난이도의 아이템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따라서 야외 우두머리에게 아이템을 획득해 놓으면, 아이템 레벨이 크게 올라 에메랄드의 악몽을 도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 편이죠.

야외 우두머리는 각자 다른 부위의 장비를 드롭하므로 자신이 원하는 부위를 파악하여 처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들은 전역 퀘스트 중 보라색의 정예 퀘스트와 함께 등장하므로, 처치하면 정예 퀘스트 보상도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

☞ 860레벨의 아이템 획득 가능! 군단 야외 우두머리 위치 및 드롭 아이템 [바로가기]



▲ 군단의 야외 우두머리 중 하나인 레반투스의 모습







■ 난이도는 일반 → 영웅 → 신화 순, 아이템 파밍의 기본이 되는 던전


아이템 파밍의 주요 장소인 던전은 부서진 섬 내에 총 10곳이 존재합니다. 이 중 8곳은 일반, 영웅, 신화 난이도를 모두 도전할 수 있고, 수라마르에 있는 '비전로'와 '별의 궁정'은 신화 난이도만 가능합니다.

영웅 난이도는 캐릭터 레벨 제한 110, 아이템 레벨 제한 810을 가지고 있고, 신화 난이도는 영웅에 비해 조금 더 어려운 난이도로, 보통 일반 → 영웅 → 신화 순으로 장비를 모두 파밍한 뒤 넘어가는 편입니다. 난이도마다 얻을 수 있는 아이템 레벨은 만레벨 기준 일반 810, 영웅 825, 신화 840으로, 어려워질수록 보상 아이템의 레벨도 증가합니다.

그리고 신화 던전에는 추후 쐐기돌 시스템이 추가될 예정으로, 난이도는 더 어려워지는 만큼 높은 레벨의 아이템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만레벨이 되면 일반 던전과 전역 퀘스트 등으로 아이템 레벨을 810 이상으로 올린 뒤, 영웅, 신화, 신화 쐐기돌 순으로 도전하여 파밍하는 것이 좋은 편이죠.

추가로 신화 던전에 도전할 때는 달라란 보랏빛 요새에서 '부서진 운명의 인장'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아이템은 신화 던전과 공격대, 야외의 우두머리에게서 아이템 추가 획득 기회를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죠. 단, 기회를 얻는다고 해서 무조건 아이템을 획득하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부서진 운명의 인장은 보랏빛 요새에 있는 '대마법사 랜달록'에게 연맹 자원이나 골드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인장은 매주 세 개씩만 획득할 수 있고, 구입할 때마다 가격이 올라 각각 1,000/2,000/4,000골드나 연맹 자원이 필요합니다.



▲ 드롭 확률이 0%만 아니라면.. 인장을 사용하여 추가 획득을 노려볼 수 있다







■ 전문기술으로 제작을 하거나, 평판 사절단, 직업 전당에서 좋은 장비 아이템을 구입하자


위의 방법들 외에도 전문기술로 제작을 하거나 평판 사절단, 직업 전당에서 조건부 구입으로 아이템을 맞출 수 있습니다.

제작 아이템의 경우 각 전문기술의 퀘스트를 수행하거나 특정 NPC에게서 도안을 구입한 뒤 제작할 수 있습니다. 110레벨에 착용할 수 있는 아이템 레벨은 815이고, 달라란에서 퀘스트를 진행한 뒤 제작할 수 있는 '소멸석'으로 850레벨까지 올릴 수 있습니다.

평판 사절단은 각 지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우호적이나 매우 우호적 평판부터 820레벨 이상의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평판은 지역 퀘스트나 전역 퀘스트 4개를 수행해야 되는 사절단 퀘스트를 진행하여 올릴 수 있습니다.

직업 전당에서도 특정 조건을 완료하면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게 됩니다. 전당에서 판매하는 아이템은 세트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 손목, 허리는 810레벨, 장갑, 다리는 820레벨, 가슴은 830레벨, 신발은 840레벨, 어깨는 850레벨로 부위마다 레벨이 다릅니다. 이 아이템들은 부위별로 구입 조건이 있어, 자신에게 필요한 아이템에 맞춰 조건을 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당에서는 이외에도 '방어구 강화도구'라는 것을 연맹 자원으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강화도구는 전당에서 구입한 아이템에만 사용 가능하고, 사용된 아이템의 레벨을 일정 수치만큼 올려주는 역할을 하죠. 도구는 세 종류로 각각 '810 → 820레벨', '820 → 830레벨', '830 → 840레벨'로 올려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 사제의 직업 전당에서 판매하는 아이템,
다른 직업 전당에서도 같은 등급의 아이템을 판매한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6 7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