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e스포츠 활성화, 동반성장이 필요하다"

게임뉴스 | 이두현 기자 |



12일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조현래)이 발간한 지역 e스포츠 경기장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주요 e스포츠 경기장 가동률이 40% 내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 대회로만 한정하면 10%대로 낮아진다. 지역 e스포츠 문화 활성화를 위한 정부, 국회, 게임사 관심이 요구됐다.

부산 e스포츠 경기장 관계자는 "현재 대회 유치는 지역 간 예산 경쟁이 되기 쉬운 구조, 지역예산이 없다면 큰 대회 유치가 불가능하고, 이 경우 이득을 보는 것은 시민이 아닌 종목사여서 단순 대회 건수를 비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라고 의견을 냈다. 현재 e스포츠 산업 시스템은 최종 수혜자가 시민이 아닌 게임사라는 한계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e스포츠 경기장은 부산, 광주, 대전 세 곳이 가동 중이고 경남과 충남 두 곳이 더 지어지고 있다. 정부는 초기 단계인 지역 e스포츠 산업 활성화를 위해 기반 조성에 집중하고 있다.

연구진은 신규 e스포츠 종목과 경기장 간 동반성장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관련해 '이터널 리턴'이 대전 e스포츠 경기장과 MOU를 맺어 지역 대표 e스포츠라는 브랜드를 만드는 과정이 좋은 사례로 꼽혔다.

보고서에는 △온라인 시청 기반의 e스포츠 특성, △충분치 않은 예산, △초기단계의 e스포츠 산업 성숙도 등의 여건으로 인해 인기 프로 종목 대회 유치 한계, △행사 성과에는 비(非) e스포츠 행사 장소로의 활용, 교육 측면에서는 단기∙체험 중심의 전문성 낮은 교육 프로그램으로 취업 연계에 대한 애로사항 등을 지역 e스포츠 활성화의 어려움으로 기재됐다.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선 경기장 가동률, 수익창출, 홍보, 인력 양성에 초점을 맞춰 개선해야 한다. 연구진은 "4분기에 집중된 가동률을 1분기에도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고, 대관 사업에 있어 잠재 수요를 확보해 수익성을 강화해야 한다"라고 제시했다.

지역 e스포츠 경기장의 사업목표 구체화와 성과관리를 위한 틀 마련도 해결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광주는 대회 개최 수만을 경기장 핵심성과지표로 보고 있어, 대회 외 경기장 사업에 대한 성과측정이 없었다. 부산은 다른 지역보다는 우수했으나, 홍보와 경기장 운영 영역, 일부 중복되는 성과지표 정리 및 개선이 필요했다.

'학교 e스포츠' 중심의 지역 경기장 활성화도 방안도 제시됐다. 중고교생 대상 e스포츠 지원사업이 확산되어 학교 e스포츠 클럽 운영을 위한 환경이 조성된다면, 지역 경기장 중심의 거점형 e스포츠클럽 설립을 고려할 수 있다. 거점형 e스포츠 클럽은 지역 내 학교 e스포츠 클럽의 네트워킹 중심축으로 학교클럽 간 경기, 교류를 촉진하고 중고교생 e스포츠 활동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중고교생 e스포츠 문화정착에 기여할 수 있다. 관련해 한국e스포츠협회(KeSPA)가 사업을 추진 중이어서 지역과 협업할 수 있다.

연구진은 "△경기장 브랜딩 강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e스포츠화(化) 가능 종목 발굴 및 동반성장을 통한 지역 e스포츠 저변 확대 △차기 구축 경기장을 포함한 공동 사업 추진 및 신설 경기장의 활로 탐색 △미래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신기술 활용 방안 마련 및 차별화된 서비스 사업 준비를 미래 과제를 준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