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 흥미도가 높은 녀석을 두면 뒤에 녀석에게 남은 값이 +되는것을 알고 계실겁니다.
근데 제 생각엔 이 수치가 최대값이 아닌것 같더군요.
예를들어 흥미도 요구치가 30인 녀석이 있습니다.
알려진대로 하면 앞에 흥미도가 43인 녀석을 놓고 뒤에 흥미도가 2인 놈을 놓으면 13이 남고 넘어가서 뒤에 놈은 흥미도 15로 계산될 것입니다 .
흥미도 요구치가 30인 놈한테 15면은 성공확률은 50%가 됩니다.
하지만 실제로 해본결과 20번중에 2번 실패하고 18번 성공했습니다.
기존의 계산대로라면 말이 안되는 부분이죠. 그래서 가설을 세웠는데 넘어가는 턴마다 요구하는 흥미도가 달라지고 그 값을 넘지 못한다면 실패하고 넘는다면 성공하고 남은 흥미도가 뒤로 전가 되는것입니다.
앞의 예를 다시 사용하면 첫번째 턴에 20의 흥미도를 요구합니다. 그렇다면 남은 흥미도는 43-20으로 23이 남죠. 뒤로 전가되면 2+23으로 25가 됩니다. 요구치는 1~30이고 25를 넘을 확률은 20%가 되지 않습니다. 결국 실패 확률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죠. 두번째 녀석이 실패할 확률을 대충 따져보면1~30을 두번 더해서 43+2=45보다 높을 확률이죠. 정확히 계산은 해보지 않았지만 성공 확률이 87.5%정도 됩니다. 50%라는 값보다는 훨씬 타당하다고 생각됩니다.
두번째 팁 -삭제
세 번째 팁은 같은 호감도를 얻더라도 연속 교류를 할 수록 친밀도 증가폭이 커지는것 같습니다. 첫번째에 18을 얻었어도 3연속 성공을 하면 100에 가까운 수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3번째 연속 교류 시도에서 호감도를 전혀 얻지 못하더라도 친밀도가 많이 증가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첫번째 시도에서 모두 실패하면 증가하는 친밀도는 1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