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 노하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기타] I7-9700K 램 오버클럭에 따른 프레임 증가율 및 램 오버클럭 미세 팁

자몽이42
댓글: 27 개
조회: 9901
추천: 6
2023-05-28 23:37:57
가끔 GPU 로드율이 온전히 나오지 않아 사냥 시 프레임이 그래픽카드 체급에 비해 덜 나온다는 이야기가 심심치 않게 올라오곤 했으며, 특히 검은사막은 프레임이 높으면 화면이 부드러운 것 말고도 스킬 연계가 더 빠르게 된다는 점 때문에 실제 게임 플레이시 높은 프레임 유지에 민감한 유저들이 더러 있습니다.

그래서 구형 CPU 중 하나인 9700K 시스템에서 램 오버클럭 유무에 따라 프레임이 어느 정도로 증가하는지 테스트하여 비교하였습니다.
(최신 CPU의 램 오버클럭 테스트는 https://www.inven.co.kr/board/black/3584/50421 이 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테스트 시스템]
CPU: I7-9700K 5.0 GHz
GPU: RTX3090
RAM: DDR4 3200MHz CL22 vs DDR4 3800MHz CL15
해상도: FHD

[인게임 옵션]
텍스쳐: 높음
그래픽: 리마스터
세부 옵션: SSAO ON
AMD FSR: OFF
사냥터: 엘비아 핏빛수도원

삼성 시금치 순정 램의 스펙인 3200MHz CL22와 3800MHz CL15로 램 오버클럭을 했을 때의 프레임을 비교하였습니다.

[테스트 결과]
3200MHz CL22)
평균 FPS: 147    1% LOW FPS: 79
(평균 FPS와 1% LOW FPS 모두 약 10분 동안 테스트하여 평균을 낸 값입니다.)


3800MHz CL15)
평균 FPS: 187(+27.2%)    1% LOW FPS:100 (+26.6%)
(평균 FPS와 1% LOW FPS 모두 약 10분 동안 테스트하여 평균을 낸 값입니다.)



9700K 같은 경우에는 램 수율이 좋고 보드만 받쳐준다면 4400MHz까지도 올라가는 CPU입니다. 그래서 3800MHz CL15은 결코 빡빡하게 오버클럭한 것이 아닌데도 순정 램 대비 프레임 상승율이 27% 정도로 올라왔습니다.
(단, 이 경우에는 3090+FHD 환경이므로 램 오버클럭 효과가 크게 나타난 경우입니다.)

특히 순정 램 스펙일 때는 평균 프레임이 147이므로 144 밑으로 자주 떨어지는 결과를 보인 반면에, 3800MHz CL15의 경우에는 평균 프레임이 187을 달성하여 144 밑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훨씬 적어졌으므로 144hz 모니터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유저들한테 실제 체감이 꽤 클 것으로 생각합니다.

아래는 테스트 영상입니다.

CPU을 9700K, 12900K, 13900K 만지면서 DDR4 램 오버클럭을 많이 해봤는데 하면서 얻은 사소한 팁 올려 드립니다. 램 오버클럭 하시는 분들 중에 도움이 되는 분이 있으면 좋겠네요.

(DDR4 램 기준입니다.)
1. 메모리 오버클럭 테스트 프로그램
경험 상 제일 좋았던 건 TM5 5.1 버전이었습니다. 보통 이 프로그램을 2500%, 3주기 테스트하라고 하는데 저는 5000%, 7주기 테스트를 합니다. 5주기 돌 때 오류 나오는 경우도 있어서 이 정도까지는 돌려줘야 검은사막 안정화에 가장 가까웠습니다. TM5 5.1 통과 후 EasyHCI 2000%도 해주면 좋습니다.

2. 스팟 쿨링이 필요한 DRAM 전압 기준
B다이 램 2개(지스킬 3200 CL14, Oloy 3600 CL14)를 만져봤는데요,
둘 다 스팟쿨링 없이는 전압 1.55~1.58V 정도까지 인가 가능하였습니다. (이 때 램 온도 약 50도~55도)
1.6V 이상의 전압을 주려면 스팟쿨링이 필수입니다.

3. 12세대 13세대 CPU의 SA전압과 VDDQ 전압
메모리 고클럭 도전 시 DRAM 전압 뿐만 아니라 SA 전압(CPU의 메모리 컨트롤러에 가해지는 전압)과 VDDQ 전압(램 커페시터에 가해지는 전압)을 높이는 것도 필요합니다.
12세대는 보통 기어1 3900~4100 MHz까지 오버클럭 가능하고, 13세대는 기어1 4200~4400MHz까지 가능합니다.
만약 DRAM 전압을 아무리 높여도 통과가 안된다면 SA 전압(~1.44V), VDDQ(~1.44V)도 천천히 높이면서 테스트 해보시는 것 추천드립니다.
단, SA 전압이 높아지면 CPU 오버클럭 안정화 전압도 증가하므로 CPU도 오버클럭했다면 이것 또한 고려하면서 해야합니다.

4. 2차 3차 램타이밍
2차 3차 램타이밍도 프레임 증가에 영향을 줍니다. 각각 램타이밍을 어디까지 쪼일 수 있는지는 아래 사이트 참고하여 진행하였습니다.

5. 오버클럭 후 테스트하기 좋은 사냥터
가이핀 지하 절망 젠 상태와 헥세

(아래는 오버클럭 수십 번 실패하며 겪었던 사례입니다.)
램 오버클럭 실패시 위 사냥터에서 거의 항상 20~30분 쯤에 팅겼습니다. 대신 30분을 넘겼다면 2~3시간 사냥해도 팅김 현상이 없었습니다. 팅긴 후 재부팅하고 다시 테스트하면 거의 항상 20~30분 쯤에 똑같이 팅겼습니다.

반면 CPU 오버클럭 같은 경우에는 전압이 모자르면 5분 만에 팅기기도 했으며 1시간 째에 팅기기도 했고, 이 경우 재부팅 후 다시 접속하면 이전에 1시간 째에 팅겼어도 10분도 못견디고 바로 팅기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Lv57 자몽이42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검사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