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레이드&소울 인벤 권사 게시판

10추글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잡담] 핏빛귀걸이vs어핏빛귀걸이

백발의여권사
댓글: 8 개
조회: 482
추천: 12
2012-12-07 19:50:24

어둠의 핏빛 귀걸이


공9  치피13%  추피10


vs


핏빛귀걸이


공6 치피 13.5% 추피7 치명83



과연 어느게  더 효율성이 뛰어난 귀걸이인가?


전자와 후자의 차이는


공3 추피3 vs 치피0.5% 치명83의 차이입니다.


2개의 귀걸이중 과연 권사에게 더 효율적인것은 무언가 알아보기 위해 공식을 구했습니다.


권사는 폭권4심유저라고 가정. 딜사이클 평폭사용자라고 가정.


평타계수 1 폭권계수3.1


여기서 계수는 스킬계수를 말하며 스킬계수 구하는 공식은 수련창을 띄워서 나타나는 스킬데미지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더해서

나누기 2를 해주시고 공격력으로 다시 나눠주심 됩니다.

(추피악세는 빼고 계산하셔야 정확히 나옵니다. 추피는 스킬계수+@개념이라)



그럼 평폭 한사이클당 스킬계수는 4.1, 한방당 평균 스킬계수는 2.05가 되겠죠


평폭만 쓴다고 가정하다니 뭔가 너무 대충하는듯? 한다고 생각이 드니 다른 딜 사이클을 생각해보겠습니다.


영상으로 확인 결과 평폭 한사이클당 0.7초가 소요됩니다.


붕권쿨 45초기준으로


그사이 평폭을 60방은 때려박을수 있지만. 보스 공격도 피하고 가끔 오링나는 내력을 전질보로도 채워줘야되기때문에


평폭50방=타수 100방


전질보5방=타수 5방


붕권2방= 타수 2방 


여기서 장악이나 기절떄 붕권4심을 때려박았다고 가정할게요.



붕권계수는 장악과 기절같은떄의 추뎀까지 합하면 무려 계수가 14.,3이 나오고


전질보는 0.4입니다.


위 사이클대로 107방을 때리고 스킬계수 평균을 구하면 2.2가 나옵니다.


이렇게 붕권을 떄려박는다고 쳐도 거의 평폭만 쓰는것과 비슷한 수치죠



뭐 장악땐 이문도 많이 쓰므로


권사의 한방당 스킬계수 평균은 2.1보다 2.2에 더 정확하다고 생각해서 2.2로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 스펙 기준


공격력 387


치명확률 51.17%


치명타피해량 218.31%가 나옵니다.


259 665 심해를 사용하고 있구요. 무신보패 8번만 빼고는 풀치명, 123번에 관통작을 한 관계로 치명이 조금 낮지만


이정도면 거의 풀스펙에 근접하다고 보심 되겠습니다.

(자랑이 아니라 이 귀걸 2개중 고민하시는분은 거의 핏빛풀파밍에 가까운 유저들이므로 제 장비로 기준을 잡은거예요 ㅋㅋ;)



핏빛귀걸이 치명83과 치피0.5%는


저의 스펙기준으로 치명확률 0.77%와 치명타 피해량 1.1%를 올려줍니다.


저보다 치명이 높으신분들은 치명83이 더 적게 치명확률을 높여준다는걸 명심하시구요.


반대로 저보다 치명이 낮으신분들은 치명 83이 더 많이 치명확률을 높여준다고 보심 됩니다.


<치명확률 0.77%의 효율>


스킬 한방당 평균 공격력=387x2.2=851.4


치명이 터졌을때 스킬 한방당 평균 공격력= 851.4x 2.1831=1858.7


치명과 노치명시 스킬공격력의 차이는1858.7-851.4=1007.3


여기에 치명확률0.77%를 곱해주면 


1007.3X 0.0077= 7.75621


스킬 한방당 치확 0.77%가 가져다주는 한방당 데미지는 <7.7> 정도네요


<치명타피해량 1.1%의 효율>


스킬 한방당 평균 공격력=851.4


여기에 치명타피해량 1.1%를 곱해주고 치명이 터질확률 51.17%도 역시 곱해줍니다.


851.4X0.011=9.3654

9.3654X0.5117=4.7922752


치명타피해량 1.1%가 가져다주는 한방당 데미지는 <4.8> 정도입니다.



웬만한 분들이 2소켓이 있는 마당에 자수정 추뎀의 효율을 무시하면 안되겠죠? 


<이글거리는 육각 자수정 장착시>


200X0.0077=1.54


치확0.77%를 오름으로 인해 자수정이 가져다주는 한방당 데미지는 <1.54>입니다.


그럼 총


12.5+1.54가 되어서 치명83 치명타피해량0.5%로 얻을수 있는 스킬 한방당 평균 데미지 14.04가 되겠습니다.


물론 이건 제 스펙의 기준이구요. 본인의 셋팅에 따라 미세한 값의 차이는 있습니다.



자 이젠 새로나온 어둠의 핏빛 귀걸이의 공격력3 추피3의 효율을 보도록 할게요.


<공격력3의 효율>


3X2.2(스킬계수)X2.1721(치명타피해량)


치명타가 터졌을떄 14.33


3X2.2(스킬계수)


치명타가 터지지않았을시 6.6


14.33+6.6= 20.93


20.93X0.5040 = 10.5487


스킬계수 한방당 약 <10.5>정도의 데미지 상승이 있습니다.


<추피3의 효율>


3(추가피해3)


치명이 터지지 않았을시 스킬방당데미지 3


3X2.1721(치명타피해량)


치명이 터졌을때 스킬방당데미지 6.5


3+6.5= 9.5


9.5X 0.5040= 4.788


스킬계수 한방당 약 <4.79>정도의 데미지 상승이 있습니다.


그럼 총


10.7+4.86를 하여 공격력3 추피3으로  인해 얻을수있는 스킬평균 한방데미지는 <15.3>정도가 되겠습니다.


그래서 결론은 어둠의 핏빛귀걸이가 핏빛귀걸이보다 스킬 방당 1.3의 데미지를 더 입힐수 있다.


꽁폭은 바로 전의 공격이 아닌 전의 공격 2타이상까지 적용하는걸로 확인되었으며 이것을 가정하면


치확 51.17%는 


 0.4883X 0.4883= 0.23843 


폭권을 썼을떄 꽁폭이 터지지않을 확률 23.8%


치확 50.4%는


0.496X 0.496= 0.24601


폭권을 썼을때 꽁폭이 터지지않을 확률 24.6%


둘의 차이는 약 0.8%


즉 제 스펙을 기준으로


핏빛귀걸이는 어둠의 핏빛귀걸이와 비교해서 꽁폭이 생겨날 확률이 0.8%정도 높고


어둠의 핏빛귀걸이는 핏빛귀걸이와 비교해서 스킬한방당 데미지가 1.3정도 높다고 보심 됩니다. 공격력으로 환산하면 0.5정도 되겠네요


셋트 착용시 어둠의 핏빛귀걸이가 공1정도 좋고 꽁폭이 생겨날 확률은 1.6%정도 낮습니다.




추가적으로 폭  3심도 계산하자면


평폭50방


붕권2방


전질보5방


위 조건과 제 스펙을 고려할때 폭권 50방에서 폭3심조건부추뎀이 들어가지 않는 폭권은 13방 정도입니다.(이유는 꽁폭과 폭3심 조건부 추뎀의 작동원리는 똑같아서)


그럼 스킬한방당 평균계수는 2.3까지 상승하죠.


계산은 간략화하고


치확0.77%상승으로 인한 폭3심 제 스펙기준의 권사는 스킬방당 <8.1>의 데미지를 얻을수 있습니다.


치피1.1%상승으로 인한 스킬방당데미지는<5>정도 증가하구요.


8.1+5+자수정1.54=14.64


핏빛귀걸이 치명83과 치피0.5%로 얻을수 있는 폭3심 제 스펙의 권사는  스킬방당 14.64의 데미지 증가를 얻습니다.



역시 어핏빛의 공3의 증가효율은


스킬공격 방당 <11>이 되고


추피3은  폭3심에 이중으로 적용되므로 


이걸 고려해서 계산을 해보면


원래 붙던 4.79에 1.57이 더 붙어서 <6.36>이 됩니다


즉 스킬공격 방당증가량은 <6.36>이 되죠


11+6.36= 17.36 


그럼  폭3심의 제 스펙기준권사의 경우 어핏빛귀걸이는 핏빛귀걸이에 비해 스킬방당 2.72정도의 데미지 증가가 있고


역시 꽁폭이 생겨날 확률은 핏빛귀걸이에 비해서  0.8%정도 줄어들게 됩니다.



계산결과로 보면 네임드몹 100대 때려봤자 핏빛귀걸이와 어핏빛귀걸이는 데미지 100~300정도밖에 차이가 없고. 데미지 자체로는 어핏빛이 우위라고 볼수 있겠네요.


하지만 중요한 순간의 내력이 오링났을때 꽁폭이 생길확률은 핏빛이 먼지만큼 더 높으니 핏빛귀걸이 또한 나쁘진 않습니다.


권사처럼 꽁폭도 없고 추가피해영향도 많이 받으며 스킬계수가 높은 기공사의 경우 어핏빛이 핏빛보다 조금더 좋을수는 있겠구요



총 결론


권사는 핏빛귀걸이나 어핏빛귀걸이나 먼저 먹은거 써도 되고 짬뽕으로 써도 될듯함.

산수도 못하고 글재주 없는게 보여도 양해바람.





Lv46 백발의여권사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