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레이드&소울 인벤 기공사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수련] 복귀유저를 위한 인던용 스킬 트리

아이콘 기공반공기반
조회: 2099
추천: 2
2013-07-07 17:43:19

공홈 파워북 이벤트 참여겸 인벤 이벤트도 참여해보자 합니다. ㅎ

 

저 역시, 이번 백청산맥의 오픈을 맞이하여 복귀 후 스킬수련에 대해서 많이 고민했습니다. 이 글은 잦은 경험치 하향으로 인해서 레벨업에 어려움을 겪고 계시는 복귀 기공사 유저분들을 위해 써봤고요, 스킬트리에 정석은 없으니 어디까지나 이런 트리도 있다 정도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필요 스킬 포인트는 38입니다. 복귀 후 만렙 달성한 마도&홍문 2성을 기준으로 작성해보았습니다.

 

 

이 스킬트리는 열화장의 4급 1초식을 찍는 쪽으로 갑니다. 현재 기공사들의 스킬 트리는 2가지로 나눠집니다.

 1. 예전 방식의 틀을 유지한 가속 충격파를 통한 수동 불씨 폭발.

2. 열화장 4급 1초식을 통한 자동 불씨 폭발.

 

이 스킬 트리에서 자동불씨폭발을 찍는 이유는 불씨를 중첩시킬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해졌다는 점입니다. 또한 가속 충격파를 사용 할 경우에는 원거리 공격 저항이 빠지게 되는데, 호신장막을 사용해도 되지만 쿨타임이 긴 장막이나 파티원에게 의존하는 것보단 원거리 저항을 가지고있는 편이 좋다고 판단했습니다.

 

 

동상대신 데미지를 선택한 2급 2초식 트리입니다. 평한폭을 기본 딜사이클로 돌리는 트리에서는 4급 2초식까지 찍을 필요가 없습니다. 평한폭과 한파를 병행하는 것 만으로도 충분히 빙룡파와 쌍룡파를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파티를 맺을 경우에 파티2.0 패치이후 6인 파티가 기본이 되면서 직접 직업군만 받는 파티는 줄어들고, 자유롭게 공략을 숙지한 사람들로 구성되는 것이 현재의 흐름입니다.

 

자연스럽게 장악과 흡공을 가지고 있는 린검과 역사가 파티에 있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찍어두는 편이 좋습니다.

 

장악 흡공시 신룡열파를 사용하는 트리인데 기공탱을 할 자신이 있다면 2급 1초식까지 사용하셔도 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는 어그로를 먹지 않기 위해서 4급 1초식까지 찍어두는 편이 좋습니다.

 

 

 

빙룡파를 활성화 시키기 위한 빙옥수급과 평한폭의 사이클을 돌리기 위해서라도

한파를 내력수급 트리로 올리는 것은 필수입니다.

3급 1초식의 치명타시 내력회복 옵션은 부족한 내력을 체워주는데 고마운 역활을 하고 있습니다.

 

열파는 올리지 않습니다. 스킬포인트도 부족하며, 열화장과 폭열신장 만으로도 염옥의 공급은 충분하며, 열파자체는 딜로스이기 때문입니다.

 

 

 

 화폭은 예전처럼 튕기기까지 배워주시면 됩니다.

 

매력적인 옵션이 많은 결빙공이지만 더 효율이 좋고 찍을 스킬은 많기 때문에 과감히 패스합니다.

 

 

 

탈출은 1급 1초식이면 충분합니다. 몰이사냥시 3급3초식도 찍긴하지만 파티를 전제로한 이 트리에서 기공사가 탈출로 기적합격기를 넣지는 않기 때문에 굳이 찍을 필요는 없습니다.

 

 

 

가속 충격파를 포기하고, 원거리 저항을 위한 1급 1초식만 찍어주시면 됩니다.

 

 

 

 폭열신장은 예전과 같은 느낌으로 2급 1초식까지 찍어주시면 됩니다. 3급 1초식인 범위까지 찍으실 필요는 없습니다.

 

 

 

빙백신장은 3급 1초식을 추천하는데요. 2급 1초식까지만 찍는 경우도 있지만 내력수급과 그래도 없는 것 보다는 나은 피수급을 위해서라도 1포인트 추가해 3급 1초식까지 찍으시면 됩니다. 4급 1초식은 범위증가이기 때문에 안찍으셔도 됩니다.

 

 

 

흡공은 6인 파티사냥시 거의 필요가 없습니다. 중력장의 효과가 괜찮긴 하지만 필요성을 느끼기는 힘듭니다. 탈진, 운기 중 흡공트리도 스포가 부족한 복귀유저로는 일단 보류입니다.

 

 

 불씨확산은 찍으셔도 되고 않찍으셔도 되지만 2중첩이 나름대로 쏠쏠하기 때문에 찍는걸 추천합니다.

 

불씨확산과 밑의 호신장막을 빼고 찍으셔도 되지만 평한폭을 기본 딜사이클로 돌리기 때문에 내력 수급의 역활 말고는 굳이 쓸 필요가 없습니다. 위의 불씨확산과 빙백신장을 뺴고 파음지를 2급1초식까지 찍는 경우도 있지만, 평한폭 사이클에서 몹을 열리기 위해서는 쌍룡파와 빙백신장으로 얼려야 하는데 그걸 쿨이 따로도는 스킬끼리 맞춰주면서까지 할 필요는 없기 때문입니다.

 

 

 

 빙하장은 즉시 시전까지만 찍어주셔도 됩니다. 빙옥은 한파로 수급이 충분합니다.

 

 

 

 화련장 역시 즉시 시전까지만 찍어주시면 됩니다.

 

 

호신장막은 취향이 갈리는 편인데 결빙공과 함께 쓸 수 있게 된 지금은 찍는 쪽을 추천합니다. 여러 용도로 요긴하게 쓰이며,

백청산맥 영웅 던전인설인의 동굴을 예로 들자면

1.뱀버섯의 흡공을 피하거나 2.포획대장만 계단으로 끌고 올 때 켜두고 끌고오면 안전하게 데려올 수 있습니다.

3번째로 초롱설인를 잡을 때 열기 흡수 시 보통 첫 점프때 합격기를 통해 끊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3번 점프 후 저체온증으로 얼려지고 전멸기를 맞게 되는데요. 일반적으로 기공은 이 전멸기를 버티지 못하고 죽습니다. 이때!! 저체온증에 걸리기 전에 호신장막을 미리 깔아두면 전멸기 때 생존이 가능합니다.

 

이동식은 드리블과 이동을 편하게 가며, 설치식은 피해감소률과 범위가 조금 더 높고 넓습니다.

이동, 설치식 취향대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는 남들과 다르게 연화지를 찍는 것을 강력히 추천합니다. 예전에야 연화지가 불씨나 잡아먹는 필요없는 스킬이었지만 이번 개편 이후로 완소스킬이 되었습니다. 특히 2급 1초식을 통해서 수동으로 불씨를 터트릴 수 있게 됬고, 연화지중 피격시 불씨가 쌓이는데 이 불씨를 통한 딜량이 상당합니다. 쿨이 18초가 되지만 시전과 동시에 쿨이 돌기 때문에 실질적인 쿨타임은 8초입니다.

 

 

 

얼음꽃은 기공사의 꽃입니다. 예전처럼 찍으시면 됩니다. 3급 2초식은 나쁘진 않지만 효과가 미비하며, 부족한 스킬 포인트를 낭비할 필요는 없습니다.

 

 

화염지옥은 2급 1초식까지 찍어주시면 되는데 찍는 이유는 연화지와의 상성이 좋기 때문입니다. 

그말은 연화지만 찍거나 화염 지옥만 찍을거면 다른 스킬 포인트에 투자하는걸 생각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사용도중 피격시 불씨가 쌓이는 연화지와 알아서 불씨가 쌓이는 화염지옥을 같이 깔아주시고 평한폭을 시전해주시면 엄청난 속도로 쌓이는 불씨와 쉴세없는 자동폭발을 감상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이탈은 1초식만 찍어주시면 됩니다.

 

부족한 스킬포인트를 가지고 어떻게하면 좋은 딜량을 낼 수 있을까 고민하시는 분들을 위해 작성해 보았습니다. 스킬트리에 정석은 없지만 참고하시는데 도움이 됬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Lv71 기공반공기반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