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레이드&소울 인벤 역사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정보] 전반적인 보스 패턴과 역사의 상태이상과 장악

염활
댓글: 3 개
조회: 516
2012-10-21 14:28:38

아 글쓰는데 갑자기 초기화 되어서 멘붕 백슬레쉬 눌렀다고 이전 페이지로 가버리는

 

블소도 RPG인 이상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신케릭, 새로운 맵, 새로운 보스, 소셜컨텐츠, 버그, 밸런스 이 모든것을 요구하는 당신은 욕심쟁이 =_=)

 

그렇기에 현재 나온 보스와 앞으로 나올 보스의 패턴은 어느정도 비슷한 점이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역사의 경우 파티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기 때문에 모든 패턴 숙지와 이해가 필요합니다.

 

빨간색의 경우 반드시 상태이상 또는 장악을 넣어야 하는 경우입니다.

실패시 엄청난 패널티가 존재합니다.

 

파란색의 경우 성공시 파티에 극딜에 이익이 있는 경우입니다.

실패시 크게 문제는 되지 않습니다.

 

목록은 중요도에 따라 순서대로 씁니다.

 

<다운시 기상기의 사용 유무>

 

1. 다운시 기상기를 사용하며, 다운시 장악 또한 불가능하다.(ex : 염화대성 휠윈드 다운시)

 

다운 이후 장악이 되지 않기 때문에 확실한 타이밍이 아니다면 다운을 해서는 안됩니다.

 

2. 다운시 기상기를 사용하며, 다운시 장악이 가능하다.(ex : 발라라, 맹독아귀)

 

다운 이후 장악이 되지만, 바로 장악하지 않는다면 기상기로 파티에 위기를 주는경우가 많다. 장악 쿨타임을 알고있는 역사 본인이 마이크로 직접 지시해주는 것이 좋다. 쿨타임도 돌아오지 않았는데 다운하지 않도록 한다.

 

3. 다운시 기상기를 사용하지 않으며, 다운시 장악이 불가능하다.(ex : 폭풍던전 일부 히든보스들)

 

굳이 다운을 넣지 않아도 되지만, 일부 패턴을 취소시킬수 있기 때문에 쿨타임마다 다운을 사용한다.

 

4. 다운시 기상기를 사용하지 않으며, 다운시 장악이 가능하다.(ex : 포화란)

 

다운을 넣어서 장악이 가능하기 때문에 파티원들의 극딜을 넣을 수 있다. 주의할 점은 장악 쿨타임으로 인해 장악이 실패하면 탱커가 위험해질 수 있기 때문에 장악 쿨타임이라고 바로 알려줘야 한다.

 

<상태이상 저항의 유무>

 

1. 상태이상 저항이 많다.(ex : 발라라, 포화란, 해무진)

 

이 경우 저항이 아닌 패턴을 알아야 하며, 그 패턴의 위력이 강하지 않더라도 장악을 통해 이후 패턴의 딜레이와 파티원의 극딜을 유도해야 한다.

 

2. 상태이상이 다운만 가능하다.(ex : 태장금 연화난무, 역사 계통 광풍스킬)

 

대부분 광역스킬의 경우 기절, 그로기에 저항상태이며 다운만 가능한 경우가 있다. 특히 이런 스킬들이 특징은 유저들이 사용하는 스킬이기 때문에 쉽게 알 수 있다.(광풍, 연화난무, 오연베기)

 

3. 상태이상 저항이 거의 없다.(ex : 초창기 맹독아귀)

 

전멸기를 캔슬하는 목적으로 상태이상을 걸어주면 된다. 단, 다운시 기상패턴을 갖고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칼장악을 해야 하거나 다운만 금지해야 한다.

 

<주요 패턴별 상태저항>

 

1. 어글자를 향한 대인 공격기(평타계열)

 

주로 단발형 패턴, 2단 패턴인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상태이상을 걸어서 끊을 수 있다. 하지만 막기, 저항기, 드리블을 통해 대부분 회피가 가능하므로 상태이상을 거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 이후 광역, 막기 불가, 회피 불가 스킬을 주로 끊어주기 때문이다.

예외가 있다면 전멸기가 상태이상 저항일 경우인데 그런 경우 평타계열에서 다운 및 장악을 해준다.(ex : 발라라, 해무진)

 

2. 어글자를 향한 전방 광역기

 

이 스킬을 맞을 경우 대부분 넉백 & 다운을 당한다. 역시 상태이상을 걸 수 있는 경우가 많지만, 선딜이 긴 경우가 많거나 패턴이 눈에 띄기 때문에 대부분 피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태이상을 걸지 않는다.

 

3. 광역 회전기(ex : 염화대성 2회전, 적룡귀 2회전)

 

큰 데미지를 주거나, 마지막 타격시 넉백 & 다운을 당하게 된다. 대부분 1. 상태이상이 가능하거나 2. 선딜이 길고 범위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피 가능하기 때문에 1. 상태이상을 통해 장악을 하거나 2. 열화륜을 통해 저항을 하면 된다. 특히넉백 & 다운의 경우 보스의 연계기나 원거리 공격이 강력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4. 광역 기합폭발(ex : 발라라 수증기, 포화란 불얼음지뢰, 해무진 기합)

 

대부분 맞으면 죽거나 체력소모가 크다. 또한 다운 or 그로기를 당하게 되므로 다음 패턴에 대해 무방비해진다. 일종의 보스 필살기이므로 상태이상 또한 저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탁월한 컨트롤을 통해 도망가거나 열화륜 저항을 하도록 하자.

 

5. 잡기패턴(ex : 막소보 흡공, 포화란 바베큐, 적룡귀 화염방사, 해무진 연계기)

 

주로 흡공의 경우 크게 위협적이지 않다. (보스는 외톨이니까) 그 외에는 상태이상을 당하지 않는다면 사용하지 않는다.(염화대성, 청풍 잡기 제외) 만약 상태이상이 걸려서 잡기를 당하는 파티원이 있다면, 얼음꽃, 민들레씨, 상태이상을 통해 구출이 가능하다.

 

6. 돌진 & 구르기 패턴(ex : 발라라 돌진, 염화대성 구르기)

 

이 경우 주로 막기, 튕기기 기술로 막을 수 있다. 어글자를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방향 예측도 가능하다. 간혹 막을 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녹풍대성 구르기, 해무진 돌진)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피하면 된다. 막기에 성공하면 강제로 다운상태를 만들기 때문에 장악이 가능하다.

 

7. 유저스킬 모방패턴(ex : 연화난무, 오연베기, 권무, 광풍)

 

유저와 같은 기술을 쓰는 경우,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알파인 경우도 있다.) 쉽게 피하거나 막을 수 있다. 단, 다운 이외의 상태이상에 대해서 저항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의하도록 하자.

 

곧 나올 무신의 탑을 대비해서 정리해봅니다. ^^;

아마 역사는 불사의 생명력으로 클리어하게 될 듯 합니다.

Lv67 염활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