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개편안은 스킬 개편 파트와 버그 목록 파트로 나누어서 작성합니다.
* 9월 30일 퍼섭 리뉴얼 업데이트를 기반으로 재 작성된 글입니다.
* 댓글로 좋은 의견 달아주시면 적극적으로 수렴합니다.
* 오늘부터 매일 공홈에 건의 들어갑니다.
Part1. 스킬 개편
프라임은 홀딩기 하나 없는 퓨어딜러이면서, 스킬 구조상 데미지를 넣기까지 요구되는 시간이 길어 몹이 미쳐 날뛰면 딜로스가 상당하다는 단점을 지닌 케릭터입니다. 때문에 파티원의 홀딩능력에 크게 의존하며, 딜로스 발생시 딜러로서의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기에 스킬 개편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스킬 개편과 더불어 홀딩 능력을 지닌 스킬의 추가 및 기존 장비 중 확률성 효과를 지닌 장비의 개편, 공격시 발동 옵션의 미적용과 혼란으로 인한 패널티까지 이번 파트에서 다루어보고자 합니다.
* 퍼섭 업데이트로 로봇전폭 쿨타임 문제, 로봇 컨트롤 스킬 추가, 헬마치 속도 개선, 스패로우 단발기가 추가된 것을 확인하였으나 개편이 미미한 부분이 있기에 추가사항을 적었습니다. 개편 요구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헬마치 슈퍼홀딩판정, 속도개선 및 간격감소
2. 스패로우 솔라모듈 퍼뎀 수치 상향 및 딜링 구조 개선
3. 로보틱스 지능 옵션 케릭터 자체 지능 상승으로 변경
4. 투지로봇 필드 소환없이 완전한 패시브화
5. 독립오브젝트에 공격시 발동 옵션 적용
6. 케릭터 혼란으로 인한 독립오브젝트 파괴 개선
7. RX-60 매혹의 러너 어그로 기능이 아닌 홀딩기능 추가
8. 로봇전폭 TP5 기준 175% 롤백
9. Hold & Go on 옵션 -> 로봇 유지시간 0초시 로봇이 자폭없이 사라지도록 변경
10. 바이퍼 제로 공중 소환 로봇 지상 소환으로 변경
11. 모든 전폭계열 로봇 조준 전폭 시 이동루트 직선으로 변경.
12. 아크리엑터 (신규 스증 패시브) 레벨당 스증 증가량 2퍼 추가
13. 쿠르지프의 금목걸이 확률 25퍼 -> 100퍼로 수정
14. 바이퍼 롤백 및 데블스 옵션 조정
1번~14번까지 차례대로 부연설명 들어갑니다.
1. 헬마치 슈퍼홀딩판정, 속도개선 및 간격감소
퍼섭 업데이트를 통해 헬마치의 속도가 13초에서 8.5초로 개선되었고, 로봇 크기가 20% 증가하였으며, 폭발시 유발하던 렉이 해소되어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해졌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진누골 기준으로 헬마치 풀히트가 힘든 수준이며, 로봇행진속도 또한 8.5초로 너무나 긴 시간입니다. 여전히 예측샷으로 헬마치를 시전해야하며 아마 이대로라면 에게느에서도 웨스턴 헬마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할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헬마치에 슈퍼홀딩판정을 넣어 폭발이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몹이 헬마치 진행방향 내에 존재하도록 개선되어야하며, 속도 또한 5초로 감소하여 빠른 딜링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추가로 로봇간의 간격을 20%정도 감소시켜 크기가 작은 몹에게도 좀 더 많은 로봇의 히트가 가능하도록 수정해야 합니다. 또는 로봇 크기를 현재 수준에서 20%정도 추가로 증가시킨다면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2. 스패로우 솔라모듈 퍼뎀 수치 상승 및 딜링 구조 개선
단순 계산으로 진행시 TP5기준 스패로우의 딜링 데미지는 약15만퍼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허나 이번 퍼섭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스패로우의 단발기화인 솔라모듈은 68167퍼로 스패로우 스킬의 레벨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현재 솔라모듈에는 TP가 적용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수정되어 50%가 적용된다고 하더라도 약10만퍼 수준이며 달계를 생각하더라도 풀히트 데미지에는 못미치는 수준입니다. 때문에 솔라모듈 퍼뎀 수치를 현재 수준의 20%정도를 추가하여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현재 솔라모듈 on시 스패로우의 딜링 구조가 에체베리아의 레이저처럼 전방을 향해 발사하는 방식인데, 이후 스패로우 본체가 따로 폭발하는 것이 남아있더군요. 뭔가 조잡한 느낌이 나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레이저 발사보다는 스패로우 본체 폭발에 데미지를 몰아주어 단발기로 만들었으면 합니다.
3. 로보틱스 지능 옵션 케릭터 자체 지능 상승으로 변경
로보틱스의 지능 옵션을 케릭터 스텟에 적용되도록 변경하였으면 합니다. 신규 에픽장비에는 지능% 증가옵션이 다수 존재하는데, 로보틱스 옵션이 로봇에 적용되어 지능% 추가 옵션을 온전히 받지 못합니다. 밸런스 패치 목적으로 장비 옵션 미적용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증추크증도 그 중 하나이지요. 따라서 지능% 장비옵션 또한 100% 활용할 수 있도록 로보틱스 지능을 케릭터 자체 지능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개선하였으면 합니다.
4. 투지로봇 필드 소환없이 완전한 패시브화
투지로봇 개선안에 대해 많은 분들이 의견을 담아주셔서 애물단지와 같은 투지로봇 자체를 소환하지 않고 자체 패시브로 스증이 적용되도록 변경하는 방식을 생각해보았습니다. 이러는 편이 깔끔하게 옵션도 100% 적용받고 이중스위칭에 의존하는 추가적인 문제 또한 발생하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 투지로봇 스증옵션을 소환없이 적용되도록 수정해주셨으면 합니다.
5. 독립오브젝트에 공격시 발동 옵션 적용
독립오브젝트의 공격시 발동 옵션에 대해서도 한폭님을 비롯하여 여러 유저분들이 의견을 담아주셨는데, 공시템 옵션 발동으로 인한 렉은 우리가 고려해야 할 부분이 아닙니다. 헬마치의 렉을 개선해주었듯이 운영진 측에서 개선해야할 부분이라고 생각하기에 렉 유발을 이유로 공시템의 옵션 적용에 패널티가 존재해야한다는 의견은 차마 동의할 수 없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의견이 있으시다면 댓글 달아주세요) 공시템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은 다시 말해서 독오 타격으로는 몬스터의 Hp를 확인할 수 없고 또한 거형셋의 옵션처럼 공격시 확률로 지능%가 증가하는 옵션 또한 발동하기 어렵고 구원의 이기처럼 타격이 요구되는 장비에도 독오 타격으로는 옵션을 받지 못함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독오에 공시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단순히 공시템 옵션 적용뿐만 아니라 그 동안 플레이 하면서 느껴온 불편 사항을 개선할 수 있는 패치입니다. 증추뎀은 적용되는데 공시템은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은 어불성설이 아닌가 싶습니다. 개선 부탁드립니다.
6. 케릭터 혼란으로 인한 독립오브젝트 파괴 개선
정마목의 혼란 옵션뿐만 아니라 안톤 레이드 격전지에서의 혼란, 또한 신규 던전인 루크에서의 혼란패턴을 고려하면 이는 개선되어야 마땅한 부분입니다. 혼란에 의해 자신의 소환물이 파괴되어 딜로스를 유발하는 것은 정상적인 플레이를 저해하는 부분이라 생각되며, 파티원의 혼란에 의해서도 파괴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빠른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다들 그런 경험 없으신가요? 안그래도 각톤, 레이드 파티에 들어가기 힘든데, 들어갔더니 파티원이 정마셋의 사용자거나 정마목을 사용하는 유저라서 파티를 나와야 했다거나 그분께 다른 장비를 착용해달라고 부탁하신 경험은 다들 있지 않으신가요? 루크 던전에서 혼란 패턴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개선되는 것이 맞다고 생각됩니다. 수정 부탁드립니다.
7. RX-60 매혹의 러너 -> 어그로 기능이 아닌 홀딩기능 추가
이번 퍼섭 업데이트로 추가된 RX-60의 기능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리면, 지속시간7초에 쿨타임은 8초인 설치형 독립오브젝트로 크기는 카운트다운과 비슷하며 일정 범위내의 몬스터를 유혹(유혹이라 쓰고 유도라 읽는다)하는 일종의 도발형 스킬입니다. 슈르르와 유사하다고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개발자가 무슨생각으로 넣은건지는 모르겠으나 나이트가 춤추는 영상이 매혹의 러너 머리부분에서 재생되어 필드에 표시되며 가끔은 프리스트가 비보이하는 영상이 나옵니다;) 매혹의 러너에 어그로 기능을 제거하고 범위 홀딩기능을 추가했으면 합니다. 홀딩기의 부재로 몹의 패턴에 대항하기 어렵고 파티원의 홀딩에 의존도가 높은 케릭인 만큼 자체 사용가능한 홀딩기가 하나 정도는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그로를 끄는 옵션은 있으나 없으나 사용 목적도 적고 큰 효과 또한 없다고 여겨지기에 범위 홀딩 능력을 추가했으면 합니다. 지속시간은 적당한 듯 하나 쿨타임이 꽤 짧고 지속시간과의 차이가 없어서 10초정도로 쿨타임이 개선되는 것이 맞는 듯 하며, 홀딩능력이 추가된다면 플레이에 어려움을 느끼던 부분에서 꽤 자유로워 지리라 생각됩니다. (참고로 이번 여메카 패치에는 “G 마그네틱” 이라는 홀딩기가 하나 추가되었답니다.)
8. 로봇전폭 TP5 기준 175% 롤백
현재 퍼섭 업데이트로 메카닉 유저들이 가장 충격먹은 부분입니다. 어떤 분은 TP당 5% 증가를 단순계산으로 25%로 책정한 것 같다고 말씀하셨기에 어느정도는 실수라고 생각하고 있으나, 이는 딜로스가 상당하며 절대 이해할 수 없는 패치입니다. 무조건 롤백되길 간곡히 주장합니다. TP옵션을 로봇전폭에 자체탑재 시키려는 목적이었다면 이는 운영진이 메알못이기에 일어난 해프닝이라 보입니다. 로봇전폭은 자체150% 전폭증뎀을 지니고 있었으며, TP 1레벨당 5%씩 추가되어 TP5렙 마스터시 175%의 전폭증뎀을 가졌고, 오픈 파이어 유저의 경우 무기 옵션으로 TP2레벨이 추가되어 도합 185%의 전폭증뎀을 가졌습니다. 만약 로봇전폭에 자체 탑재시키려는 것이었다면 수치를 전폭5렙 마스터시 175%로 수정하는 것이 옳습니다. (수정해주세요 제발;;;;; 실수라고 믿고 싶어요;;;)
9. Hold & Go on 옵션 -> 로봇 유지시간 0초시 로봇이 자폭없이 사라지도록 변경
Hold & Go 스킬은 on/off 가능하며 한번 눌러놓으면 계속해서 옵션이 적용되어 스킬 시전 이전에 존재하던 로봇뿐만 아니라 이후에 소환한 로봇까지 적용되는 훌륭한 컨트롤형 스킬입니다. 랜드러너 계열은 몹을 인식하지 않고 전방을 향해 걸어나가며, 바이퍼 계열의 경우 제자리에 설치된 채로 탄알 발사가 중지됩니다. 템페스터 또한 마찬가지로 미사일과 탄알을 발사하지 않고 대기합니다. 적용되지 않는 스킬은 1각인 게이볼그와 2각인 헬마치 뿐입니다. 이러한 스킬에도 허점이 존재하였으니 바로 로봇 지속시간이 0초가 되었을 떄 입니다. 0초가 되면 로봇들이 자폭하며 그로 인한 데미지는 몬스터에게 그대로 들어갑니다. 몬스터의 반사패턴에 대항하고자 이러한 컨트롤형 스킬의 추가를 주장하였으나 시간이 되었다고 자폭하여 데미지를 넣는다면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Hold & Go 스킬을 on 시켰을 때는 로봇이 지속시간이 다 되더라도 자폭하지 않고 소환해제 되듯이 제자리에서 사라지도록 변경되었으면 합니다. 수정 부탁드립니다.
10. 바이퍼 제로 공중 소환 로봇 지상 소환으로 변경
바이퍼 제로의 공중 소환 로봇은 바이퍼 제로 전체 딜량의 50%를 차지합니다. 허나 버그로 인해 간헐적으로 소환되지 않아 50%의 딜로스를 유발하며 바닥에 떨어짐과 동시에 폭발하기 때문에 전폭을 노려 데미지를 넣기도 어렵습니다. 게다가 낙하 지점이 바이퍼 제로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정해지기 떄문에 처음부터 몬스터의 위치를 설계하고 바이퍼 제로를 설치하지 않는다면 공중 소환 로봇의 데미지를 먹이기는 매우 매우 어렵습니다. 따라서 소환 방식을 변경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공중이 아닌 지상 소환으로 랜드러너가 걸어나오는 방식으로 변경된다면 전폭으로 데미지를 넣기도 수월할 것이라 여겨집니다. 이미 카운트 어택의 경우가 그러하기에 랜드러너가 추가 소환되는 방식을 적용하는 건 그리 어렵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만 만약 어렵다면 바이퍼 제로의 데미지에 합산시키는 방식도 괜찮다고 생각됩니다. 당연하게도 수치는 바이퍼 제로의 탄알 및 레이저 퍼뎀을 2배로 증가시키면 되겠지요. 수정 부탁드립니다.
11. 모든 전폭계열 로봇 조준 전폭 시 이동루트 직선으로 변경
섭마벨님의 제안입니다. 모든 전폭계열 로봇이 조준전폭 명령에 따라 이동하는 방식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이를 통일시켰으면 합니다. 이번에 추가된 RX-60의 경우 조준전폭 명령시 직선으로 돌격하더군요. X축을 따라서 몬스터에게 바로 말이죠. 디멘션 또한 마찬가지 방식으로 조준전폭 명령을 따릅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X축으로 바로 돌진하는 방식이 꽤 괜찮다고 생각되며 모든 전폭계열 로봇이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하면 괜찮으리라 생각됩니다. 이번에 전폭의 쿨타임도 2.5초에서 1초로 개선되었으니 조준전폭 후 전폭을 재시전하여 파티원 증뎀을 노리는 것도 수월할 테니 빠르게 이동하는 방식이 추가된다면 꽤 유용하리라 생각됩니다. (이동방식에 대해 추가 의견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건의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2. 아크리엑터 (신규 스증 패시브) 레벨당 스증 증가량 2퍼 추가
패시브로 추가된 아크리엑터는 10레벨 마스터로 25퍼 스증옵션을 지닙니다. 좋은 패시브 이긴 합니다만 타 케릭터의 상향 폭을 보았을 때 25퍼의 수치는 꽤 낮은 수치라 생각되며 레벨당 2퍼 추가하여 10레벨 마스터시 45퍼 스증옵션으로 개선되었으면 합니다. 프라임의 포지션이 딜러인 점을 생각했을 때, 4인파티에서 충분한 데미지를 낼 수 있도록 스증 옵션을 개선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13. 쿠르지프의 금목걸이 확률 25퍼 -> 100퍼로 수정
여러 번 건의된 내용이지만, 여전히 확률 25%가 잔존하는 장비입니다. 로보틱스의 옵션을 극대화 시켜주는 장비 중 하나로 많은 프라임 유저가 사용하고 있으나 발동 조건이 25% 이어서 타 유저들은 스위칭 및 버프를 완비하고 다음방으로 진행하고자 할 때 프라임 유저 혼자서 낑낑대며 로보틱스만 외치고 있으니 이보다 한심한 일이 어딨습니까;; 쿠르지프의 금목걸이 옵션 발동확률을 100%로 개선해주시길 원합니다.
14. 바이퍼 롤백 및 데블스 옵션 조정
바이퍼가 레이드에서 각광받았던 이유는 다음의 두가지 입니다. 첫째, 짧은 쿨타임과 긴 지속시간으로 X축 한정으로 높은 다단히트 넣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총 7기의 바이퍼를 끊임없이 유지하며 설치하기에 함포에서 시체를 띄우며 몹 소환을 제한함으로써 클리어가 수월하게 했으며, 에게느에서 다단히트 수로 인해 빠른 벽꿍유도가 가능하였고 한 쪽으로만 유도할 경우 고정 7기의 바이퍼로 높은 누적딜을 넣을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갖게 한 것은 바이퍼 스킬 자체의 이점도 아니고 TP로 인한 이점도 아닙니다. 오로지 데블스 커맨드 3셋 및 6셋 옵션으로 인해 저러한 딜링이 가능했으며, 과거 계산 결과 데블스6부위의 옵션으로 바이퍼 dps 상승량이 3.187배 였습니다.
http://df.gamechosun.co.kr/board/view.php?bid=job5&num=1370952&col=subject&kw=%EB%8D%B0%EB%B8%94%EC%8A%A4%20%EC%BB%A4%EB%A7%A8%EB%93%9C[데블스 커맨드 옵션 실험글 링크]
그렇기에 데블스로 인한 크로니클>레전더리, 에픽 등급의 장비 셋팅 격차를 깨부수는 것이 옳으며, 이를 위해선 바이퍼의 데미지 하향이 아니라 데블스 커맨드의 옵션을 수정해야 마땅합니다. 밸패팀의 의도는 알겠으나
직접적인 원인은 데블스이지 바이퍼가 아닙니다. 바이퍼 30% 하향은 롤백해주고, 데블스 커맨드의 옵션 수정은 밸패팀에서 수치 조정해주시길 바랍니다.
Part2. 버그 개선
오래전부터 잔존하여 플레이에 지장을 주거나 딜로스를 유발하는 버그들에 대해 다루어보고자 합니다. 해결법이야 당연히 운영진 측에서 찾아야하기에 유저로서 말할 수 있는 것은 현상뿐이기에 그동안 플레이 하면서 겪은 현상들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그 동안 파악해온 버그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HS-1 친구들 로봇 소환 씹히는 버그
2. 물리컨버젼 랜드러너 크리티컬 버그
3. 잊땅 로봇 자유화(?)
4. 바이퍼 제로 랜드러너 미사출 버그
5. 템페스터 조준전폭 버그
6. 간헐적인 전폭 씹힘현상
(*퍼섭 업데이트 후 확인한 버그 추가합니다)
7. 스패로우 솔라모듈 스패로우TP 미적용
8. RX-60 오버플로우 현상
9. 전폭 데미지 증가량 오류 (추정)
1번부터 9번까지 하나씩 차례로 부연 설명 들어갑니다.
1. HS-1 친구들 로봇 소환 씹히는 버그
HS-1 친구들을 거치는 모든 스킬에서 간헐적으로 발생하며, 스킬시전시 쿨타임만 돌아갈 뿐 로봇은 소환되지 않습니다. 메카닉 2각 당시 발생해서 여태 남아있는 역사가 깊은 버그로 스패로우, 바이퍼, 바이퍼ex, 랜드, 카운트다운, 카운트어택, a팀 즉, 친구들을 통해 소환되는 로봇 전체에서 발생합니다. 딜로스로는 버그 중 TOP3 안에 들어가는 심각한 버그입니다.
2. 물리컨버젼 랜드러너 크리티컬 버그
유용한 버그로 물리컨버젼시 랜드러너의 크리티컬이 물크가 아닌 마크를 따라갑니다. 이기캐넌을 사용할 경우 쓸만한 버그로 12이기캐논 진빅고마부 마칼작. 2700정홀 벞받아도 아포위에서 물리컨버젼시 랜드데미지가 마공랜드보다 더 나왔었으니.. 유용하지만 수정되어야 마땅한 버그입니다.
3. 잊땅 로봇 자유화(?)
확인한 버그중 가장 희한한 버그로, 방 이동이 자유로운 잊땅에서 A방에서 로봇 소환 후 B방으로 이동. 그리고 다시 A방으로 돌아왔을 때, 기존에 깔아둔 로봇이 프라임의 것이 아니게되어 컨트롤 능력을 잃는 자유화 버그..입니다. 로봇을 풀어주는 것도 아니고.. 희한합니다. 랜드러너 카운트다운을 깔아두고 방 이동했다가 다시 돌아오면 전폭명령을 듣지도 않고 데미지 표기도 파티원 데미지 처럼 흰색으로 뜹니다. 로봇 제한 수도 적용안되는지 바이퍼7기 깔아두고 이동했다가 다시 돌아와서 추가로 7기 설치가능..하더군요. 별로 유용하지도 유해하지도 않은 버그입니다.
4. 바이퍼 제로 랜드러너 미사출 버그
1번 버그만큼이나 딜로스가 심한 버그로 바이퍼 제로의 탄알 + 레이저 딜만큼이나 비중이 높은게 공중으로 사출되는 랜드러너 데미지인데, 상당히 빈번하게 사출랜드러너가 공중으로 쏘아지지 않아 딜로스가 발생합니다. 설치위치부터 고려하지않으면 사출랜드러너를 몹에게 히트것도 힘들고 전폭증뎀을 노리기는 더 힘듭니다. 미사출 시에는 바이퍼 제로 딜이 반토막 날정도로 사출랜드러너 딜 비중이 높기에 카운터어택 처럼 바이퍼 폭발 후 랜드러너가 기어나오는 형식으로 바꾸어야 전폭증뎀 노리기 쉽고 버그도 수정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5. 템페스터 조준전폭 버그
템페스터는 과거에도 짜잘한 버그가 꽤많았지만, 여러번 수정받은 스킬입니다. 작년쯤 패치받았던 템페스터/스패로우 전폭 on/off 패치의 경우. 스패로우는 잘 적용되고 있으나 템페스터는 과거의 화려한 이력대로 버그가 잔존하여 전폭 on으로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준전폭 명령을 듣지않아 아그네스나 마테카에서 상당한 민폐가 되어버리는 경우가 가끔 발생합니다. 되더라도 전폭 명령 이후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자폭이 시전되어 파티원 전멸시켜버리는 악질 버그입니다. 심지어 템페소환 후 케릭터가 죽게되면 잊땅 버그와 유사하게 로봇에 대한 지휘권을 잃어버려 공중에서 마음껏 활개를 치고 돌아다니며 민폐를 끼치죠..그러면서 반사뎀은 꾸준하게 먹여서 파티원을 물먹입니다 ㄷㄷ
6. 간헐적인 전폭 씹힘현상
소환 타이밍이 조금 애매하게 적용되면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생각되며, 무의식적으로 플레이하다 보면 보통 카운트다운이나 카운트어택에서 확인되는 현상입니다. 버그라고 치기도 애매한것이 로봇 소환이 완료된 걸 확인하고 전폭하면 씹힘현상이 거의 없지만.. (카운트다운 카운트어택 소환 중일때 나타나는 반투명 상태가 지난 후에 전폭을 사용해야 씹히질 않음..) 플레이 도중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기에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7번부터는 퍼섭에서 확인한 버그 목록입니다)
7. 스패로우 솔라모듈 스패로우TP 미적용
스패로우 데미지 자체는 TP 적용이 되고 있으나 솔라모듈 옵션으로 스패로우 데미지 딜링 방식이 변경될 때는 TP 적용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TP를 마스터하나 0주나 데미지가 동일합니다. 수정 부탁드립니다.
8. RX-60 오버플로우 현상
TP까지 존재하는 RX-60이지만, TP 없이 SP 마스터만 하더라도 오버플로우 현상이 발생하여 데미지가 1들어가고 있습니다. 보조 스킬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딜링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스킬인듯 합니다만 데미지가 1들어가서야 어디 딜링기로 쓰겠습니까… 수정 부탁드립니다.
9. 전폭 데미지 증가량 오류 (추정)
오류라고 생각하고 싶을만큼 타격이 큽니다… 로봇전폭 데미지 125% 증가를 기존의 175%로 수정해주십시오. 꼭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수정은 앞으로 1주일간 여유 나는대로 지속적으로 할 계획입니다.
* 개편안 내용이 마음에 드신다면 복붙으로 던파 공식 홈페이지의 [캐릭터 밸런스 의견 남기기]에 글 작성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글 등록하는데 1분도 채 안걸립니다. 힘 보태주세요
http://df.nexon.com/df/news/event?mode=view&no=398558[던전앤파이터 공홈 - 캐릭터 밸런스 의견 남기기 링크]
* 일어나라 프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