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유저뉴스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일반] 복사사건의 전말 그리고 디아3판 작전주

졸로
댓글: 16 개
조회: 15313
추천: 1
2012-07-06 04:11:03

 

1. 복사사건의 인증샷이라고 올라온 사진의 정체

 

 

골드복사에 관한 글을 보면 그 대상은 토파즈이다.  하지만 위 인증샷에 나온 금액은

사각'루비' 6300개를 구입 후 환불금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부터 구린내가 나기 시작함.

 

여기서 말하는 환불금이란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상황에서 개당 가격 5000원인 보석을 하나 구입해보자.

최근 10회 거래 평균 가격은 3204원.

 

 

 

보석의 실제 구입비는 3204원이고 1796원이 환불됐다.

3204원은 위에서 봤던 최근 10회거래량의 가격과 동일하고 환불금 1796원을 더하면 정확히 5천원이 된다.

 

즉 보석을 구매하면 자동으로 최저가격에 올라온 보석이 최우선 순위로 구입되고

최저금액보다 더 들어간 금액은 곧바로 환불이 된다.

 

 

이해했다면 맨 위 골드복사 인증샷이라고 올라온 사진을 보자.

 

위의 사진은 사각'루비' 6300개를 엄청난 금액에 구입했지만

우선순위에 있던 물품들의 최저가격이 턱없이 낮았기때문에

환불금 또한 굉장히 커진 것이다.

 

한가지 의문은 왜 저렇게 큰 돈을 들여서 사각루비 6300개를 구입하고

환불금을 캡쳐해 공개했을까? 돈자랑을 하려면 그냥 인벤 찍으면 될 것을.

좀 더 생각이 필요한 문제지만 확실한 건 토파즈 골드복사와는 무관한 사진이라는 것이다.

 

 

 

 

2. 현거래 사이트 시세 폭락

 

 

골드복사 글에 첨부된 시세표다. 아이템베이의 표를 인용한 것인데

단기적으로 이것만 보면 마치 토파즈 골드복사때문에 시세가 급락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지난 한달간의 시세표를 보면 어떨까.

 

 

(아이템매니아)

 

 

급락하는 구간마다 복사가 터진 것일까?

골드시세는 시간이 지날 수록 내려갈 수밖에 없고 그 변동폭은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

 

더군다나 7월 한달간은 작업장들에 커다란 변화가 찾아오는 시기다.

"반기별 1천200만원 이상 아이템을 판매하는 과세 사업자는 당연히 규제 대상이며

그 이하에 대해서도 거래 금액, 규모 등을 조사해 별도로 행정지침을 만들겠다""

 

7월말부터 법안은 효력이 있으며 아직 규제자체가 허술할 수 있지만 

감시와 규제를 적극적으로 하기 시작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작업장들은 불안해질 것이며

시간이 지날 수록 그 타격이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게 작업장들이 조급해지기 시작하면

시세가 요동치는 건 당연하다. 

 

물론 복사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순 없지만 좀 더 정확한 자료가 나오기 전까진 루머에 불과.

 

 

 

 

 

 

3. 이번 토파즈 골드복사 관련 정보로 인해 이득을 본 사람들이 있다? 일명 디아3판 작전주

 

http://www.ilbe.com/103490738

간략하게 정리된 글.

 

 

 

 

 

 

사족.

 

토파즈 골드복사 사건에 대한 진실은 아직 아무도 모릅니다. 다만

 

"토파즈 골드복사로 수백억,수조,수십조가 복사됐다." 는 말과

어설픈 인증샷과 도표로 수많은 사람들이 낚이고 혼란스러워 할 수 있다는 것.

그건 곧 어떤 목적을 위해서 시장을 교란시키기 위한 의도였을 수도 있고

단순한 장난일 수도 있습니다. 진짜일 수도 있죠. 모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합니다.

 

 

불규칙한 시세급락은 필연적.

 

.늘어나는 작업장 // 털고 빠지려는 작업장

.늘어나는 앵벌유저 // 줄어드는 신규유저

.너프된 불지옥 난이도 // 버프된 불지옥 액트1,2 드랍율

.곧 시작되는 작업장 규제 -> 점차 구체적으로 확대시행

.만약이지만 작업장중에서도 토파즈 골드복사에 낚인 곳이 있을 수도

등등

 

 

 

 

 

Lv40 졸로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