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파밍상태가 더 좋으신분은 데미지나 방어력에서 조금 더 나은 퍼포먼스를 낼수 있을겁니다.
4. 빌드 운영
높은 방어도와 정복자 및 스킬노드에서 얻는 피해감소를 바탕으로 그냥 붙어서 전기채찍으로 팹니다.
적이 보이면 눈보라를 먼저 뿌려놓고 순간이동으로 진입합니다.
쿨감옵션을 최대한 챙겼으므로 <얼음칼날> 과 <전기채찍>쿨감효과로 쿨타임스킬들을 계속 초기화하여 연속으로 쓸 수 있게 합니다.
쿨감효과로 인해 <얼음갑옷>이 거의 상시 유지됩니다. 방어도와 피감을 많이챙겼기때문에 보호막 충전이 항상 캡값을 유지해서 잘 안벗겨집니다.
따라서 화염보호막을 사용하지 않는 빌드로 구성하였습니다.
CC가 퍼져나가는위상은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CC종류가 많고 엄청 자주 걸게되어 제어불가 상태에 자주빠집니다.
그리고 유의미한 데미지는 내 코앞의 적에게만 줄수 있기때문에 멀리있는적이 CC에 빠졌다한들 뎀증과 연관되지 않기때문입니다.
-각 스킬의 사용법과 용도-
<얼음칼날>, <얼음갑옷> 스킬들은 헬퍼 사용해도 됨
모든 스킬은 그냥 쿨타임오면 바로바로 쓰는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대부분이 쿨타임스킬이므로 <얼음칼날> 마부효과로 <얼음칼날>을 많이 소환할 수 있습니다.
<얼음칼날> : 취약 대상을 공격하면 <얼음칼날>의 쿨타임이 0.5초씩, 다른스킬은 0.1초씩 감소합니다. 또한 마법부여로 인해 쿨탐스킬들을 지속 사용시 누적소환개수가 엄청 많아집니다.
최대한 챙긴 쿨감옵션과 창조술사문양의 지속시간 증가로인해 보통 3개에서 6개까지도 누적 소환됩니다.
데미지에도 일정부분 기여하지만 글로벌 쿨감이 메인역할입니다.
<서릿발> : 서리대공세 위상 사용하지 않습니다. 서리대공세 사용시 내부 쿨 1초때문에 얼음칼날 마법부여가 1초로 적용됩니다. 오히려 마이너스요소 입니다.
서리대공세 안써도 보통 쿨감되어 서릿발 쿨이 4~7초 만에 돌아오는데, 쿨오자마자 계속 사용해 "빙결" 과 "취약" 을 계속 걸어줍니다. 잦은 상태이상으로 적은 저지불가가 되지만 "취약"을 걸기위해 바로바로 사용합니다.
<얼음갑옷> : 마찬가지로 쿨탐되자마자 바로바로 사용합니다. 쿨감이 많이되어 거의 끊이지않고 보호막 효과가 유지됩니다. 웬만한 단수에서는 얼음갑옷이 안깨집니다.
<순간이동> : 무한갑옷을 안쓰므로 쿨타임이 굉장히 짧습니다. 피해감소 효과 유지용으로 자주 사용합니다.
높은행적과 감전데미지도 주는스킬이므로 행적-이불과 행적-[격동]스턴 을 잘 발동시켜줍니다.
<눈보라> : [7/14] 뎀감위상을통해 탱킹력을 더 높이고 얼음가시 보조딜로 딜로스를 최대한 줄였습니다. 얼음가시는 눈보라 자체 지속딜과는 달리, 연소도 뭍힐수있고 극대화+걸불효과 모두 받기때문에 위상까지 채용해서사용합니다. 마나소모 스킬이지만 의도적으로 자감옵션을 챙기지않아 40마나로 사용하여 [마나보호막] 패시브를 더 자주발동시키게하여 추가 뎀감까지 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2.5회 시전시마다 마나보호막 발동)
<전기채찍> : 메인 딜스킬이며 부가적으로 스턴된 적 타격시 쿨감효과가 있습니다. 10회타격마다 스턴도 겁니다. 스턴된적 찾아다니며 떄리면 효율이 좋겠지만 귀찮으니 그냥 코앞에 적 패셔도됩니다.
- 파생빌드 유형 및 방향성 -
기본적으로 방어와 피감을 챙긴 극탱법사 개념으로 가되, 메인딜이나 보조딜 스킬에 변화를 주시면 되겠습니다.
얼음칼날의 데미지가 무의미하다고 느껴진다면 4포인트 빼셔도 됩니다.
궁극기 빼고 얼음파편같은 다른 마나소모스킬을 써도 됩니다. (이 경우 검의달인위상을 폭풍격화같은걸로 교체)
스킬노드 좀 변경하여 눈보라 (메인딜이라기보단 보조딜+부가효과이용) 사용시, 투구에 눈경비병의 위상 활용으로 피감을 더 챙길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을 [7/14] 적용하였습니다
운명의 주먹으로 이동불가를 걸긴 하는데, 제어의 위상이 이불상태 곱연산증뎀을 해주긴하지만 극확이 딸려서 걸불의 효율(극대화가 터져야 증뎀이 발동하므로)은 좀 떨어집니다. 그래도 불피감 때문에 화염탄 마부가 중요하지만, 이부분(불피감과 걸불 뎀증효과)을 포기하면 화염탄마부 대신 다른마부활용도 가능합니다. 얼음파편, 화염구, 얼음보주 마부정도 고려해 볼 수 있겠습니다
5. 플레이 영상
어느정도 빌드윤곽이 나오자마자 적당한 고단인 78단과 파밍용 55단 솔플 영상 찍어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