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제가 쓰는 정복자 보드입니다.
https://diablo4.inven.co.kr/db/paragon/32449
스펙은 이렇게 됩니다.
대지방벽의 경우 효율이 좋은 보드는 정해져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빌드가 비슷하리라 생각합니다.
그럼 차이는 문양과 약간의 소소한 차이겠죠.
대지방벽에서 핵심 보드는 내면의야수, 대지의 파멸, 죄어오는 촉수 이 3가지입니다.
- 내면의 야수는 방어력과 생명력을 올려서 기본 몸빵을 만들어 주는 보드
그리고 '보호자' 문양과 아주 잘 맞습니다.
방어를 더 올릴 수 있습니다.
- 대지의 파멸은 대지기술의 딜을 올려주는 보드
여기서 전설 노드인 '대지의 파멸'은 곱연산으로 딜을 높게 올려줍니다.- 군중제어의 조건이 있음..
여기서 전 '변신술사' 문양을 썼습니다.
대지방벽 딜과 극확을 올려줍니다.
- 죄어오는 촉수 보드는 자연마법기술과 생명력을 올려주는 보드
여기서 전 '천둥충격' 문양을 썼는데
마법 노드의 효과를 높여주기 때문에 대지방벽의 딜을 올려주고 능력치를 올려주기 좋습니다.
4보드까지 보너스 옵션을 받을려면 지능 450 / 민첩 440 이 필요합니다.
- 천둥충격 보드는 약간의 데미지감소와 민첩계통의 문양을 쓰기 위한 보드
- 대학살의 욕망보드는 공속때문에 쓰는 보드인데 지능 문양인 '의연함'의 효율이 좋습니다.
이 '의연함' 문양은 영혼은총에서 '강화'를 썼을때 효율이 더욱 좋아집니다.
- 고조된 악의 보드에 대해
고조된 악의 보드는 '독'과 관련된 옵션들이 있는 보드입니다.
전 클래식대방의 경우 중독의 효율이 낮다고 생각합니다만..
'고조된 악의 전설노드'는 딜은 높게 올려줍니다. 물론 조건이 있고
그 조건이 보통 일반몹을 상대로 하는것이라 생각해서 쓰지 않았습니다.
고조된 악의 보드에서 문양을 사용시 보통 의지력 기반의 문양을 사용하게 되는데
'늑대인간' 문양을 사용하면 확실히 몸빵이 좋아집니다.
늑대인간상태에서 데미지 감소 10% & 중독 피감
**문양에 대해서**
1. 변신술사
'변신술사' 문양은 형태를 변환할때 20% 확률로 극대화가 적중한다고 나와있는데 '변신술사 노드' 와 다릅니다.
변신술사 희귀 노드 : 변신 기술에 적용 - 대지방벽에 적용 안됨(곰뚝 쓰면 적용됨)
변신술사 문양 : 형태를 바꾸면 적용 - 늑대폼에서 대지방벽을 사용할때 인간폼이 되기 때문에 적용됨
그런데 극확 %에 대한 말들이 조금 다릅니다.
단순히 자신의 극대화 확률 + 20% 이면 매우 좋지만
자신의 극대화 확률과는 별개라는 사람도 있습니다.
저도 실험은 해봤으나 극확이 잘 터지는건 맞는데 정확한 확률까지는.......
허수아비 같은게 필요합니다...(와우에는 있던데...)
그럼 두 가지 경우에 대해 설명을 하면
- 자신의 극확 + 20%
보통 캐릭창의 극확이 35~40 입니다. 그리고 '포식본능'을 통해 6%가 추가되죠(근거리)
그럴경우 극확은 61% ~ 66% 가 됩니다.
- 기본 극확과는 별개로 적용
이 경우 자신의 극확이 35%이면 포식본능 6%를 더해 41% 확률로 극확이 터지는데
극확이 터지지 않은 나머지 59%에 '변신술사'가 적용되어
실제 극확은 41% + (59 x 0.2) = 52.8% 가 됩니다. - 적용순서가 바뀌어도 똑같습니다.
이 경우 효율은 줄어들지만 극확을 11% 넘게 올려줍니다.
이 '변신술사'문양은 영혼은총에서 '낫발톱'을 쓰지 않을때나 자신의 극확이 낮을때 효율이 더 좋습니다.
- 영혼은총에서 '무쇠깃털' 을 사용하면서 극확을 챙길수가 있죠.
2. 늑대 인간
늑대인간 문양은 늑대인간상태시 데미지 증가와 데미지 감소
대지방벽을 사용후 늑대인간상태일때 대지방벽이 터지면 데미지 증가 효과를 받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새롭게 대지방벽을 사용해서 터뜨리기 때문에 인간폼이 되어 데미지 증가가 적용안됩니다
3. 송곳니와 발톱
송곳니와 발톱 역시 대지방벽시 인간폼이 되기때문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4. 기백 / 착취 / 세력권
민첩계통의 문양으로 기백은 필수 / 딜은 착취 / 몸빵은 세력권 > 비슷하나 셋팅에 따라 차이가 있음
정복자를 여러번 바꾸면서 해봤습니다만....
뭘 어떻게 해도 100단은 다 가능합니다.
나름 몸빵과 딜을 어느정도 다 챙긴것으로 생각되어서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