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령술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잡담] 피의 파도 개념 심화과정

이바노삼바노
댓글: 42 개
조회: 15741
추천: 36
2025-02-26 15:30:14
피의 파도의 개념중 심화 과정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이 계신거 같아 적게됨


1. 보강공을 담금질하는 이유
우리는 담금질에 보강공을 사용 하는데 왜 보강공을 써야하나? 라는 질문에 대답입니다.
이건 피파도 5회 스킬포인트를 주었을시 주어지는 보너스입니다. 
보이는것 같이 건강 상태 및 보강 상태일때 주는 보너스가 곱연산 30%나 증가하게 되는데
이 곱연산은 우리가 담금질에 붙이는 보강상태 공격력에 대한 합연산과 후에 설명할 마시는자
보너스에 대한 계산식 이후 붙는 곱연산식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보강공을 챙기게 됩니다.

2. 그럼 피제압 피해보다 보강공이 더 좋은가요?
네 후에 서술할 응결된 피와 피의 격류의 차이점과 위에서 서술한 피파도 깡뎀을
더 올렸을시 더 나은 딜이 나옵니다.

3. 마시는자 문양을 챙기는 이유가 뭐인가요?

마시는자의 노드 설명 입니다. 건강 상태일 때 주는 피해는 앞서 설명 드렸듯이, 연산 이후
곱해지는 연산식이기에 마시는자 문양 하나만으로 챙길 수 있는 깡뎀이 30% 가 넘어간다는
계산식이 만들어 집니다. 깡룬 하나로 30+a % 증뎀이면 안챙길 이유가 없겠죠?

4. 그럼 명품화 할 때 최생 3저격보다 보강공 3저격이 더 좋은가요?
딜 자체는 보강공을 3저격 했을때 오르는 딜이 가장 강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피의 파도를 150단을 돌기 위해 사용 하고 돌아본 분은 아시겠지만
안정성도 무시할만한 부분이 아닙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최생 3저격과 보강공 3저격의
딜차이는 최대 0.7% 정도의 차이 밖에 없으므로 안정성 + 딜 까지 챙기실 수 있는
최대 생명력에 3저격을 하시길 권장 드립니다 
(출저 : 모더짚님 유튜브)

5. 그럼 모든 템의 유효 옵션을 알려주세요
(진한글씨 3저격 명품화 권장 , *표 어픽스이면 좋음)
머리 : 영벌의 후예 (유효옵 - *극확, *행적) 
가슴 : 수의 (유효옵 - *모능, *최생)
장갑 : 선조 전설 장갑 (유효옵 - *지능, *최생, 극확 or 공속)
바지 : 케시메의 유산 (유효옵 - 피파도 두배피해* 궁재감)
신발 : 선조 전설 신발 (유효옵 - *지능, *최생, *방어도) 방어도 어픽을 챙기면 
특성중 대못을 빼고 다른 특성에 투자가 가능해집니다.
무기 : 선조 양손 둔기 (유효옵 - *지능, *최생, 행적 자원회복)
목걸이 : 선조 전설 목걸이 (유효옵 - *응결된 피 , *피의 격류  *어스름, *최생, *지능)
반지1 : 선조 전설 반지 (유효옵 - *지능, *최생,  행적 취약)
반지2 : 선조 전설 반지 (유효옵 - *지능, *최생, 극확 or 공속)

6. 무기는 어디에 명품화 하나요?
무기는 이번시즌 새로생긴 담금질인 거인의 몰락에 3저격 해줍니다.
디아3를 해보신 분들은 알고계실 용광로 효과 입니다. 
카나이에 용광로 달고 딜하는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7. 목걸이 옵션은 어떻게? 명품화는?
결론적으로 목걸이의 최상옵션은 응결된 피 6, 피의 격류 5, 나머지는 어스름>최생>지능 순 입니다.
응결된 피의 효과는 건강상태에서의 데미지 증가 입니다만 우리는 언제나 건강 상태를
유지 할것이기 때문에 그냥 깡뎀 6퍼가 올라간다 라고 보실수 있고
피의 격류의 효과는 피 제압피해 10퍼 입니다.
수치상으로만 봤을때는 피의 격류에 3저격을 하는게 가장 강해 보이지만
응결된 피의 6퍼센트 데미지는 피의 파도 데미지 보너스에도 영향을 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응결된 피나 피의 격류에 모두 몰빵하기 보다는
골고루 섞어서 명품화를 하게 됩니다.
수치상 올라가는 데미지는 응결된 피가 피의 격류보다 1정도 더 높은 명품화가
1% 정도 딜이 강하고 어느 하나 몰빵한 데미지 보다는 섞어 올리는게 5%정도의 딜 상승 기대치가
있습니다. 

나머지 옵션은 위에서 설명했듯 어스름이 가장 좋고 지능과 최생은 최생이 더 좋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실험 결과로 최생과 지능이 어픽스가 아닐때는 지능이 더 좋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두 옵션중 고민중이시라면 어픽스라면 최생, 어픽스가 아닐시엔 지능을
챙기시는게 더 좋은 선택입니다. 
(광휘의 공물 140바퀴를 돌고 먹은 목걸이로 얻은 빅데이터 입니다. 믿을만 하실거에요)
그냥 지능이 더 좋다네요 중국 강령 1등이 오피셜을 냈답니다.

8. 나머지 2차 스탯에 관하여
2차스탯 목표는 최우선적으로 극확을 100퍼를 찍고 나머지 부가적인 2차스탯으로 공속을
챙겨야 한다 라는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공속에 관련된 내용은 차후 설명 드리겠습니다.
일단 극확 100퍼를 가장 최우선 적으로 챙기시고 100퍼가 찍혔다면 공속을 꼭! 챙기시길
권장 드립니다.

9. 빠른피 VS 맹렬한 싸움꾼의 위상 , 그리고 공속에 관하여
일단 이해하시면 좋은게 3가지 정도 있습니다.
우리가 마지막에 찍는 고유 패시브인 라트마의 원기는 15초 동안 건강 상태를 유지하면 다음에 사용하는 피 기술이 제압 효과를 얻습니다. 친절하게 스택으로 표시를 해주죠.

두번째 효과로 피의 구슬이 생명력을 400 회복시키거나 초과 치유할 때마다 다음 효과 발동에 필요한 시간이 2초 감소합니다. 그러니까 피구슬을 먹으면 라트마의 원기 15스택이 빨리 차겠죠? 그리고 깡으로 제압피해를 120퍼를 올려줍니다.

이 라트마의 원기 효과로 15스택을 채우고 피파도를 쓰면 제압피해가 뻥 터지면서 
아주아주 아픈 딜을 낼수가 있죠.

두번째로 이해하셔야 할건 피의 파도 마지막에 찍는 최고의 피의 파도 효과 입니다.
피파도가 6개의 피의 구슬을 떨어 뜨립니다. 라고 되어있는데 우리는 해일 위상을 쓰죠?
그래서 피파도가 3번 치게 되고 총 18개의 피의 구슬을 떨구게 됩니다.
피파도가 펑펑펑 하고 3번 칠때 우리가 피구슬을 먹으러 돌아다니는 이유 입니다.
피의 구슬을 먹으면
1. 라트마의 원기 스택이 빠르게 찬다 = 제압피해를 빠르게 때릴수 있다 
2. 정복자 보드의 "피를 부르는 피" 효과를 보게됩니다.
3. 그리고 세번째로 빠른피 의 위상이 있습니다. 
이 위상을 착용하게 되면 피의 구슬을 먹을때 궁극기 쿨타임이 감소하게 되죠

그런데 150을 좀 더 빠르게 밀고 싶었던 유저들은 그저 궁 쿨감만 해주던 빠른피 위상을
빼고 좀 더 강한 딜을 원했고 빠른피 위상을 빼고 맹렬한 싸움꾼 위상을 넣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쿨타임 감소 기믹이 필요했고 혐오스러운 노화를 사용 하기 시작했죠

혐오스러운 노화는 노화의 영향을 받는 적에게 공격이 적중하면 최대 15% 확률로 재사용 대기 중인 모든 기술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1초 감소합니다. 라는 툴팁을 가졌습니다.
여기에 노화는 행운적중확률 에 영향을 받기에 행적을 빠르게 터뜨릴수 있는 시체폭발을 통해
쿨감을 노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시체를 사용하면 식인 보드의 식인이 터지면서 딜을 더 챙길수 있게 되었죠. 그렇기 때문에 피의 파도가 치는 도중 시폭을 최대한 사용해 행적을 터트려 쿨감을 노리고 식인 보드로 인한 딜상승 까지 노리게 되었습니다. 피의 파도 빌드에 공속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결론적으로는 빌드 사용시 빠른피 위상을 사용할시엔 공속이 그닥 필요가 없다.
하지만 맹렬한 싸움꾼 위상 사용시 시폭을 최대한 욱여 넣어야 하기에 공속이 필요하다
보스전이 빠르게 끝나는걸 원한다면 빠른피, 더 높은 고점으로 기갱을 원한다면 맹렬한 싸움꾼의 위상을
채택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10. 무기에는 왜 룬을 박아요? 마부는 왜 행적 자원회복 인가요?
왕보석의 등장으로 지능의 효율이 무기에 박는 루비 보다 효율이 좋기 때문입니다.
어느정도 파밍이 되고 나면 제압피해는 10000퍼센트를 가뿐히 넘어가게 되고 
합연산으로 단 몇퍼를 올린다고 크게 딜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오히려
지능을 조금 더 챙겨 주는게 딜 상승에 더 큰 기여를 합니다.

룬은 이그니- 콱스 정도 고정하시고 나머지는 마음에 드시는거 쓰시면 됩니다.
저는 최생을 최대한 챙기고 싶어 잘 룬을 쓰고 빠른 파밍을 할땐 자 룬을 씁니다.
접두사는 잔 (궁사용시)이나 바크 (이동시) 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무기에서 행적 자원을 챙기는 이유는 빠른피를 빼고 고점을 더 보는 세팅을 할 시
우리는 반지와 목걸이에서 자원 회복 옵션을 챙기기 보단 궁 쿨감 옵션을 챙기게 됩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그니와 콱스 룬을 묶어서 사용 하는데 콱스 룬의 특성상
자원을 한방에 다 쓰는 세팅이고 자원이 항상 꽉 채워져 있어야 최대의 효율을 뽑아 낼수 있기에
자원 회복 옵션을 무기에서 챙기기 시작했고, 얼마 안되는 합연산 제압피해를 굳이
챙기기 보다는 행적 자원회복 옵션으로 자원을 채우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모르실수 있는 사실 중 하나는
강령의 궁극기 들은 행적이 무친 수준 (피파도 5포일시 행적 75%)
이기 때문에 자원이 마르는 걱정은 절대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우린 은근히 많은 행적을 챙기게 됩니다. 영벌 머리와 특성에서 챙기게 되는데
이게 은근히 쏠쏠 합니다. 그래서 신발과 장갑에서 행적 빙결이나 이동불가 옵션을 가져오면
공포 특성을 더 잘 이용하실 수 있으실겁니다.

11. 대충 150 운영 방법
맵 입장 - 부패로 체인 풀링 (부패는 콱스룬을 안먹음) - 5무리 이상, 슈퍼엘리트 2마리 이상 몰기
(킹리적 갓심으로 일부러 그렇게 배치한거 같긴 한데 맵 구석탱이를 잘 봐야 합니다. 슈퍼 엘리트들이
보통은 맵 구석에 짱박힌 경우가 많음)
- 피파도 - 이후  반복

12. 딜사이클을 잘 모르시는 분을 위해
라트마의 원기 15스택 확인 - 피파도 - 마름병 (콱스룬 발동을 최대한 피하기 위해 시폭 전 작업)- 피구슬 먹고 
피부피 버프 획득 확인, 구슬 먹으면서 시폭 연타 이후 식인 버프 획득 확인 - 다시 피파도
를 반복해주시면 됩니다.


더 궁금하신게 있으신 분들은 댓글 남겨주시면 아는 한도 내에 최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Lv51 이바노삼바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디아4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