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집/제작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공략] 개인적으로 만렙을 빨리 찍으면 좋은 직업.

아이콘 클라우드y
댓글: 4 개
조회: 7689
2015-09-12 15:57:26



 저는 아직 제작직업 만렙을 많이 못한 초보 입니다만.. 그래도 계속 제작을 하고 있는 입장에서 만렙을 찍은 뒤 계속 우려먹고 있는 직업을 말씀드릴까합니다.

 바로 보석공예가 인데요.

 제작직업은 50레벨까지 총 3개의 스킬을 공유 할 수 있습니다. 

 15 37 50 인데요.

 보석공예가는

 15 - 교묘한 손놀림(CP88). 3턴간 공정 완료시 내구 10을 회복시켜줌. 한마디로 3턴간 내구 10소모하는 스킬을 사용하면 0의 내구도가 소비된다는 소리 입니다. 
능숙한 땜질 1이 92 소모에 30 회복 시켜주는걸로 생각하면 조금은 그래도 절약이 되지 않을까합니다.

 37 - 견실한 작업(CP15). 내구 10을 소비해 작업을 40만큼 진행합니다. 이 스킬은 솔직히 만렙달면 쓸 일이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작업량이 150을 뛰어넘기때문에 이걸 쓰느니 그냥 중급 작업을 쓰는게 더 이득이거든요. 하지만 만렙 전 레벨링을 위한 재료들은 대부분 작업량이 이 견실한 작업 1~2번이면 작업이 끝나버립니다. 

 50 - 혁신(CP18). 다음 3회 가공때 숙련도가 50% 증가합니다. 개인적으로 제가 생각한 보석공예가의 가장 꿀스킬이라고 생각됩니다. 나중에 요리를 37까지 배우시면 [안정된 솜씨 2 -> 장족의 발전 -> 혁신 -> 성급한 손길 을 사용하시면 뻥뻥 터집니다.

 게다가 보석공예가의 아주 큰 장점은 바로 제작직 렙업 도중에 자신이 껴야하는 악세사리를 직업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에 있습니다. 제작 악세사리 팔긴 하지만 HQ로 생산시 적어도 한단계 높은 악세와 동급의 악세사리가 됩니다.

 이러한 점을 봤을때 저는 개인적으로 제작의 마스터를 노리시는 분이시라면 보석공예가를 만렙을 찍는게 더 이득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보석공예가는 광부와 병행하시면 아주아주아주아주아주 좋습니다.  

 솔직히 제작직에는 이게 정답이다 라고 하는게 애매한 것 같습니다.
 저는 요리를 아주 한참 뒤에 올렸거든요. 그 전까지 그냥 가공이 솜씨 1로 90%이긴 했지만 그래도 이 10%를 매꾸기 위해 요리직을 꾸역꾸역 올릴 필요가 없다고 판단 했었습니다. 이상이 제가 생각한 만렙을 먼저 찍으면 좋을 것 같은 직업 입니다.

 혹시라도 잘못된게 있다면 알려주세요. 

Lv67 클라우드y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4)

새로고침
  • 노바박사15-09-12 18:09
    신고|공감 확인
    교묘한 손놀림 같은 경우는 결국은 버프기라 고품질이 떴을때 어쩔수 없이 걸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더군요. 

    작업량을 채우는 스킬들이 평가가 안좋은건 아무래도 비급 수준까지 가지 않는 이상 작업량을 크게 신경쓰지 않아서 이기도 하고 대장의 독창적 발상 같은 경우는 작업량 품질도 둘다에 영향을 미칠수 있어서 독창적 발상 1까지는 끼는 편이구요.

    혁신은 비레고의 축복에 콤보로 들어가면 한번에 올라가는 품질이 1600 단위도 터지는 강려크함을 보여줍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지환15-09-12 18:10
    신고|공감 확인
    채집우선 ㅡ 목공 ㅡ 가죽 ㅡ 재봉 하고 나면 쑥쑥 오름
    답글
    비공감0공감0
  • 칠흑의검호15-09-12 18:26
    신고|공감 확인
    CP 82쯤 남기고
    안정된 솜씨 -> 장족의 발전 -> 독창적 발상2 -> 혁신 -> 비레고
    콤보가 품질 올리는 정석아닌가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예마15-09-13 11:54
    신고|공감 확인
    본인트리에 맞게 상황따라 유동적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파판14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