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편은 두가지 내용를 담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분석에 사용될 통계값에 대한 이야기이고,
두번째는 200GP만 있는 경우 GP를 쓰는 것보다는 더 모으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입니다.
1. 정제물 순도별 모래 기대값
홍련 이후 원예가/광부의 정제물 단계에 따른 모래 출현은 한가지 방식으로 정리되었습니다. 순도 5부터 NQ 모래가 나오고, 순도 6은 모래가 더 많이 나오고, 7단계는 HQ 모래가 나오지만 수량은 순도 6보다 줄어들고, 순도 8부터는 HQ도 나오고 수량도 제일 많이 나옵니다. 이러한 내용은 빔슬라이서님의 홍련정제 결과물들 통계를 내봤습니다.jpg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정제 분석 토막글 1편은 이 통계에 기반해서 이루어졌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위 값 외에도
紅蓮エリア 刻限の採集場所 霊砂の出現率 検証(パッチ4.0版)의 값을 합쳐서 사용합니다. 총 시험 횟수가 100회로 빔슬라이서님 값의 1/3도 안되지만, 제가 검색으로 찾아낸 유일한 값이라서 더했습니다. 큰 경향은 일치해서, 순도 7이 순도 6보다 수량이 적습니다. 다른 점은 좀 더 단계에 따른 차이가 커서, 빔슬라이서님의 값보다 순도 5, 6은 적고, 순도 7, 8은 많습니다. 이후로도 제가 직접 캐거나 다른 자료를 구하거나 해서 더할 값이 있다면 다 더할 것이라서 토막글끼리 값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합한 결과로, 정제물 단계에 따른 모래 기대값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모래 기대값 | NQ모래 기대값 | HQ모래 기대값 | 총 시도수 |
순도 5 | 0.55 개 | 0.55 개 | 0.00 개 | 143 회 |
순도 6 | 1.52 개 | 1.52 개 | 0.00 개 | 90 회 |
순도 7 | 1.20 개 | 0.73 개 | 0.47 개 | 100 회 |
순도 8 | 2.07 개 | 0.69 개 | 1.37 개 | 131 회 |
따라서 모래 획득만을 목표로 하며 NQ와 HQ를 동등하게 여긴다면, 순도 6 정제물은 순도 5 정제물의 3배 조금 안되는 가치를, 순도 8은 4배 좀 안되는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상 형태는 적화나 황화와는 다른 양상을 가져옵니다. 화폐용 소장품의 경우 두 단계의 추가 보상이 있고 최대 보상이 최소 보상의 1.3배에 불과하니까요.
각각 최대 보상의 비로 희귀도별 보상 곡선을 그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따라서 세가지 방식 중 희귀도를 많이 올릴 때 그 효과를 잘 받는 방식은 모래 정제입니다.
설문 글에서는 기대보상에만 입각한 것이 좋을지, 아니면 450 이상을 보장하는 것이 좋을지를 물어보았지만,
GP가 충분할 때는 희귀도를 올리는 것이 기대보상면에서도 더 좋아서 방향이 일치하고,
GP가 부족할 때는 어짜피 보장이 불가능하므로, 굳이 구분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2. GP를 쓰는 것은 어느 정도 가치가 있는가.
정제 대상 채집물은 시간제 채집장에서 얻는데, 정해진 ET 4시간 안에서는, 리셋을 통해 계속 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정제용 소장품 채집은 GP를 올인하는 것보다 상황이 안좋으면 버리고 GP를 아껴서 다음 기회를 노리는 것이 좋습니다. 즉, 정제의 경우 로테이션 전체의 가치를 볼 것이 아니라 상황별로 GP를 쓸지 말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GP는 많이 쓰면 많이 쓸수록 그 효과가 커집니다. 상황에 따라 GP를 아끼는 것이 아니라 다 쓴다고 한다면(직감 2 확률이 75%이고 상황에 따라 제일 높은 기대값이 나오는 방식을 따른다면), 600 GP를 쓰면 4.075개, 400 GP는 2.397개, 200 GP는 1.155개, 0 GP는 0.456개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600 GP를 쓸 때 200 GP의 가치는 (4.075 - 0.456)/3 해서 1.206 개/200GP(이하 GP효율)이 나오지만, 400 GP를 쓸 때는 0.970 GP효율, 200 GP를 쓸 때는 0.698 GP효율이 됩니다. 따라서 200 GP만 있다면 바로 쓰려고 하는 것보다는 보통은 안쓰고 모으는게 낫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기대값이, 사용할 GP 총량에 따라 바뀌는 것에서 추측할 수 있듯이, 유동적인 값이라는 점입니다. 위에서 예시한 값만 해도 전부 첫 선별로 직감을 쌩으로 쓸 때의 값입니다. 단지 이후에 600GP를 쓸 것인가 안쓸 것인가에 따라서 기대값이 크게 변합니다. 그런데 만약 GP효율이 나쁜 경우에 GP를 쓰지 않는다면 그 이전에 쓸 선별의 기대값도 변하니 효율도 바뀌고, 그러한 기대값 변화가 선별마다 또 다르니까 사용할 선별이 바뀌기도 합니다.
그나마 200 GP만 쓰는 경우, 각 기회에서 GP사용 기술을 쓰면 이후에는 더 쓸 GP가 없어지므로 비교적 변화가 간이합니다.
3. 200 GP만 있을 때 200 GP의 가치
직감 2 확률이 75%, 시간제 채집장에서 채집 횟수 추가가 안나온 경우를 전제하겠습니다.
3-1. 첫번째 선별
우선 손상도가 0일 때, 그러니까 첫 선별로는 다른 기술 사용 없이 직감만 쓰는게 가장 좋습니다.
따라서 200 GP를 들고 두번째 선별로 갑니다.
손상도 | 0/30 | 희귀도 | 0 | GP | 200/200 | 채집횟수 | 4회 |
최적행동 | 기대보상 | | 신중 | 직감 | 대담 | 심미신중 | 심미직감 | 심미대담 | 전력신중 | 전력직감 | 전력대담 |
직감 | 1.155 | | 0.702 | 1.155 | 0.950 | 0.764 | 1.058 | 1.081 | 0.432 | 0.913 | 0.727 |
3-2. 두번째 선별
첫번째 선별로 직감을 쓰고 나면 손상도가 10 오르고 희귀도는 103 오릅니다.
그리고 그 직감으로 심미안이 나온 경우 GP를 안쓰고 대담을 쓰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4, 5행이 첫번째 직감에서 심미안 나온 경우로, 최적이 심미-대담으로 나오지만
이 때 심미안은 얻은 것이니 GP를 쓴 것은 아닙니다.)
손상도 | 10/30 | 희귀도 | 103 | GP | 200/200 | 채집횟수 | 3회 |
최적행동 | 기대보상 | | 신중 | 직감 | 대담 | 심미신중 | 심미직감 | 심미대담 | 전력신중 | 전력직감 | 전력대담 |
심미직감 | 0.561 | | 0.288 | 0.331 | 0.476 | 0.143 | 0.561 | 0.476 | 0.000 | 0.284 | 0.049 |
심미최적 | 기대보상 | | 심미신중 | 심미직감 | 심미대담 | 심전신중 | 심전직감 | 심전대담 | | | |
심미대담 | 1.352 | | 0.972 | 1.279 | 1.352 | 0.285 | 1.122 | 0.952 | | | |
심미안이 나오지 않은 경우, 심미안을 쓰고 직감을 쓰는 것이 0.561개로 가장 좋습니다. 직감이라서 심미안의 효과를 비록 52 밖에 받지 못하지만, 이 직감으로 심미안이 나온 경우 심미안-대담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죠.
여기서 심미안의 효율을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심미안을 안쓰면 대담이 가장 좋아서 0.476개를 얻습니다. 그런데 이 값의 경우 사실 세번째 선별을 쓸 때 200 GP를 써서 얻는 이익이라서 이 두 값의 차이는 200 GP를 쓰냐 안쓰냐의 차이가 아니라 심미안을 지금 쓰냐 나중에 쓰냐의 차이입니다. 따라서 같은 포지션일 때 GP를 아예 안쓰는 경우의 값을 따로 계산해서 비교해야 합니다.
손상도 | 10/30 | 희귀도 | 103 | GP | 0/0 | 채집횟수 | 3회 |
최적행동 | 기대보상 | | 신중 | 직감 | 대담 | | | | | | |
직감 | 0.142 | | 0.000 | 0.142 | 0.024 | | | | | | |
따라서 이 때 심미안의 GP효율은 ( 0.561 - 0.142 ) / 1 = 0.419 입니다.
3-3. 세번째 선별
이제 손상도 20일 때입니다.
우선 첫번째 직감에서 심미안이 안나오고 심미안-직감을 쓴 경우, 이제 더 쓸 GP가 없어서 효율 비교할 것은 없지만,
손상도 | 20/30 | 희귀도 | 258 | GP | 0/0 | 채집횟수 | 2회 |
최적행동 | 기대보상 | | 신중 | 직감 | 대담 | | | | | | |
대담 | 0.053 | | 0.000 | 0.000 | 0.053 | | | | | | |
심미최적 | 기대보상 | | 심미신중 | 심미직감 | 심미대담 | | | | | | |
심미대담 | 0.731 | | 0.339 | 0.139 | 0.731 | | | | | | |
이 됩니다. 두번째 선별에서 심미-직감의 기대값인 0.561은 여기에서 75%*0.731+25%*0.053의 결과입니다.
첫번째 선별에서 심미안이 나와서 심미-대담을 쓴 경우, 희귀도 범위 241~360으로 70개의 값인데 70의 표를 여기에 다 보여드리긴 힘드니까,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점선이 신중을 쓴 경우로 생략해도 되는데 일단 표시했구요(마지막 선별이므로 직감은 더 낮아서 생략했습니다).
실선이 대담을 쓴 경우입니다. 초록색이 GP를 안쓴 경우, 파란색이 전력을 쓴 경우로 초록색의 2배 값이 되고, 빨간색은 심미안을 쓴 경우로 희귀도가 낮을 때는 좋지만, 일정 이상이 되면 전력을 쓴 경우보다 못해집니다(희귀도 334에서 전력이 올라갑니다).
GP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값은 일반적인 경우는 초록색 선이 아니라 따로 구해야 하지만, 앞서 언급한 것처럼 200GP에 한정하면 마지막 선별인 경우에 초록색 선을 바로 쓸 수 있습니다(사실은 주의력을 쓸 수 있으므로 채집 횟수 추가가 안된 경우까지 한정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그래서 각 희귀도별 GP효율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노란 선이 600GP를 다 쓸려고 할 때의 200GP당 전체 기대 효율로 이번 분석에서는 참조용으로만 보시구요. 보라색 선은 600GP를 모으고 첫 직감에서 실패(!)했을 때의 기대 효율로 1.045입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약식으로 이 값을 기준으로 삼아서, 희귀도 346 이상일 때 이 이상의 효율이 납니다.그리고 조건부 확률로는 9/70으로 약 12.9%이고, 전체 확률, 그러니까 채집장 1곳에서 이런 경우가 나올 확률은 직감 2 확률이 75%일 때 약 9.6%입니다. 이는 ET 4시간의 한 타임을 풀로 돌 때 1번 정도 나타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정리하자면, (채집장에 채집 횟수 추가가 없고, 직감 2 확률이 75%일 때(66레벨 채집물을 감별력 1350으로 캘 때))
효율이 1.045 미만일 때 GP를 아끼는 것으로 하면, 200GP를 들고 채집장을 열어서 직감(심미안 발동)-대담-희귀도 346 이상일 때만(9.6%의 확률) 200 GP로 전력 집중+대담을 쓰는게 좋습니다. 그러면 채집장 1번의 모래기대값은 0.5040개로 확 내려가지만, 90.4%의 확률로는 여전히 200 GP를 들고 다음 기회를 기약할 수 있습니다.
물론 효율이 떨어질 때 아끼는 것은 그렇게 아낀 것을 쓸 수 있을 때입니다. 마지막 리셋에서 200GP가 남았고 희귀도 300이 나오면 심미안을 쓰는게 맞고, 341이 나오면 전력을 쓰는게 맞을 것이고, 리셋할 기회가 더 있더라도 그 때까지 아껴서 600GP를 못모을 상황이라면 그보다 낮은 효율이라도 GP를 써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마지막 상황으로부터 역진하면 비교효율을 좀 더 내려야 하긴 할텐데 내려갈 기준이 약식으로 쓴 초록선이 아니라 노란선일 것이라서 초록선보타 위일지 아래일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