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버세틀 실버 쿠폰으로
다양한 게임 중에 2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씨프, 앨런 웨이크, 저스트 코즈 2 등 다양한 게임이 사용자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 쿠폰 등록 주소 : http://www.amd.com/radeonrewards
XFX
라데온 R7 260X CORE EDITON D5 1GB
XFX R7 260X CORE Edition의 전체적인 모습입니다.
검정 색상의 PCB 및 쿨러로 고급스러운 느낌입니다. 특히 기존의 고급형 XFX 제품 디자인의 아담한 버전으로 느껴집니다. 보급형
카드라고는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세련되고 깔끔한 디자인을 보여줍니다.
XFX 로고가 새겨져 있습니다.
유저들 사이에서 속칭 옆간지라고 하는 측면 디자인 부분입니다. 측면
부분의 디자인까지 고려한 모습으로 XFX 로고 부분에 보호 비닐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출력부분은 DVI 포트
2개와 HDMI 및 디스플레이 포트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쿨러 커버 및 휨방지 가이드가 검정색 나사로 함께 고정이 되기 때문에 그래픽카드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이 되는 모습입니다.
휨방지 가이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다만 고급형 제품에서 볼 수
있는 알루미늄 형태가 아니라 플라스틱으로 실제로 휨 방지 기능을 겸하고는 있지만 그 것 보다는 디자인 적인 요소가 크다고 여겨집니다. 어차피 휨
방지가이드가 없다고 해도 260X 쿨러 자체가 그렇게 무거운 편은 아니기 때문에 기판의 휨 현상 등은 걱정하지 않아도 되며 디자인적으로
깔끔하면서도 세련되게 보이는 것이 포인트라고 생각합니다.
쿨러 뒷부분 나사
두곳에는 XFX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물론 디지탈그린텍의 A/S 규정상 해당 스티커가 제거가 되어도 코어 및 기판 등의 외형적으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A/S를 받는데는 크게 지장이 없는 부분이지만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쿨러를 탈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티커를
깔끔하게 둔 상태로 사용하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쿨러는 90mm
쿨링팬이 사용되었으며 히트파이프 2개가 구성되어 쿨링에 도움을 주도록 하였습니다.
그래픽카드의 전체적인
모습입니다. 블랙 색상의 PCB로 고급스러움이 묻어납니다.
휨 방지 가이드는 앞서
간단하게 살펴보았지만 플라스틱 형태로 단단하지는 않아서 부러질 염려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되도록 탈착을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픽카드의 무게가 위, 아래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가이드를 비틀지 않는 한은 휨 방지 기능을 적절하게 해주며 더불어
디자인적으로 깔끔함을 더해주게 됩니다.
전원부는 레퍼런스
수준의 안정적인 구성입니다.
6핀 보조전원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라데온 R7 260X
GPU의 모습입니다.
ELPIDA 메모리가 사용되었습니다.
성능
테스트
CPU
: Intel i7-4790K 데빌스 캐년
M/B : ASRock Z97 Extreme 4
RAM : Samsung PC-12800
4GB x 2
VGA : XFX RADEON R7 260X CORE EDITION & MANLI
GTX 650 1GB
SSD : Plextor M5 PRO 128GB
HDD : Doshiba
DT01ACA200
POWER : Micronics Classic 2 500W
4790K 시스템
구성이며 비교 제품으로 기존에 보유하고 GTX 650과 성능 테스트를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GTX 750과 비교 테스트를 하면 더욱 좋겠지만
다소 아쉬운 마음을 달래보면서 GTX 650에서 260X로 바꾸면 성능 차이가 발생하는지, 실제 3D 게임에서는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실제로
체감이 되실 수 있도록 구성을 해보았습니다.
GPU-Z로 확인한 기본정보입니다.
▶ 3D
MARK
3D MARK 테스트
결과 R7 260X의 경우 4천점이 넘는 수치로 거의 2배나 되는 점수 차이를 보여줍니다. 기존의 테스트 내용을 인용해서 살펴보면 시스템은 조금
다르긴 하지만 GTX 750 Ti의 경우 4200점 수준으로 750 Ti에 비해 약간 낮은 수치를 보여줍니다.
▶
Unigine Valley Benchmark v1.0 & Heaven Benchmark v4.0
Unigine Valley 및 Heaven 벤치마크 점수로 R7
260X가 좋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벤치마크 프로그램 점수로는 R7 260X와 GTX 650의 차이가
다소 발생하는 모습입니다. 실제 3D 게임을 플레이 하는 경우에도 그러한 성능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3D
GAME 성능 테스트
3D GAME 테스트는
주로 패키지 게임 위주로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옵션 별로 측정을 해서 살펴보았습니다.
R7 260X의 경우 높음 수준에서 아주 원활한 플레이가 가능하며
GTX 650의 경우 동옵션에서 10~20프레임 정도의 차이를 보여주며 한단계 정도 낮은 보통 수준이 적합합니다. 대략 1단계 옵션 정도의 성능
차이가 발생합니다.
* 원본 리뷰에는 동영상이 포함되어 있으나 게시판 특성상 게시가
불가능하여 링크로 대체합니다.
동영상을 리뷰상에서 한번에 보실 분께서는 원본 리뷰 참조
부탁드립니다.
* 성능 테스트 부분 원본 사용기 링크 :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최고급)
▶ 플레이 영상 (GTX 650, 최고급)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고급)
▶ 플레이 영상 (GTX 650, 고급)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높음)
▶ 플레이 영상 (GTX 650, 높음)
씨프의 경우 성능 차이가 다소 발생하게 됩니다. 다만 위의 차트
상의 프레임 수치는 게임 자체 벤치툴을 활용하여 측정을 하였는데 실제 플레이 시에는 위와 같이 최악의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아래의 동영상을
참조하여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R7 260X의 경우 높음까지도 커버가 가능하지만 GTX 650의 경우 보통 밑으로 옵션을 설정해야
원활한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매우 높음)
▶ 플레이 영상 (GTX 650, 매우 높음)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높음)
▶ 플레이 영상 (GTX 650, 높음)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보통)
▶ 플레이 영상 (GTX 650, 보통)
슬리핑 독스의 경우 최고 옵션에서 GTX 650은 슬로우 모션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R7 260X에서 억지로 돌아가기는 하지만 플레이가 어려운 것 똑같기 때문에 옵션상 두 제품 모두
중간으로 설정을 해야 플레이가 원활합니다.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최고)
▶ 플레이 영상 (GTX 650, 최고)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높음)
▶ 플레이 영상 (GTX 650, 높음)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중간)
▶ 플레이 영상 (GTX 650, 중간)
바이오쇼크 인피니트의 경우 R7 260X는 매우 높음까지도 플레이
가능하며 GTX 650의 경우 높음 및 보통 수준 이하의 옵션을 권장합니다.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울트라)
▶ 플레이 영상 (GTX 650, 울트라)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매우 높음)
▶ 플레이 영상 (GTX 650, 매우 높음)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높음)
▶ 플레이 영상 (GTX 650, 높음)
와치 독스의 경우 R7 260X는 중간 수준, GTX 650의 경우
낮음 수준으로
낮춰야 플레이가 무난합니다. 와치 독스의 경우 텍스처 옵션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데 1GB의 메모리로는 중간 옵션으로 설정이
권장됩니다.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울트라)
▶ 플레이 영상 (GTX 650, 울트라)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높음)
▶ 플레이 영상 (GTX 650, 높음)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중간)
▶ 플레이 영상 (GTX 650, 중간)
디아블로 3의 경우 파티 플레이는 100% 똑같은 환경을 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교 차트는 혼자서 비공개 방을 이용한 싱글 플레이 수치를 참조하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260X에서 좋은 성능이기 때문에 GTX
650에 비해 다소 높은 옵션이나 몬스터가 대거 출현시에도 프레임 유지에 있어서 좋은 모습을 보입니다. GTX 650의 경우 그림자 중간 이하로
낮춘다면 플레이에 지장이 없습니다.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그림자 높음, 솔플)
▶ 플레이 영상 (GTX 650, 그림자 높음, 솔플)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그림자 높음, 파티)
▶ 플레이 영상 (GTX 650, 그림자 높음, 파티)
피파 온라인 3 의 경우는 GTX 650급만 되어도 아주 원활하게
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차이는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GTX 650에서 최저 프레임 27은 하이라이트 장면이 포함되어 낮은 모습이지만 실제
게임에는 전혀 지장이 없는 부분이며 플레이 간 58~60 프레임 수준으로 고정되면서 쾌적한 모습입니다.
▶ 플레이 영상 (XFX R7 260X)
▶ 플레이 영상 (GTX 650)
전체적인 게임 테스트
결과 R7 260X에서 GTX 650에 비해 대략 1단계 수준의 상위 옵션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모습입니다. 1920x1080 해상도 기준으로
중옵에서 중상옵까지도 커버가 되는 모습으로 10만원 초반대의 그래픽카드로 최신게임도 충분히 즐길 수 있었습니다.
▶ 소음도 측정 영상 (그래픽카드 없음)
▶ 소음도 측정 영상 (아이들)
▶ 소음도 측정 영상 (3D GAME)
▶ 소음도 측정 영상 (풀로드)
▶ 소음도 측정 영상 (GTX 650, 풀로드)
좌측이 아이들 시, 우측이 3D GAME 플레이 시
온도 측정 결과입니다.
좌측이 3D MARK, 우측이 퍼마크 풀로드 시 온도
측정입니다.
온도는 최대 70도로 양호한 수준으로 아이들 시에는 매우 정숙한
모습이며, 실제 3D 게임 등의 플레이의 경우 소음이 약간 발생하기는 하지만 심한 수준은 아니고 체감상 평균적인 소음도로
보여집니다.
▶ 소모
전력 측정
시스템 전체적인 전력 측정 결과입니다. GTX 650 및 하스웰
내장 그래픽인 HD 4600과 비교를 해보았으며 R7 260X가 GTX 650 대비 약 40W 정도 전력을 더 소모하는 모습입니다. 실 사용시에
200W 미만의 전력소모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400~500W급의 파워서플라이면 충분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마무리
하며
지금까지 XFX RADEON R7 260X CORE Edition
제품을 살펴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깔끔하고 세련되게 잘 빠진 디자인으로 10만원
초반대 그래픽카드라고 생각되지 않는 그래픽카드 외형 디자인입니다. 또한 성능 역시 10만원 초반대 그래픽카드로 패키지 게임 및 온라인 게임을
충분히 즐길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보급형 GTX 650에 비해 나은 성능으로 새제품 구입을 고려하시는 분들께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특히나 패키지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의 경우 1920x1080 해상도 기준 중옵~중상옵 수준으로 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만 기존의 GTX 650 사용자가 R7 260X로 넘어가는 경우를
생각해본다면 물론 성능차가 발생하며 중하옵에서 즐기던 게임을 중옵 혹은 중상옵까지 끌어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모습이지만 이왕
업그레이드를 고려한다면 260X보다는 상위급으로 선택하시는 것이 더욱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업그레이드를 했을 경우 기존에 밀리던
게임을 그냥 돌리는 수준이 아니라 날아가는 정도의 사용자의 기대심리가 크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성능 차이가 그 정도까지는 아니라고 생각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 이하의 제품 혹은 새로 컴퓨터를 구입하시는 경우 10만원 초반대 가격 대비 성능에 있어서 충분히 만족스러운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본 리뷰는 디지탈그린텍과 다나와 체험단으로
진행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