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CPU/RAM] ASRock Beebox N3000 미니엄 베어본 사용기

기다롬
조회: 3616
추천: 3
2016-01-11 23:00:49

Main0.jpg

 

| ASRock Beebox N3000 미니엄 베어본 사용기

 

 CPU 칩셋 발전으로 다양한 베어본 PC가 출시 되고 있습니다. 굳이 고성능을 지향하지 않고, 휴대성과 멀티미디어 위주의 하드웨어로서 HTPC로도 활용이 가능하기에 찾는 유저들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소개할 Beebox N3000 제품은 초저전력 인텔 셀러론 N3000이 탑재된 하드웨어로 따로 쿨러가 필요없는 Fanless(팬리스)시스템을 적용되었습니다. 국내 유통사는2004년도에 설립된 에즈윈으로 에즈락 메인보드 유통사로 널리 알려져있으며, 그 외 마우스 등 다양한 제품들을 유통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 포장

0.jpg

 

Main.jpg

 

0000.jpg

 

2.jpg

 

첫 인상은 무척 크기가 작다는 느낌이 들정도로 작은 크기의 박스에 포장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블랙, 화이트, 골드 모델이 존재하지만 국내에는 블랙, 화이트 제품만 출시되고 있습니다.


1.jpg

 

2.jpg

 

좌측에는 간략한 사양과 함께, 정품임을 확인할 수 있는 스티커, AS 관한 한글 설명을 볼 수 있는데, 수입 제품일 경우에는 이러한 스티커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A/S 와 사후관리를 위해서라면 국내 정식 유통제품을 사용하는것이 좋겠죠.
 

3.jpg

 

4.jpg

 

옆면과 뒷부분에는 전체적인 외형 이미지와 함께, Small(작은), Fast(빠른), Quiet(조용한), 4k 지원등 특장점 및 이미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5.jpg

 

덮개를 열면 더 작아 보이는 Beebox
 

6.jpg

 

7.jpg

 

그 외 구성품은 파워 어탭터&케이블, 메뉴얼, CD드라이버 디스크, VESA 가이드, 설치를 위한 나사, 리모컨, 전용 SATA 포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8.jpg

 

메뉴얼의 경우 전체적으로 영어를 지원하고 있지만, 짧은 문장들의 경우 한글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굳이 한글 메뉴얼이 없더라도, 그림으로 다양한 설치방법이 그림으로 소개되어 있기 떄문에.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9.jpg

 

어댑터 설치는 아래 버튼을 눌러 밀어넣어주는 식으로 쉽게 합체 시킬 수 있습니다.
 

10.jpg

 

케이블과 연결한 모습

 

 

■ 공식스펙

1.jpg

 

우선 수치상으로도 작다는것을 체감할 수 있는 크기와 함께, CPU 및 각 제원들을 볼 수 있습니다. 메모리의 경우 최대 16GB까지 지원 가능하다는것과, DP포트, USB Type C와 같은 다양한 포트들을 탑재하고 있는 만큼 단순 멀티미디어 기기를 넘어 확장성도 염두 해둔것을 알 수 있습니다.

 

 

■ 디자인

1.jpg

 

최초 비닐에 쌓여있는 모습


2.jpg

 

​전체적인 디자인은 작은 곡선의 사각형 박스 이미지와 부드럽다는 인상을 동시에 받았습니다. ITX 메인보드보다 작은 크기로, 베어본 PC의 매력을 한눈에 봐도 느낄 수 있습니다. 498g 의 무개로 가벼운 것도 특징 중 하나인데, 포장박스에서 볼 수 있었던 벌의 이지와 완전하게 일치하진 않지만, 둥둥 떠다니는것 처럼 가볍고 부드럽다라는 컨셉을 살린 느낌입니다.


3.jpg

 

CD 디스크 보다 상하 좌우길이가 짧은 만큼 작은 크기를 자랑합니다. 


4.jpg

 

기본적으로 리모트 컨트롤을 위한 센서와 함께, 외부 연결을 위한 USB3.0 포트, 그리고 애플제품에 충전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타입 C포트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5.jpg

 

6.jpg

 

HDMI X2, DP포트를 함께 지원해 기본적으로 트리플(3개)모니터 연결이 가능하며, 와이파이 기능뿐만 아니라 기가비트 LAN 포트를 동시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7.jpg

 

8.jpg

 

팬리스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기에 따로 쿨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체적인 발열해소를 위해, 후면부, 뒷부분에는 열을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통풍구 디자인이 되어있습니다.

 

9.jpg

 

한손에 꽉 잡히는 작은크기의 심플한 디자인의 리모컨의 전체적인 외형

 

10.jpg

 

좌측 상단의 전원버튼부

 

 

■ 내부구조 & 설치

1.jpg

 

뒷부분의 긴 나사 4개를 풀면, 내부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데, SSD와 메모리 설치를 위해서는 분리가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2.jpg

 

설치할 모델 (삼성 2GX2 메모리, SSD 240GB)

기본 베어본 버전은 메모리와, HDD, SSD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따로 설치를 해줘야합니다.

3.jpg

 

4.jpg

 

5.jpg

 

와이파이 지원을 위한 초록색 와이파이 카드, 그리고 mini Pcie가 장착이 가능하도록 미니 SATA 포트, 하단 분리시 분리 후 흔들리지 않게 붙여진 테이프.

 

6.jpg

 

메모리 슬롯은 기본적으로 노트북용 ddr3 저전력 메모리를 지원하고 있으며, 16GB까지 확장이 가능합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슬롯 모양이 상, 하가 반대로 되어있기 때문에,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7.jpg

 

8.jpg

 

메모리 설치 방법은 노트북에서 설치하는 방법(대각선으로 꼽아주로 눌러주면 걸림쇠가 고정되는 식)과 동일합니다.

 

9.jpg

 

10.jpg

 

SSD 설치의 경우 따로 베이가 필요 없으며, 베어본 PC 상단 뚜껑을 나사를 풀고 열어주고, SSD를 고정하는 식으로 설치 할 수 있습니다. 나사를 분리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지지대가 나사구멍을 막고 있기에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동봉된 SATA 케이블을 꽂습니다.


1.jpg

 

메인보드에도 연결합니다. 연결 후 메모리 쪽 우측 하단에 틈이 보이는데, 이 방향으로 선을 꼬아주면서 덮개를 닫아주면 안전하고 쉬운 설치가 가능합니다.

 

2.jpg

 

설치된 OS는 윈도우10입니다. 일반 데스크탑 설치 때 보다 최초 윈도우 구성물을 복사할때 느린느낌인데, 최종 설치까지 약 10분 이상의 시간이 걸립니다.

 

3.jpg

 

 윈도우 설치 후 최적화를 위해서는 공식홈페이지나 동봉된 디스크를 이용하면 되는데, INF -> 각 드라이브를 먼저 까는식으로 설치하는 편이 최적화를 위해서 좋습니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 드라이버 설치도 필수 입니다.

소프트웨어는 문제없었지만, 하드웨어 설치 중 일부 호환성 문제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USB 키보드를 3개 가지고 있는데, 오래전 모델인 2개가 작동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되도록이면 오래되지 않은 모델이나 최근 USB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BIOS

1.jpg

 

기본 바이오스와 크게 다를건 없으며, 메뉴들은 간소화 되어있습니다. 전체적인 스펙은 한눈에 확인 할 수 있으며, 원활한 4k 재생을 위한 듀얼 채널 메모리 모드를 지원합니다.

 

2.jpg

 

3.jpg

 

눈여겨봐야할 한가지 특징으로는 시스템에 맞게 3가지의 모드를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Eco - 가벼운 작업 모드시 효율적으로 전력관리

Normal - 기본적인 웹서핑, 문서작업등 일반적인 모드

Sports - 게임, 4k 재생등 최대한 활용하기위한 성능모드

 

좀 더 높은 성능을 원한다면, 전력관리기술을 다 꺼주고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4.jpg

 

메모리의 전력을 확인 할 수 있는 어드벤스 메뉴

 

 

■ 기본성능

1.jpg

 

2.jpg

 

CPU-Z 제원

우선 CPU항목에서 브라스웰 아키텍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raswell 은 베이트레일을 대체하는 제품으로 저전력이라는 점이 가장 큰 강점이며, 그 외에도 8세대의 내장 GPU, 다이렉트X 11 지원, 3개의 디스플레이 출력이 가능하다는것이 특화된 CPU입니다.

 

3.jpg

 

기본으로 4k 해상도 지원이 가능하므로, 디스플레이 항목에서 "3840 x 2160" 해상도가 확인이 됩니다. 4k 경우 30Hz로 동작하기 때문에, 주로 멀티미디어에 특화된것도 알 수 있습니다.

 

4.jpg

 

5.jpg

 

3DMARK 벤치

Fire Strike 벤치의 경우, 고성능 데스크탑을 위한 벤치마크여서 그런지, 굉장히 낮은 점수를 보여줍니다. 실제로 벤치시에도 느린 프레임을 보여주는데, 데스크탑의 게임 성능과는 별개의 성능으로, 아예 포지션이 다른 느낌입니다. 하지만, Ice Strom 같은 보급형 벤치마크에서는 80~90프레임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성능을 보여주어, 저사양 게임에서는 충분히 적응 할 수 있는 성능을 지녔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6.jpg

 

i5 2500k 의경우 만점 가까운 점수를 보여주나, N3000의 경우 약 2900점대를 보여주었습니다. 게임이나, 여러 작업용보다는 멀티미디어에 좀 더 알맞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터넷 서핑을 프로그램을 통해 녹화한 모습 (프로그램 때문인지 실제로는 좀 더 빠릿합니다.)

멀티미디어에 중점을 두었기 떄문에 기본 웹서핑이나 문서작업등에 최적화 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다양한 인터넷활용은 무리가 없는 느낌입니다.

 

 

■ 리모트 컨트롤

1.jpg

 

​리모컨으로 이런저런 멀티미디어에 관한 조작이 가능합니다. 영화, 음악감상에 특화된 컨트롤러라는 느낌입니다.

 

2.gif


리모컨을 활용한 구동

이렇게 전원을 ON 할 수 있지만, 윈도우 진입 후 다시 전원을 누르면, 절전모드로 변경이 됩니다. 완전히 OFF는 할 수 없었으며, 절전모드를 활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3.jpg

 

 

다음팟 플레이어를 통해, 고전영화 싸이코를 이런저런 컨트롤을 해보았습니다. (전체화면, 구간이동, 볼륨조정)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플레이어중 하나인 다음팟에서는 완전 호환이 되어 있어, 따로 설정이 필요가 없는 구간이동도 손쉽게 가능햇습니다.

 

 

 

■ 4K재생

1.jpg

 

브라스웰은 기본적으로 4k 재생까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4k 해상도와 활용은 듀얼 메모리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유튜브에서의 4k재생, 샘플파일들을 활용해 재생을 해보았는데, 끊김없이 구간이동까지 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선 한가지 조건이 있는데, 내장 GPU를 활성화 해야만 가능해 집니다. 유튜브 재생의 경우, 웹브라우져 하드웨어 가속이 켜져 있어야만 끊기지 않는 최적의 재생 보여주었습니다.


2.jpg

 

원활한 재생을 위해선 내장GPU를 활용한 하드웨어 가속은 필수

 

 

 

인터넷 4k 재생에서 부터 4096x2304 까지, 끊기지 않고 재생되는 모습

 

 

 

■ 게임

1.jpg

 

완전한 게임용 기기는 아니오나, 그래도 내장 GPU 가 들어가있고, 바이오스상의 게임모드가 따로 존재하므로 윈도우스토어 게임을 이용해 몇가지의 게임들을 플레이 해보았습니다. 
 

2.jpg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플레를 할 수 있었으나, 일부 게임에서는 QHD 해상도에서 버벅이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게임에 따라 요구하는 사양이 다르기 떄문에 어쩔 수 없는 부분입니다.

 

 

몇가지 게임플레이 영상, 끊김없는 성능을 볼 수 있습니다.

 

 

 

■ 트리플 모니터연결 기능

1.jpg

 

기본적으로 hdmi 포트가 2개, 디스플레이 포트가 1개가 마련되어있어, 총 3개의 디스플레이 연결이 가능합니다. 현재 2개의 디스플레이로 연결을 해보았는데, 잘 작동하며 완벽히 지원하는 모습을 아래 이미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2.jpg

 

모니터 2개를 HDMI 2개의 포트에 연결 or HDMI 1개, DP 1개의 연결 - 모두 완벽히 출력

 

 

 

■ 와이파이 기능

1.jpg

 

와이파이 NIC 인터넷 속도 테스트

현재 100메가 짜리 인터넷서비스를 이용중에 있는데, Beebox는 앞서 소개한것 처럼 와이파이 카드가 들어 있어, 굳이 Lan 선을 꽂지 않아도 인터넷 사용이 가능합니다. 여러번 속도 테스트를 했는데, 환경에 따라 다를순 있으나 저희 집에서는 30메가 대를 유지하였고, 이 속도는 인터넷등을 활용하기에 무리가 없는 성능이라 보여집니다.


2.jpg

 

이 외에도 WIFI 연결을 통한 스트림 플레이를 시도해 보았습니다. Steam 스트림 게임플레이는 스팀에서 가능하며, 게임들이 깔려있는 본래의 데스크탑이 존재해야 하며 아이디가 필요합니다.


3.jpg

 

 

메탈 기어 솔리드, 아캄나이트 스트림 테스트

태블릿으로 엔비디아 시스템을 통한 스트림 플레이를 하는것 보다, 버벅임과 끊긴음 현저히 적었습니다. 이는 인터넷 회선 속도와 공유기 역할이 클 수 밖에 없는데, 5Ghz를 지원하지 않더라도, 딜레이가 현저히 적었는데, 태블릿 보다 성능이 좋은 와이파이가 자체내장 되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결과가 아닌가 싶네요.

 

 

 

■ 베사방식 지원

1.jpg

 

모니터와 pc가 결합된 1체형 기기들을 최근들어 많이 볼 수 있는데, 그것과 유사하게 공간활용 및 설치가 가능합니다. 동봉된 나사 4개를 홀에 연결 후, 걸림쇠 방식으로 베어본을 걸어 놓고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또다른 PC를 추가하고 공간 활용에 있어 좋은 사용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 소음 및 발열

1.jpg

 

쿨러자체가 존재하지 않기에, 소음은 아예 없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말 귀에 가까이 가져다 들으면, 그런소음은 실제론 들리진 않지만, 상황에 따라 발생할 숟 있는 메모리, SSD 노이즈를 제외한다면, 전체 소음자체가 그냥 OFF 입니다. 그 정도로 정숙합니다.

 

발열을 경우, 아무래도 쿨러 자체가 없는 제품이기에, 손을 가져다 대면 데일정도는 아니지만 따뜻하다는 느낌은 받습니다. 어떠한 전자기기도 마찬가지겠지만, 이불이나 방석 같은 곳에 올려두는 것보다는, 차갑고 평평한곳에 배치하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 전력

2.jpg

 

좌측 아이들시, 우측 풀로드

전력자체가 워낙 저전력이기 떄문에, 350w이상 나오는 데탑과는 차원이 다른 전력을 보여줍니다. 아무리 높아도 20w을 넘지않으며, 각 모드별 전력 차이가 근소하기 때문에, 전기를 아끼고 싶은 유저들이 아니라면 기본적으로 Sports 모드로 사용해도 무방하다고 생각되네요.

 

 

■ 마치며

3.jpg

 

지금까지 다양한 기능들과 성능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전체적으로 작고, 무소음, 저전력이 큰 강점이며, 쓸때 없는 기능들은 빼고 아예 멀티미디어용 포지션으로 선보였다는 점도 인텔과 ASRock이 전략을 잘 잡았다고 생각됩니다.

 

​HTPC를 조립 하는것보다 저렴한 가격대로 멀티미디어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입니다. 그리고 HDMI, DP 같이 다양한 포트가 지원되므로, 대형TV 에서도 이는 적용 될 수 있겠습니다.

 

​실제로 CD보다 작은 크기로 휴대성 및 공간 활용을 지향하는 유저와, 세컨PC로도 생각해볼만 하며, VESA 홀을 이용해 그 활용성은 더 높일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데탑과 다른 포지션을 지닌 앙증맞은 미니엄 PC라고 생각되며, 마이크로소프트 미디어센터를 통한 아예 멀티미디어용으로 꾸밀 수도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베어본PC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하드웨어라고 생각됩니다.


4.jpg

Lv75 기다롬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