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메인보드] ASUS PRIME B350M-A STCOM 미완의 사용기 1부

J심슨
조회: 1795
2017-06-19 10:20:55


▲ 오늘 살펴볼 제품은 업계 최고 수준의 내구성과 안전성으로 정평이 난 ASUS PRIME B350M-A 메인보드 입니다. 최고 품질의 부품, 진보한 제품 설계 및 엄격한 테스트를 실시하여 마더보드의 품질과 수명을 보장하는 5X Protection III가 적용되었고, 아담한 Micro-ATX (24.4 x 24cm) 폼펙터에 부족하지 않은 6페이즈 전원부 구성과 4개의 메모리 슬롯, 최대 32Gb/s 대역폭의 PCIe 3.0 x4을 사용하는 M.2 스토리지와 6개의 SATA3 포트, 확장 슬롯은 PCI-E 3.0 X16 슬롯 한개와 PCI-E X1 슬롯 2개, 온보드 방식의 10Gbps USB 3.1 포트 2개와 4개의 USB 3.0 포트를 제공해서 폭넓은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오버클럭까지 가능한 10만원 초반대의 가성비가 뛰어난 제품으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고 곧바로 ASUS PRIME B350M-A 메인보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패키지 전면부 입니다. 3년 품질 보증과, 업계 최고 수준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5X Protection III, 그리고 라이젠 마크가 눈에 띄네요.


▲  패키지 후면에는 ASUS PRIME B350M-A 메인보드 정보가 표기되어 있습니다.


▲ 곧바로 개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개봉



▲ ASUS PRIME B350M-A 메인보드의 구성품은 메인보드 본체, 설명서, 설치 CD, 백패널, M.2 나사 패키지,사타3 케이블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외형입니다.


▲ RYZEN 프로세서를 지원하는 AMD AM4 소켓이며, 전원부는 부족하지 않도록 6페이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메모리 슬롯은 4개로 DDR4 3,200MHz 클럭을 지원하며, 램 슬롯당 16GB를 지원 최대 64GB 구성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메모리 슬롯 우측에는 24핀 주전원 커넷터가 보이고 좌측에는 CPU FAN 헤더와 5X Protection III 기술중 하나인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한 Digi+ VRM도 보이네요.


▲ Digi+ VRM


▲ 우측 하단에는 AMD B350 칩셋 방열판과 6개의 사타3 포트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 정면과 측면을 바라보고 있는 6개의 사타3 포트입니다.



▲ 차세대 SSD 인터페이스인 PCIe 3.0 x4 M.2 규격을 완벽하게 지원합니다. (최대 32Gb/s 전송속도)

 

▲ 확장 슬롯은 PCI-E 3.0 X16 슬롯 하나와 PCI-E X1 슬롯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원이 인가되면 Q-SLOT에 LED가 점등됩니다.


▲ 확장 슬롯 아래에는 케이스 전면부 HD AUDIO 커넥터와 연결하는 AAFP 헤더를 비롯해서 USB 2.0 헤더 및 3.0 헤더 그리고 전원 및 리셋 헤더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 내장 사운드 칩셋은  Realtek® ALC887 오디오 코덱을 탑재했습니다. 그리고 우수한 품질의 일본산 오디오 캐퍼시터를 사용하여 한층 더 또렷하고 생생한 음질을 제공하고 오디오 라인 쉴딩으로 전자기적 간섭을 방지 했습니다. 또, 전원인가시 오디오 라인에는 LED가 점등 됩니다.


▲ 외부 쇼트로 인한 칩 손상 방지를 위한 랜 가드와 바로 옆에 위치한 RGB 헤더,그리고 CHA_FAN과 그 뒤에는 USB 3.1 Gen 2 칩셋도 보이네요.


▲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8(4+4)핀 전원 단자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 이번에는 I/O 포트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좌측부터 PS/2 포트 2개와 D-SUB, DVI-D, HDMI 포트 각각 1개씩 그리고 USB 3.1 포트 2개, USB 3.0 포트 4개, Realtek 기가비트 랜포트 및 오디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이제 ASUS PRIME B350M-A 메인보드에 라이젠 CPU를 장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라이젠 기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인보드 소켓 양옆에 장착된 기본 가이드를 제거해야 됩니다. 가이드 양옆에 보이는 4개의 나사를 풀어서 제거해주세요.

▲ 가이드 나사를 제거한 모습입니다. 메인보드 아래에 장착된 지지대는 제거하면 안돼고 이 상태에서 기쿨을 얹어서 ↓

▲ 나사를 조으면 기쿨의 장착은 끝입니다. 참 쉽죠잉~ ㅎ


▲ 조립완료!

 

▲ ASUS PRIME B350M-A 메인보드의 바이오스 진입 후 대면하는 메인화면 입니다. 그리고 한글 지원합니다.

 

▲ 바이오스 버전은 최신이 아닙니다. 0604버전의 바이오스는 4월10일에 업데이트 되었고, 최신 버전은 5월24일에 올라온게 하나 있네요. 운영체제 선택하시면 최신버전의 바이오스 업데이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클릭( https://www.asus.com/kr/Motherboards/PRIME-B350M-A/HelpDesk_Download/ )

▲ 좌측 상단에 보이는 시간 옆에 English에 마우스를 갖다대고 클릭하면 한글 설절을 할 수 있습니다. ↓↓처럼 말이죠.

▲ 한글로 바뀐 모습입니다. 현재의 바이오스 상태는 이지 모드이며, 좀 더 세세한 설정을 위해서 우측 하단에 보이는 Advanced Mode(단축키F7)로 변경하겠습니다.

▲ Advanced Mode로 변경시 대면하게 되는 첫 화면입니다. 근데 첫 화면이 Exit 메뉴네요.

▲ My Favorites 메뉴입니다. 우리가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를 위해 즐겨찾기 기능을 사용하듯 바이오스에서도 자주 사용하는 관련 항목들을 즐겨찾기 형태로 등록(저장) 가능한 메뉴입니다.

▲ 메인 메뉴입니다. 시스템 정보를 간략하게 표시하고 언어와 시스템의 날짜, 시간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Ai Tweaker 메뉴입니다. CPU와 메모리 클럭 및 전압, 램타 등을 세세하게 설정할 수 있는 공간으로 오버클럭킹 유저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 Advanced 메뉴입니다. 메인보드에 연결되는 모든 기기들의 정보를 표시해주고 따로 설정이 가능한 공간입니다.

▲ Monitor 메뉴입니다. CPU와 메인보드의 온도, 팬 스피드, 전압 등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공간입니다.

▲ Boot 메뉴입니다. 연결된 저장장치의 부팅 순서를 설정하는 공간입니다. USB 부팅 디스크로 윈도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Boot 옵션1을 연결한 부팅 디스크 USB로 변경해야 됩니다.

▲ Tool 메뉴입니다. EZ Flash 3 실행해서 바이오스 업데이트할 때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이며, 성공한 오버클럭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프로파일 메뉴도 보이네요. 하단에 SPD 인포메이션은 각 슬롯당 장착된 메모리 정보를 보여주는 메뉴입니다.

▲ 마지막으로 Exit 메뉴는 설정된 값을 저장하고 바이오스를 설정 메뉴를 나갈때 주로 사용합니다.

 

※ 현재 ASUS PRIME B350M-A 메인보드의 초기불량으로 인해 더이상의 필드테스트는 진행 할 수 없었습니다.  늦게 토요일에라도 제품을 받아봤으면 좋았을텐데.. ASUS PRIME B350M-A 메인보드가 새로 오는대로 오버클럭과, 실사용기 그리고 AS 진행 과정까지 최대한 빠르게 또, 자세하게 소개해드리는 시간을 다시 갖도록 하겠습니다.

 

Lv12 J심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