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케이스/파워] 슈퍼플라워 리덱스3 SF-650F14HG 골드 파워서플라이 :: 게이밍 파워로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리덱스 파워

율리시스ss
조회: 2144
2019-08-30 21:59:22

슈퍼플라워 리덱스3 SF-650F14HG 골드 파워서플라이

- 리덱스 실버를 제가 사용했었습니다. -

- ETA 인증 A등급 LAMBDA 저소음 A등급 -

 


안녕하세요. 율리시스SS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제품은 슈퍼플라워의 리덱스3 650W 파워서플라이입니다.

슈퍼플라워 제품 중 리덱스는 예전부터 유명했던 파워인데 이전 리덱스의 명성을 이어받아 리덱스3으로 업그레이드되어  출시가 된 제품입니다.

골드 등급과 3단계 ECO 모드를 통해 저소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죠.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약 3년 전, 군대 전역 후 컴퓨터 맞출 때 사용한 슈퍼플라워 리덱스 650W 실버

다나와에서 슈퍼플라워 파워를 검색하면 연관검색어 첫 번째로 리덱스가 뜨는 것 볼 수 있다.


 


 


 


 


▣ 스펙


리덱스3 골드 등급의 파워는 650W, 750W, 850W 3가지 출력이 출시가 되었는데요. 모두 골드 등급의 인증을 받았습니다.

품질 보증기간의 경우 무상 10년이며 초기 구입 3개월 안에 문제가 생길 시 새 제품 교환이며 이후에는 수리 및 리퍼 제품입니다.


 


 


 


▣ 패키지 & 구성품

| 리덱스3 패키지입니다. 리덱스의 메인로고 나비 모양 로고가 중앙에 있네요.

뒷면에는 파워의 인증 및 스펙에 대해서 적혀 있습니다.


 


 


[특징]

80+ 골드 등급 인증, 풀 모듈러, 일본산 캐패시터 105도, 130mm 쿨링팬, 3단계 ECO 모드


 



| 구성품으로는 파워 파우치 와 케이블이 있습니다.

CPU 4+4pin 케이블이 2개입니다. 타제품 같은 경우 750W였지만 케이블이 1개였는데 650W여도 2개를 지급해 주는 게 좋네요.


 


 


 


 


 


 


 


▣ 디자인 & 특징

| 블랙 색상의 슈퍼플라워 리덱스3 650W 파워서플라이입니다. 화이트 색상은 아직 출시 계획이 없다고 하네요.

역시 쿨링팬 그리드에 나비 문양이 인상적이네요. 쿨링팬은 130mm이며 블레이드에는 마름모의 모양으로 되어 있습니다.

120mm보다 더욱더 안정적으로 쿨링을 해 주면서 3단계 ECO 모드로 저소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죠.


 


 


 


 


 


| 파워서플라이 뒷부분에는 3단계 ECO 모드가 있습니다.

모드0 : 내부온도가 62℃~68℃부터 750~800RPM으로 작동, 47℃~53℃로 떨어지면 팬 작동 중지

모드1 : 내부온도가 42℃~48℃부터 750~800RPM으로 작동, 27℃~33℃로 떨어지면 팬 작동 중지

모드2 : ~45℃ 까지 낮은 RPM으로 팬이 작동함, 온도가 올라갈수록 RPM 증가.

 


 

팬리스 시스템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모드 0을 보통 사용자분들은 모드 2가 괜찮은 거 같습니다.


 


 


 

 


 


 


| 파워의 디자인이 보이는 케이스라면 왼쪽의 노란색 부분을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우측의 슈퍼플라워의 로고가 케이스에서 보였으면 좋겠는데 말이죠. 왼쪽은 너무 예전 디자인... 같아보여요.



리덱스3은 풀모듈러 제품으로 CPU 4+4pin 2개, SATA/PEFIF 6pin 3개,  VGA 6+2pin 2개의 포트가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 케이스 내부에 SATA HDD, SSD가 없기 때문에 쿨링팬을 위한 1개의 PERIF만 사용합니다. 좀 더 선정리가 편하죠.


 


 


 



 

 

▣ 파워 테스터 및 소비전력

- 파워 전압을 매우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전문 장비가 필요합니다. 참고용으로만 봐주세요. -

| 파워서플라이 테스터기로 측정을 해 보았습니다. 12V와 5V, 3.3V를 볼 수 있는데요.

이 수치같은 경우 부하에 따라서 값이 조금씩 변경이 됩니다. 부하가 거의 없을때는 거의 정확한 값이 측정이 되었습니다.

해외포럼, 국내포럼에서의 측정값 역시 부하테스트에서 전압에 대해서 좋은 평을 받았다는것을 전해드립니다.

 

 


 


 


 


| 대기전력, IDLE 및 게임플레이시의 전력입니다. 가정용 전기요금측정이로 측정을 하였는데요.

전압은 203~204V가 측정이 되었으며 전력피크치는 340~350W정도가 측정이 되었습니다.


 


※ 시스템 오버클럭 상황, 팬 갯수, 사용 HDD/SSD에 따라 전력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오버클럭

| 47배수로 오버클럭을 하고 8000MB/s 메모리, 5회정도로 링스를 측정해 보았습니다.

지플값, 잔차값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오버안정화를 할 수 있었습니다.

 



 


 


 


▣ 조립 및 선정리

| 컴퓨터를 조립 할 때마다 짜증나는게 컴퓨터 선정리 입니다.


앞부분에 팬 3개, 상단, 후면에 팬 2개.1개(선이 2가닥씩, 총 6개가...) 그리고 수냉쿨러 선 등... 정리할 선이 매우 많습니다. 아무튼 많아요.

케이스마다 선정리함이 있으면 좋겠지만 없는 경우 케이블 타이등으로 고정해야 하는데요. 중앙쪽을 메인으로 선정리를 하면 좀 쉽더라구요..



※ 남자의 선정리라고는 하지만 최선을 다해 정리했습니다. 케이블 길이때문에.. 좀 지저분할 수 있어요. 컹스


 


 



▶ 풀 모듈러의 장점

SATA3 HDD,SSD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파워서플라이 SATA전원/ 메인보드 SATA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아서 선정리가 편하다는 최대의 장점이있죠.


| 저같은 경우 SATA HDD/SSD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메인보드에 연결하는 SATA선과 파워서플라이의 SATA전원 케이블이 필요없죠.


M.2 SSD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제 친구도 그렇고 점점 선정리를 안해도 되는 M.2 제품이 인기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풀모듈러 파워가 있으면 필요없는 선은 빼도 되니 선정리에 매우 편리합니다.


※ 쿨링팬 1개에서 2가닥의 케이블(파워,RGB모드)이 나와서 2배로 선정리가 힘드네요 -_-;;;


 

 


 


 



| 슈퍼플라워 리덱스3 650W로 시스템을 맞추어 보았습니다.

예전에 시스템에서 리덱스를 사용했을 때, 역시 오버클럭이 잘 되었던 기억이 있었는데요. 

오버클럭을 하시는 분들에게는 칼 전압과 다양한 보호회로 기술이 사용이 되어서 더욱더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게임에서 랭겜 돌리고 있는데 전압때문에 오버클럭이 불안정해서 블루스크린 뜨면..... 대참사죠.

 


필자같은 경우 풀모듈러를 제대로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케이스 내부 저장장치를 M.2 SSD만 사용하고 있다 보니 SATA 케이블과 파워 전원 케이블이 전혀 필요가 없었습니다. 필요없는 케이블을 안 꽂아도 되니 그만큼 내부 선정리가 매우 편하다는 장점이 있죠.

요즘 오버클럭때문에 CPU 4+4pin이 2개가 필요한 메인보드가 점점 늘어나는데 기본적으로 650W 제품에서도 2개를 제공하니 추세에 맞추어서 제품을 출시한것 같습니다.

 

 


쿨엔조이 체험단에 선정되머 뉴젠씨앤티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지만

제공 측의 간섭, 꾸밈없이 필자가 느낀 점 그대로 작성하였습니다.



작성일 : 2019년 08월 30일

최종 수정일 : 2019년 08월 30일

* 오류 수정은 블로그에서만 합니다.

* 블로그 : http://blog.naver.com/adg0609

CopyRightⓒ.2019.율리시스SS.All Rights Reserved

Lv27 율리시스ss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