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인벤 팁과강좌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소프트웨어] 공유기와 HFS로 나만의 NAS를 이용하자!

아이콘 달이뜨는밤
댓글: 5 개
조회: 13141
추천: 8
2014-09-19 09:42:19
안녕하십니까. 인벤 닉 달이뜨는밤 입니다.

이 글은 네트워크를 통한 http(웹 브라우저)를 이용해 본인의 PC에 접근하여 저장장치의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에 관한 소개입니다.

먼저 NAS에 관해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네트워크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저장장치'로 구글드라이브, N드라이브, 파일박스 등이 서비스하는 기능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실은 조금 다르긴 하지만,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업로드/다운로드 할 수 있다는 점은 같으니까요.)

얼마전 인벤에서도 NAS와 관련된 짧은 기사가 올라왔었습니다.
최근 NAS와 관련된 제품 및 하드디스크(RED)가 많이 출시되고 있는데요.
NAS 제품을 살 여건은 안되지만 위의 것과 같이 네트워크에서 사용 가능한 저장장치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분들 중 '공유기를 사용하거나 개인ip(혹은 DDNS)를 이용하는 분들'을 위해 짧은 글을 씁니다.

먼저 이번 글에서 소개할 프로그램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HFS(http file server) http://www.rejetto.com/hfs/
말 그대로 http를 이용해 파일을 주고받는 서버를 만드는 것입니다.
웹 브라우저(IE, firefox, chrome 등)를 이용해 본인의 ip로 접속, 프로그램에서 설정해둔 권한에 따라 파일 혹은 폴더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가 계정을 생성하고 [접근, 삭제, 업로드]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현재 본인의 HFS에 접근하고 있는 대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어떤 파일을 주고 받았는지, 속도를 제한할건지 등의 다양한 기능도 이용가능합니다.

무엇보다 오픈소스이고, 공짜라는 부분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은 위 홈페이지에서 자그마한 기부를 해주시는건 어떨까요?

소개가 길었는데, HFS 프로그램을 이용는데 가장 큰 특징은
- 장점
NAS를 이용하기까지가 복잡하지 않고, 설정을 해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만 하면 되기에 편리하다.
ip를 통해 접근하는 방식이라 DDNS를 이용하면 사용이 편리하고, 개방 포트를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가상폴더를 생성하여 다운로드만 할 수 있는 구역을 별도로 만들 수 있다.

- 단점
개인 서버 구축을 이미 해왔던 분이라면 세세한 설정을 못하는게 오히려 답답할 수도 있고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의존하기에 예상치못한 오류에 대처하기 힘들다.
기존 PC를 이용하기에 NAS 전용 기기에 비해 전력소모 등이 심하고, 이용하려면 PC의 전원이 켜져있어야 한다.
PC로 다른 작업을 하고 있을 때 외부에서 HFS를 사용하면 그만큼의 자원(cpu, 메모리, 통신 대역폭 등)을 빼앗긴다.
정도 입니다.






먼저 위 프로그램을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한 환경'을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인이 통신사를 통해 고정ip를 사용하거나 이미 DDNS를 이용하고 있는 분들은 이 부분은 넘어가시면 됩니다.

먼저, 본인의 사설ip를 고정하는 방법입니다.
동일한 공유기 내에서도 접속된 기기의 사설ip(대게 192.168.0.2~192.168.0.255)가 수시로 바뀌게 됩니다.
이 ip를 고정함으로 언제든지 동일한 ip를 입력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만드는 것입니다.

본인의 공유기 설정에 들어간 뒤, 인터넷 연결 설정에서 아래와 같이 사설 ip 할당을 허용해줍니다.


그리고 내부 네트워크 설정에서 본인이 NAS로 이용할 PC의 MAC주소를 등록해줍니다.
MAC주소를 모르겠으면 네트워크에 접속한 뒤 아래의 '내부 네트워크 정보'에 보시면 현재 어떤 기기가 연결이 되어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지정할 ip는 사설ip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설정하셔도 상관없습니다. 다만, 지정했던 ip는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ip를 통해 접근 했을 때 HFS에 접근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두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에는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보안에 크게 신경쓰지 않는 분이라면 DMZ를 통해 포트를 개방해둡니다. 이러한 방법이 조금 꺼림칙하다면 아래와 같이 특정 포트만을 개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http 전용 포트로 설정되어있는 80을 이용하시면 ip만을 이용해 접근이 가능하고, 임의의 포트번호를 이용하시면 주소를 입력할 때 192.168.0.2:8080 와 같이 포트번호를 함께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나중에 사용하기 편하게 포트번호 80번을 이용하는걸 추천합니다.

두 방법 중 하나만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다음은 외부에서 접근하기 편하에 IP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등록하는 작업입니다. (DDNS 라고 부릅니다.)
iptime 등의 몇몇 공유기는 DDNS기능을 지원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DDNS 설정에서 호스트이름, 계정과 암호를 등록합니다.
여기서 호스트 이름은 주소에 붙게 될 이름이고, 계정과 암호는 해당 호스트를 갱신, 삭제 하는데 사용하는 것입니다.
등록을 하셨으면 약간의 시간이 지난 뒤 아래와 같이 '정상 등록'이 되었다면 성공하신겁니다.
(아래 스샷에는 임의의 문자열을 넣었지만 실제로 등록하실 땐 각 공유기에 적혀있는 양식에 따르시길 바랍니다.)


여기까지 하셨다면 사설ip고정 및 DDNS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현재 상태에서 위 DDNS 주소에 접속하였을 때 본인의 공유기 설정화면이 뜬다면 성공하신겁니다.
(이는 각 공유기의 상태마다 다르므로 확실하지 않습니다.)


그럼 이제 HFS를 설정해보겠습니다.
HFS의 기본화면입니다.
좌측에 파일 시스템 상황, 우측에는 현재 네트워크의 로그, 아래에는 접속중인 대상을 볼 수 있고 메뉴 등은 모두 상단에 위치해있습니다.
먼저 위에 있는 port를 클릭하여 공유기에서 설정했던 포트번호를 입력해줍니다.


그리고 공유기에서 설정했던 주소로 다시 들어갔을 때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면 HFS 설정이 완료된 것입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포트번호를 80이 아닌 다른것으로 설정하였다면 abcdef.iptime.org:9999 와 같이 포트번호를 함께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HFS가 설정되었다면 이제 폴더설정과 권한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좌측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클릭했을 때 차례대로 [파일 등록, 폴더 등록, 빈 폴더 등록, 설정]이 가능합니다.
파일 각각을 공유할 수도 있으며 폴더 째로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폴더 공유에는 가상폴더와 실제폴더 두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가상폴더는 다운로드만 가능하지만 하드디스크 내 파일의 위치와 관계 없이 하나의 폴더에 등록해서 보여줄 수 있는 기능이고, 실제폴더는 말 그대로 하드 내의 폴더를 그대로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물론 업로드 권한을 설정하면 다른 사람들은 다운로드만 가능하게끔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실제폴더를 이용하게 될 것입니다.

실제폴더로 등록을 하셨다면 관리자는 PC에서 파일을 해당 폴더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파일을 공유할 수 있으며
다른 이용자는 폴더에 파일을 직접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폴더가 등록되었다면 해당 폴더에서 오른쪽 버튼 - 속성에 가시면 권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기능은 여기까지 보신 설정으로 모두 이용이 가능하실 겁니다.
'나는 굳이 HFS를 쓰지 않더라도 teamviewer와 같은 원격제어 혹은 메신저를 통해 파일을 주고 받는게 편하다' 라고 말하신다면 할 말이 없지만 나 이외에 다른사람도 사용할 수 있는 등 여러 기능을 이용할 수 있기에 의미 있지 않을까 합니다.

Lv85 달이뜨는밤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