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 우리 동네 PC방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잡담] 못살고 못배울수록 흡연율 높아

아이콘 게임딜러
댓글: 2 개
조회: 4852
2013-09-01 14:46:31
질병관리본부는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제5기)에서 국내 성인의 '현재 흡연율'은 남자 47.3%, 여자 6.8%로 나타났다고 '우리나라 성인과 청소년의 흡연현황' 보고서에서 1일 밝혔다.

성인남자 흡연율은 1998년 66.3%에서 지속 하락해 2007년 45.0%까지 낮아졌지만 이후 47∼48% 선에서 머물러 있다.

성인여자 흡연율은 1998년 6.5%에서 큰 변화없이 5∼7% 이내에서 움직이고 있다.

2011년 성인남자 흡연율은 '국민건강종합계획 2020', 이른바 'HP2020'이 제시한 목표치인 29.0%에 크게 미달하는 것이다. 성인여자 흡연율은 목표치 6%와 유사했다.

성인 흡연율은 소득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나 계층 간 흡연율 격차가 여전히 심각했다.

소득을 상·중상·중하·하의 4단계로 나눴을 때 상위집단 남자 흡연율은 43.2%이고, 하위집단 남자는 52.9%로 조사돼 9.7%포인트 격차를 보였다. 여자에서는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이 각각 3.7%와 10.5%로 조사돼 6.8%포인트 차이가 났다.

이는 HP2020이 제시한 남녀 소득계층 간 흡연율 격차 목표치인 8%포인트(남자)와 1.5%포인트를 달성하기에 턱없이 큰 수치다.

현재 남자 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흡연율은 무려 72.5%로 성인남자 평균흡연율보다 30%포인트 가까이 높았다.

대졸 이상 학력 남자 흡연율은 47.0%로 전체 평균과 비슷했지만, 초졸 이하 학력 남자는 6%포인트 더 높은 53.4%로 조사됐다. 여자에서는 대졸 이상과 초졸 이하의 흡연율이 각각 13.4%와 2.4%로, 남자에서보다 학력 간 격차가 더 컸다.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로 파악된 2012년 청소년 흡연율은 남자 16.3%로 2005년 14.3%보다 소폭 상승했고, 여자는 2005년 8.9%에서 작년 5.9%로 약간 떨어졌다.

청소년 흡연율은 고등학교 3학년 남녀에서 각각 24.1%와 7.6%로, 청소년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게 나왔다.

고등학교 유형별로는 특성화 고등학교 남학생 흡연율이 36.5%로 일반계고등학교(18.1%)의 2배 수준으로 높았다. 여학생에게서도 특성화고 재학생의 흡연율이 15.7%로 일반계고(5.1%)의 3배나 됐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소득계층에 따른 흡연율을 직접 조사하진 않았으나 청소년 자신이 인식하는 가구 형편에 따른 흡연율은 성인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스스로 저소득층이라고 생각하는 남자청소년의 흡연율은 23.2%로, 고소득층으로 인식하는 집단에 비해 10%포인트가량 높았다. 여자청소년에게서도 저소득층이라고 대답한 경우 흡연율이 13.4%로, 고소득층이라고 여기는 집단(7.8%)의 2배에 육박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4년간 성인의 흡연율은 진전이 없는 상태로 소득수준에 따른 격차가 뚜렷했으며, 청소년은 일반계고와 특성화고 사이에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숙달된 인벤러

Lv84 게임딜러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