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니지2 고객님, 안녕하세요.
2015년에도 모바일기기와 관련된 보안 위협이 지속적으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어 스마트폰 사용에 주의 안내 드립니다.
특히 안드로이드 OS는 IOS(아이폰)에 비해 자유도가 높고, 구글 플레이 외 다른 출처의 앱도 설치할 수 있어 스미싱 및 악성앱 등의 보안 위협에 쉽게 노출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뱅킹 앱을 위장한 개인금융정보(계좌번호, 비밀번호, 인증서, 보안카드번호) 입력을 통해 금전적인 피해가 발생되고 있어 고객님들의 각별한 주의를 부탁 드립니다.

불법스팸대응센터에 접수 된 스미싱 문자 유형 살펴 보기 >

전자금융사기 유형 살펴 보기 >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탈옥 및 루팅은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안드로이드 OS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설치 전 확인과 일반-URL에 연결 허용을 해제하고 사용하시기를 권유 드립니다.
※ 탈옥 – 아이폰의 하드웨어(hard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 사이에 여러 가지 잠금장치를 해제(해킹)하는 것
※ 루팅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탑재한 모바일 기기에서 관리자 권한을 획득하는 것

● 사이버 경찰청에서 발표한 피해 예방 방법
1.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문자메시지의 인터넷주소를 클릭 금지
2. 통신사 고객센터에서 소액결제를 원천적으로 차단, 결제금액 제한
3. 스마트폰용 백신프로그램을 설치 및 주기적인 업데이트
4. T스토어·올레마켓•LGU+앱스토어 등 공인된 오픈마켓을 통해 앱 설치
5. 보안강화•업데이트 명목으로 금융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절대 입력 금지
● 스미싱 대처 방법
1. 스미싱으로 의심되는 문자를 수신하거나 스마트폰에 악성앱이 설치된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국번 없이 ☎ 118)으로 신고 [신고하러가기]
2. 금전적인 피해가 발생한 경우
가까운 경찰서 및 사이버수사대로 신속한 신고 [신고하러가기]
3. 금융기관 콜센터에 전화
(경찰서에서 발급받은 '사건사고 사실확인원'을 이통사, 게임사, 결제대행사 등 관련 사업자에게 제출)
4. 악성파일 삭제
스마트폰 내 '다운로드' 앱 실행 → 문자를 클릭한 시점 이후, 확장자명이 apk인 파일 저장여부 확인 → 해당 apk파일 삭제
※ 삭제되지 않는 경우에는 ⅰ) 휴대전화 서비스센터 방문 또는 ⅱ) 스마트폰 초기화
● 안드로이드 스미싱 방지 무료 어플 안내
- 스미싱, 해킹방지 링크스캔 [보러가기]
- 경찰청 폴 안티스파이 [보러가기]
- S-GUARD (스미싱 가드) [보러가기]
- 스크린 (SClean) [보러가기]
- 알약 안드로이드 모바일 백신 [보러가기]
- AhnLab 안전한 문자 [보러가기]
- 올레 스미싱 차단 [보러가기]
- 기타 통신사 무료 부가 서비스 이용
(예) T world 번호도용 문자차단, 웹(WEB)발신 알림
olleh ARS 인증 (휴대폰결제)
LG-UPlus 스팸차단, 웹(WEB)발신 알림
항상 개인정보 보호와 악성코드 감염에 주의를 당부 드립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