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
MMORPG
대규모 다중사용자 온라인 역할 분담 게임 이 아니다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Gambling
MMOG
대규모 다중사용자 온라인 도박이다
리니지에 역할이 어디있고
파밍과 성장이 어디있는가?
레벨은 캐시로(아인) 사는것
장비는 캐시로 뽑거나 캐시로 사서 도박(강화)
캐릭터 스텟1(엘릭서) 캐시로 구매후 합성 도박
캐릭터 스텟2(변신, 인형) 일일 무료 도박권 6회 증정을 가장한
사실상 캐시로 판매 및 도박
캐릭터 스텟(컬렉션) 이것도 캐시로 구매 및 도박(강화)
이것이 리니지의 현실이다
결국 모든 유저는 어떠한 형태로든
캐릭터의 모든스텟(공속, 이속, 데미지, 명중, 리덕 등등)을
결재하여 사용하고 있는것이다.
예를 들면 근뎀 150 캐릭은 어떠한 형태로든
근뎀 100 가량 (미결재 캐릭터 기본 데미지가 50인 경우)
에 대한 이용권을 게임사에 지불한 것이 현실이다.
다시말하면 인게임에서 파밍을 통한 캐릭터 성장은
개소리라는 뜻이다. (엔씨에서 말하는 파밍의 즐거움은. 엔씨가 유저로 부터 파밍한다는 뜻)
이쯤되면
엔씨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 윤리에 대한 실현은 무시한체
기업의 이윤만을 추구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글하단 참고)
특히
사다코 12 커검 문제,
자율규제를 악용하여 이차 삼차 재화 활용 뽑기에 대한 정확한 확률 미공지 문제(변동확률),
소비자가 구매한 자산을 이용 약관이라는 꼼수로
게임사에게 귀속 시켜 이번 문양사태 처럼 유저의 자산을
게임사 마음대로 다루며(최초에 환불해주지 않음)
이에대한 항의나 불만은 중간계약 하청업체를 통하여 모조리 회피하는 악질적으로 보이는 고용형태와 같은 문제들을 보면
주가 100만원의 황제주에 등극 할 수준의 기업인지 재평가가 필요 한것 같다
이번 매드님 유튜브에서 보듯이
어릴때 형들한테 듣던 온라인 카더라인
"영자랑 딜해서 9검6셋을 받았다"와 비슷한 수준인
"고객님이 원하시는걸 저희 한테만 말씀해보세요"
라는 말을 2020년 기준 매출 8천억 이상인 게임에서
한다는게 믿겨지지가 않는다.
(저중 이천만원은 내껀데... ㅅㅂ)
마치며...
다른 게임에서 높은 티어를 갔다는건 자랑이 되는데
유독 리니지는 아직도 남들이 내 핸드폰에
깔려있는걸 볼가 두렵다.
(실제로 최근에 직장동료가 제 핸드폰 어플 봐주다가
바로 가기 링크에서 린엠이 떠버리니까
못볼걸 본 마냥 소스라치게 놀라고 눈을 피하더라구요..)
__________________________
관심있는 분들은 아래 글 읽으면서 과연 엔씨는 어느정도인가를
생각해 보세요 재밌습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정의는
"이윤창출을 통한 주주가치 증대 및 법 준수와 같은 경제․법률
적 영역을 벗어나 주주뿐만 아니라 소비자, 지역사회와 같은 광
범위한 이해관계자, 더 나아가 사회전체의 이익을 위해 기업이
자발적이며 책임감 있고 윤리적인 방식으로 전개하는 다양한 사
회․환경 이니셔티브 및 이에 대한 의지"
(Ref. 이형준, 서영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란 무엇인가")
이라고 표현된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경제적이고 법적인 의무 뿐만 아니라 윤리적이고 재량적(자선적) 책임 또한 갖고 있음을 단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경제적 -> 법적 -> 윤리적 -> 재량적(자선적) )
*** 경제적 책임(Economic Responsibilities)
기업은 사회구성원들에게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도록 설계된 경제주체로, 소비자들이 필요로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고 이를 통해 이윤을 창출하여야 한다.
*** 법적 책임(Legal Responsibilities)
성문화된 윤리로, 기업은 자신의 경제적 임무를 주어진 틀, 즉 법의 테두리 안에서 완수해야한다.
*** 윤리적 책임(Ethical Responsibilities)
성문화 되어 있지는 않으나, 사회구성원에 의해 기대되어지거나 제한되는 행동들로 , 소비자, 직원, 주주 그리고 공동체가 정당하고 정의롭다고 여기는 것에 관심을 관는것, 또는 stakeholder의 윤리적 권리를 존중 또는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의미한다.
*** 재량적/자선적 책임(Discretionary(1979)/Philantropic(1991) Responsibilities)
기업이 선량한 기업시민이 되기를 바라는 사회의 기대에 부응하는 기업의 행동으로 기업이 인간의 복지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법적 근거에 의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이 아닌 자율적, 자발적참여를 요구한다.
(출처
http://www.newsm.com/news/articleView.html?idxno=6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