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편에 이어서 보세요~~
2. 밴픽
이번에는 프로팀에서 게임의 승패를 좌우한다는 밴픽을 분석해보겠습니다.
총 72챔프가 124경기 동안 밴픽이 되었습니다.
그 중 이번 시즌 가장 핫한 챔프는 ‘리신’이었네요. 전체 124게임 중 118회(밴 70회, 픽 48회)가 밴/픽이 되었습니다. 가장 밴을 많이 당한 챔프네요. 반면 픽을 가장 많이 당한 챔프는 엘리스로 65회 픽이 되었습니다.
각 선택된 챔프들의 승률은 어떨까요?

어느 정도 픽이 된 챔프들을 봤을 때, 승률은 누누가 67%로 가장 높았고 이즈리얼이 33% 승률로 가장 낮게 나왔네요.
밴을 했을 때, 여러 포지션에서 쓰이는 챔프는 어떤 한 포지션을 타겟으로 밴을 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주로 OP챔프나, 저격용으로 밴을 쓰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주력 포지션으로 분류하게 되면 재미있는 해석들이 가능하더군요.

밴은 무조건 주력 포지션으로 넣고, 픽은 실제 경기상에서 활용되어진 포지션으로 분류해서 넣어본 그래프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듯이 Top과 Mid는 챔프폭이 넓네요. 다만 AD와 Support의 챔프폭은 사실상 그리 넓지 않습니다. AD와 Support에서는 챔프폭이 좁은 것이 문제라고 말하기 보다는, 특정 주력 챔프를 사용하지 못하는 점은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식의 표현이 좀 더 맞는 표현 같다란 생각이 듭니다.
Top에서는 쉔, 자크, 케넨, 블라디미르, 신지드, 잭스 정도만이 12회(124번의 게임중 약 10%) 이상 밴픽되어졌네요.
Jungle은 리신, 엘리스, 자르반, 누누, 이블린, 자크 정도가 10% 이상 밴픽되어진 셈입니다.
Mid는 트위스트페이트, 아리, 제드, 오리하나, 제이스, 라이즈, 카서스, 그라가스, 이즈리얼까지 10%이상 사용되어진 셈이네요. 가장 챔프폭이 중요한 포지션이라는 생각이 통계 자료를 볼 때 보이네요.
AD는 베인, 케이틀린, 트위치, 이즈리얼, 바루스, 코그모의 6개 챔프 정도 다룰 수 있으면 무난한듯 합니다. Support는 쓰레쉬, 나미, 소나, 자이라, 피들스틱, 블리츠크랭크 정도가 주요 챔프라고 볼 수 있겠네요.
같은 방식으로 플레이어들의 밴픽을 보겠습니다. 너무 많은 플레이어들을 다 비교하기는 힘들어서 보통 6강 팀이라고 하는 소속의 맴버들만 분석해보았습니다.
먼저 Top입니다.
| 게임당 | 밴 | 픽 | 픽밴 | Top 6대 챔프중 |
| 저격밴수 | 챔프폭 | 챔프폭 | 챔프폭 | 밴픽 안된 챔프 |
NJBS Expession | 0.4 | 4 | 11 | 12 | 신지드 |
CJ F Shy | 0.4 | 3 | 7 | 8 | 신지드 |
SKT T1 impact | 0.6 | 4 | 8 | 8 | 잭스 |
CJ B Flame | 1.6 | 4 | 6 | 6 | 신지드, 잭스 |
KT inSec | 0.4 | 2 | 6 | 6 | 케넨, 블라디미르, 신지드, 잭스 |
MVP Oz Homme | 0.4 | 3 | 6 | 6 | 블라디미르, 신지드, 잭스 |
KT ssumday | 0.5 | 1 | 2 | 2 | 자크, 케넨, 블라디미르, 신지드, 잭스 |
Top에서 챔프폭이 가장 넓은 프로는 엑스팬션입니다.
가장 저격밴을 많이 당하는 사람은 플레임이네요. Top,의 일반적인 저격밴이 두 게임당 1번 꼴인것에 비해 플레임은 다름사람의 3-4배의 저격밴을 당하고 있는 셈이네요.
인섹이 이번 시즌에 픽한 6개의 챔프폭의 낮다고 말할 수는 없으나, 많은 사람들이 주력으로 픽한 픽들과 겹치지 않는 점이 많네요.
이번에는 정글을 봐보죠.
| 게임당 | 밴 | 픽 | 픽밴 | Jungle 5대 챔프중 |
| 저격밴수 | 챔프폭 | 챔프폭 | 챔프폭 | 밴픽 안된 챔프 |
CJ F Templar | 0.5 | 2 | 8 | 8 | 리신, 이블린 |
CJ B Helios | 0.2 | 2 | 6 | 6 | |
NJBS Watch | 0.5 | 5 | 6 | 6 | |
SKT T1 bengi | 0.3 | 3 | 5 | 6 | 리신 |
KT KaKAO | 1.1 | 3 | 5 | 5 | |
MVP Oz Dandy | 0.8 | 3 | 5 | 5 | |
정글러중에서 벤이로 제일 고통 받는 사람은 카카오이고, 가장 고통을 적게 받은 사람은 헬리오스네요. 정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어진 6개의 챔프 중 클라우드탬플러 선수는 리신과 이블린을 선택한 적도 상대편이 저격한 적도 없네요. 두 주요 챔프를 사용하지 않은 대신 다른 챔프의 사용폭은 가장 넓게 나오네요.
다음은 미드입니다.
| 게임당 | 밴 | 픽 | 픽밴 | Mid 9대 챔프중 |
| 저격밴수 | 챔프폭 | 챔프폭 | 챔프폭 | 밴픽 안된 챔프 |
CJ B Ambition | 0.9 | 4 | 11 | 12 | |
SKT T1 Faker | 0.9 | 6 | 9 | 11 | 라이즈 |
NJBS Ssong | 0.8 | 5 | 9 | 10 | 아리, 그라가스, 이즈리얼 |
KT Ryu | 0.8 | 4 | 8 | 8 | 제이스, 라이즈 |
MVP Oz dade | 1.1 | 4 | 8 | 8 | 아리, 그라가스 |
CJ F Ganked by mom | 0.8 | 4 | 6 | 7 | 아리, 그라가스, 이즈리얼 |
CJ F RapidStar | 0.5 | 3 | 3 | 5 | 오리하나, 제이스, 카서스, 이즈리얼 |
NJBS Nagne | 0.8 | 2 | 2 | 3 | 트페, 제이스, 라이즈, 카서스, 그라가스, 이즈리얼 |
일반적으로 미드의 저격밴율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다만 다데 선수만이 약간 저격밴률이 높은 편이네요. 워낙 많은 챔프가 사용되는 미드에서 앰비션이 가장 많은 챔프폭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군요. 빠른별과 나그네의 챔프폭이 어떤지는 게임 수가 너무 적어서 알아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AD입니다.
| 게임당 | 밴 | 픽 | 픽밴 | AD 7대 챔프중 |
| 저격밴수 | 챔프폭 | 챔프폭 | 챔프폭 | 밴픽 안된 챔프 |
KT Score | 0.1 | 1 | 7 | 7 | 코그모, 드레이븐 |
CJ B Cpt Jack | 0.1 | 1 | 6 | 6 | 바루스, 드레이븐 |
CJ F Space | 0.3 | 3 | 6 | 6 | 바루스, 드레이븐 |
NJBS Pray | 0.8 | 2 | 6 | 6 | 바루스 |
MVP Oz imp | 0.2 | 1 | 4 | 4 | 트위치, 코그모, 드레이븐 |
CJ B Hermes | - | 0 | 3 | 3 | 베인, 케이틀린, 이즈리얼, 드레이븐 |
SKT T1 Piglet | 0.4 | 1 | 3 | 3 | 이즈리얼, 코그모, 바루스, 드레이븐 |
프레이의 저격밴률이 다른 AD 보다는 높은 수치를 기록합니다. 기본적으로 AD딜러의 챔프 수는 그렇게 많지 않고, 저격도 많이 당하지 않는 상황이다보니 챔프폭이 그렇게 중요한 것이 아닌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만, 피글렛 선수는 이번 시즌 많은 게임 중 단 3챔프만 사용했다는 것은 피글렛 선수를 저격밴했을 때, 다른 챔프로 얼마나 역량을 보여 줄 수 있을 지 궁금해지는군요~~
Support입니다.
| 게임당 | 밴 | 픽 | 픽밴 | Support 7대 챔프중 |
| 저격밴수 | 챔프폭 | 챔프폭 | 챔프폭 | 밴픽 안된 챔프 |
CJ F MadLife | 0.9 | 2 | 5 | 6 | 자이라, 피들스틱 |
KT Mafa | 0.3 | 3 | 6 | 6 | 자이라, 블크 |
MVP Oz MaTa | 0.4 | 2 | 6 | 6 | 블크 |
SKT T1 PoohManDu | 0.6 | 4 | 5 | 6 | 블크 |
NJBS Cain | 0.5 | 1 | 4 | 4 | 자이라, 피들스틱, 블크, 룰루 |
CJ B Lustboy | - | 0 | 3 | 3 | 소나, 자이라, 피들스틱, 블크 |
CJ B Muse | - | 0 | 3 | 3 | 나미, 피들스틱, 블크, 룰루 |
예상대로 매드라이프가 가장 높은 저격밴을 당했습니다. 서포터들의 저격밴이 높지 않은 상황에서 밴카드를 사용하게 함으로서도 어느 정도 역할을 하는 셈이죠. 반면 매드라이프는 7대 서포터 중 자이라와 피들스틱을 보여준 적이 이번 시즌엔 없습니다.
요즈음 쌍벽이라고 하는 마타 선수를 보면 7대 서포터 챔프중 블크를 제외하면 모두 사용하거나 밴을 당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블크의 숫자가 높아진 것이 메드라이프의 저격밴 횟수때문에 늘어난 것이라면 주요한 서포터 챔프들은 다 다룬다고 봐도 될 듯 합니다.
각 포지션에서 통계에 관한 자료는 다른 분이 올리고 있으니 그것도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약간의 수치가 차이가 나는 것은 통계 기본 자료의 차이에서 발생한 부분일 수 있을 듯 합니다.
다음에는 KDA를 분석해 볼 예정입니다. 언제 올릴 지는 저도 잘 몰라요 ^^
P.S. 40대 아저씨가 회사일 하기 싫어서 틈틈이 만들어 본 자료입니다. 재미로 보시고, 극딜은 자제 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