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L 매니아 칼럼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칼럼] cj의 어떤 점이 달라졌고 강해졌기에 강팀의 모습이 보이는 걸까?

아이콘 블레이즈op
댓글: 36 개
조회: 5722
추천: 8
2015-01-18 01:44:23

최근 연승가도를 달리는 cj, 과연 그들이 달라진 부분은 무엇일까? 지금부터 알아보자



1. 매경기 캐리하는 사람이 다르다

최근 cj의 경기들을 보면 mvp가 매 경기마다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j는 정말로 다양하게 캐리를 한다. 엠비션, 코코, 샤이, 게다가 최근엔 스페이스까지 하드캐리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코코와 스페이스가 포텐이 터진 것이 정말 엄청난 도움이 된다. 메라 또한 하드캐리는 아니더라도 뛰어난 활약을 꾸준히 펼쳐주고 있다. 캐리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은 상대팀에게 엄청난 부담이다. 


과거 최강 시절의 삼성화이트가 롤드컵때 더욱 무서워진 큰 이유는 임프가 대부분 캐리하고 댄디, 마타가 판을 깔아주다가 폰과 루퍼까지 함께 캐리를 하기 시작했다는 점이었다. 


캐리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은 밴픽단계에서 특히 밴할때 엄청난 부담을 주고, 상대 정글의 머리를 복잡하게 만든다. 한마디로 계산이 안 서는 팀이 된 것이다


2. 엠비션의 챔프폭이 넓어졌고, 정글러의 역할을 완벽히 이해했다.

프리시즌 때 엠비션 정글의 모습을 보고 cj팬인 나는 굉장히 실망했다. 그나마 할 줄 아는 것은 워윅과 미드 시절 쓰던 카직스 정도였다. 카직스는 이미 대세에서 벗어난 챔피언이었고, 워윅은 주류 챔피언이었으나 문제는 워윅으로 rpg만 했다는 것이다(사실 정글 워윅 자체가 그런 플레이를 강제하긴 한다). 


그러나 시즌이 시작된 뒤 엠비션의 플레이는 완전히 달라져 있었다. 엠비션의 자르반은 완벽한 정글러의 모습이었다. 원래 미드로서 활약할 정도로 좋았던 피지컬에 갱킹에 대한 감이 더해지니 페이커를 가는 족족 따낼 정도로 갱킹력이 좋아졌다. 갱갈때 자르반으로 꽂는 eq는 정말 잘 맞았다. 


그리고 한타때도 내가 죽더라도 너희들을 잘 가둬놓고 죽겠다(skt 대 cj 다이브)! 혹은 샤이가 들어갔으니 나는 너를 물겠다!(skt대 cj 1세트 애니 물기, 2세트 아리 물기)같은 식의 플레이,몸을 사리는 미드가 아닌 팀에게 모든 걸 바치는 정글로서의 역할을 엠비션이 머릿속에 완전히 박았다. 오죽하면 자르반이 최근 skt대cj 이후 밴픽싸움에서 중요한 카드가 될 수준이었다. 


활약하는 스코어와 평범한 엠비션을 보고 실망하던 그때가 맞는 가 싶었다. 그리고 최근에 리신도 꺼냈고, 자르반의 수준은 아니었지만 꽤 괜찮고 만족스러운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엠비션은 자르반과 렝가라는 주력카드도 갖췄고, 리신이라는 플랜B와 카직스라는 혹시 모를 보험도 있다. 그의 정글러로서의 활약과 성장이 더욱 기대된다.


3. 샤이의 특이한 챔피언 선호가 잘 먹혀들어간다.

솔직히 원래 블레이즈를 더 좋아했었고 언제나 아무리 플레임이 폼이 죽었어도 샤이보다 낫다고(사실 샤이도 많이 감이 떨어졌었긴 했다) 생각했었다. 플레임이 떠났을때 망했다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샤이는 정말 팀에 엄청난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샤이의 챔피언 선택은 굉장히 특이하다. 이 대 탑캐리 시대에 리산드라, 럼블, 나르보다는 탱커 혹은 서포팅형인 문도, 마오카이, 룰루를 픽한다. 사실 딜러로서의 샤이는 몇몇경기(예:케일 하드캐리 경기. 근데 사실 그 경기도 스플릿하다 짤려서 역전당할뻔)를 제외하면 맞지 않는 옷을 입은 듯했다. 


리산드라나 럼블로 마린 마냥 와..하는 모습은 없었고, 과거에도 제이스를 제외하고는 사실 딜러를 플레이해서 엄청난 플레이를 보여준 적은 거의 없는 것 같다. 스플릿은 우직하게!가 신조인 샤이에게 극딜러는 맞지 않는 옷인 것 같았다. 


그러자 샤이는 과감하게 딜러를 버린다. 그는 문도, 룰루라는 주력픽, 가끔은 마오카이라는 아군에게 완벽히 일조하는 챔피언들을 선택한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하드캐리가 쉽고 대세인 딜러를 버리자 샤이가 캐리를 하기 시작했다


문도로 나르 솔킬을 따고, 트리플킬을 먹는 모습을 보여줬다. 미칠듯이 탱탱한 문도로 위풍당당하게 상대 딜러진으로 달려가는 모습은 정말 문도는 이런 것이다 같은 느낌이었다. 


샤이의 선택이 잘 먹혀들어가자, 밴픽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상대는 다른 팀들과 차별화된 cj의 탑 챔피언 픽에 정신이 없었다. cj는 어차피 자신들은 사용하지 않는 굉장히 껄끄러운 럼블이나 리산드라를 밴하는데 완전히 자유로웠고, 주력픽을 뺏긴 상대 탑은 울며 겨자먹기로 마오카이같은 챔피언들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다. 


나르도 물론 있었지만, 나르는 cj가 상대를 어느 정도 괜찮게 상대를 한다(이유는 모르겠지만). 물론 나르에게 큰코 다친적도 있긴 있지만 말이다(듀크가 점멸 벽궁 쓸때는 와…하고 말이 안나왔었다).


대가 주력픽을 꺼낼 수 없게 되자 탑캐리의 최고봉들인 마린이나 듀크의 존재감이 크게 약화되었고, 상대는 주력인(대세인) 조합을 꺼내기도 힘들어졌다. 이게 모두 샤이의 특이한 챔피언 선호와 그 챔피언들의 성공이 미친 영향이다. 



4.깔끔한 오더. 가장 큰 변화 요인이다.

cj프로스트의 오더는 아무리 생각해도 내 혈압이 올라간 것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것 같다. 스위프트&코코의 정말 뛰어난 피지컬이 라인전을 이기게 하더라도 그 뒤에 이어지는 오더는 정말…무리한 바론, 이상한 텔레포트, 삐걱거리는 한타…


과거 라인전을 이기고 코코가 한타이니시를 열려고 이상한 트페 존야이니시를 들어갔다가 혼자 짤리는 장면은 cj프로스트의 오더를 함축적으로 표현한 최고의 장면이었다. 


cj블레이즈는 가장 문제가 탑미드 중심의 오더에서 헤어나오지 못했다는 것이다. 플레임의 폼이 떨어진 것은 지금 생각해보면 정말 너무 깨끗하게 보였고, 엠페러의 폼이 올라온 것도 잘 보였었다. 


그 모습이 잘 나온 때는 롤챔스 2014스프링 4강때이다. 1세트는 트위치, 승리. 2세트는 케이틀린, 패배. 3세트는 루시안, 패배. 4세트는 드레이븐, 승리. 5세트는 트위치 픽하고 지긴 했다. 


이상하리만큼 블레이즈는 원딜 존재감 0의 시대인데도 방식은 탑미드 키우기에서 헤어나오지 못했다. 


플레임은 라이즈나 레넥톤 정도로는 과거의 플레이를 꽤 보여줬으나, 텔포 메타에 적응하지 못하는 모습(정말 아예 적응을 못했다. 아예.)과 과거의 플레이가 어느 정도 나온다 해도 실력이 떨어졌다는 것은 사실이었다. 


엠비션은 그래도 은근히 선전했다. 그러나 피지컬이(원래도 퍼블션이라는 말이 불릴 정도로 피지컬보단 파밍의 강자이긴 했다) 폰이나 페이커같은 자신 이후 시대의 미드 강자들에게 밀리는 것은 분명했다. 정글로 바꾼 게 정말 신의 한수가 된 것같다(정글로선 뛰어난 피지컬에 속하니).


과거 이야기는 이쯤 해두고, 현재로 넘어가자. cj프로스트는 과거에 스위프트가 메인오더, 메라가 부오더라는 말을 한 적이 있었다. 그리고 엠비션이 스페이스에게 바론 막는 것을 명령했다고 하는 것을 보니 엠비션이 사실상 메인오더일 것으로 예상된다. 


엠비션이 cj블레이즈의 특유의 깔끔한, 그러나 탑미드에 치중되지 않은 오더를 선보이며 cj의 정말 다른 팀에 전혀 뒤지지 않는 뛰어난 오더를 하는 것이 cj의 전력을 200%는 상승시킨 느낌이다. 


매드라이프의 폼이 살아나는 것도 관련이 있는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쓸데없는 로밍이 굉장히 많았던 메라가 그런 로밍을 줄인 것도 영향이 있어보이고, 또한 피지컬이 살아나는 것도 오더에 대한 부담감이 줄어든 것일 거란 생각이 든다.





cj의 달라진 모습은 굉장히 의외다. 프리시즌에서의 모습도 이렇게 강해질거란 조짐조차 보이지 않았었는데, 어느새 수많은 부분에서 성장하더니 과거 cj왕조의 모습으로 돌아오는 것처럼 보인다. 


겨우 2경기밖에 치르지 않아서 섣부른 판단은 무리지만, 앞으로도 계속 나열한 장점들을 보여주는 모습을 이어나간다면, cj는 정점에 오를 것이다. 


그리고 그 승부처는 다가오는 ge와 kt,특히 ge전이 될 것같다. 나르를 잘 다루는 스멥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게다가 스멥은 제이스나 리븐 같은 놈들도 잘 다루는데(혹시 샤이가 제이스를 뺏어오기?! 흔한 cj빠의 망상.코코는 가져올수도)말이다. 하여튼 나는 지금 모습만으로도 너무나도 기쁘다.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MVP포인트 표를 제외한 모든 사진은 네이버 e스포츠 영상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1/18/2015 오전2:37 전체적인 수정

1/18/2015 오전3:24 렝가 추가

Lv29 블레이즈op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LoL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