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L 챔피언/운영 노하우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원거리] 봇 라인으로 캐리 하기 고급편 (상)

촉홀렛
댓글: 54 개
조회: 51549
추천: 107
2014-05-24 01:46:52


저번 글들의 호응에 보다 상세한 공략으로 인벤러들의 호응에 보답해 볼까해. 롤은 상황판단을 잘해야 하는데, 사실상 경험이 없으면 힘들지? 따라서 이론으로라도 상황상 어떻게 해야하나 알려줄게. 또한 이전 노하우 게시판 글 들 있으니, 심심하면 참고해 주길 바래! 

봇 라인으로 캐리하기 고급편 (상)은 아이템 빌딩에 관해 적을 거고,(중)은 챔피언 선택 및 원딜/서폿 궁합에 대해 (하)는 라인전/한타 운영에 대해 상세하게 적어볼까해. (상)(중)(하) 전부를 게임 중에 자연스레 구사할 수 있다면, 내가 장담하는데 금방 다이아 상위 티어로 올라온다.




"솔로랭크 원딜의 주소 [수정]"

"꿀챔프 징크스 사용법"



------------------------------------------------------------------------------------------------------------

1.> 원거리 딜러 아이템 빌드 노하우 상세버전

가장정석: The Bloodthirster(피바라기)(Blade of the Ruined King(몰락한 왕의 검))-Berserker's Greaves(광전사의 군화)-Zeal(열정의 검)-Last Whisper(최후의 속삭임)(스태틱의 단검)(Phantom Dancer(유령 무희))(Trinity Force(삼위일체))-Infinity Edge(무한의 대검)-Guardian Angel(수호 천사) 이지

상대의 CC가 크게 강하지 않고 유지력이 좋으며, 우리 팀에 나 말고도 충분한 딜 여력이 있는 챔피언 (주로 솔로라이너) 가 있을 경우
Infinity Edge(무한의 대검)대신 The Bloodthirster(피바라기)Blade of the Ruined King(몰락한 왕의 검) 둘다 가거나 AD계수에 의존하는 드레이븐/미포 같은 챔피언은 The Bloodthirster(피바라기)The Bloodthirster(피바라기)를 대신 빌드 할 수도 있어. 이렇게 하면 나 또한 압도적인 피흡혈을 통해 상대와의 지속싸움을 유리하게 이끌어 나갈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할 수 있는 방어템의 기준을 제시할께. 일단 원딜은 피통이 작기 때문에 순수 방어나, 마법 저항력의 효과를 거의 못본다고 할 수 있어. 롤을 하는 모든이들이 알아야 할 것은 방어템에서 일차적으로 가장 중요한 수치는 피통이야. 왜냐하면 피통은 초반에 AD 든 AP든  다 커버가 가능하며, 피통이 커야 방어와 마법저항의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야. 따라서 원딜은 피통 자체가 작기 때문에, 열에 아홉은 기능성 방어템을 가야해.

기능성 방어템이란 무엇인가? 순수 방어/마저 능력치로 적의 공격을 몸으로 버텨내는 방어템이 아닌, 특수한 기능을 통해 한번의 폭풍 딜/적 기술의 쿨타임을 버텨내게 해주는 아이템들이야. 이는 마치 전차들간의 싸움에서 두터운 전면 장갑을 통해 포탄을 맞아가며 싸우는게 아닌, 날라오는 포탄을 사전에 차단하는 능동방어시스템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방어구로, 밑의 3 아이템이 대표적이야.

Guardian Angel(수호 천사),(헤르메스의 시미터),Banshee's Veil(밴시의 장막)

A) 수호천사
이 아이템은 이기고 있을때 가는 편이야. 굳히기 용이라 생각할 수 있으며, 내가 잘커서, 상대방의 타겟팅 1순위에 놓여 있을때 가는 템이야. 내가 팀파이트에 한 번 죽어도 살아날 수 있기 때문에, 내 딜이 수호천사를 빌드해도 팍팍 박힐때 가는 템이며, 상대의 데미지가 AD, AP가 골고루 섞여있을때 최상의 효율을 발휘해. 위의 셋중에 가장 무난한 초이스.

B) 헤르메스의 시미터
마법 저항력을 주지만, 순수 마저 때문에 가는 템은 아니야. 위의 상황보다 애매한 위치에 있을때 추가 데미지를 통해 좀더 아프게 딜을 할 수 있는 템이며, 상대의 CC가 무섭거나, 적의 강력한 딜러가 풀수있는 타겟형 궁극기를 가지고 있을때 좋은 템이야.수은 장식띠(헤르메스의 시미터)로는 거의 모든 기술/상태이상이 풀리며, 풀수있는 궁극기들은 대표적으로 Death Mark(죽음의 표식)Nether Grasp(황천의 손아귀)Idol of Durand(듀란드의 석상) Infinite Duress(무한의 구속) Children of the Grave(무덤의 자식들)Hemoplague(혈사병)등이 있고, CC로는 Puncturing Taunt(따끔한 도발),Solar Flare(흑점 폭발),Petrifying Gaze(석화의 응시)Impale(꿰뚫기)Glacial Prison(빙하 감옥)Enchanted Crystal Arrow(마법의 수정화살) Wither(쇠약)등 모든 CC를 풀 수 있다 볼 수 있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 아이템으로, 쓰레쉬의 사형선고도 풀리며 Death Sentence(사형 선고), 우르곳의 궁 Hyper-Kinetic Position Reverser(초동역학 위치전환기),Ignite(점화) 또한 Exhaust(탈진) 의 이동저하 또한 풀려

위 아이템으로 상대하기 좋은 챔피언:
Skarner(스카너)Veigar(베이가)Morgana(모르가나)Braum(브라움)Maokai(마오카이)Cassiopeia(카시오페아)Lissandra(리산드라)Ahri(아리)Leona(레오나)Galio(갈리오)Rumble(럼블)Fiddlesticks(피들스틱)Zed(제드)Warwick(워윅)Urgot(우르곳)Evelynn(이블린)Elise(엘리스)Sejuani(세주아니)Sona(소나)Pantheon(판테온)Hecarim(헤카림)Amumu(아무무)Mordekaiser(모데카이저)Rammus(람머스)Nunu(누누)Nasus(나서스)
Swain(스웨인)Malzahar(말자하)

C) 밴쉬의 장막
상대 미드가 잘 컸거나, 논타겟형 스킬 위주, AP딜이 아프다면 무조건 적으로 가는 아주 좋은 아이템이다. 사실상 서로간의 팀 파이트가 비등비등할때는 가장 좋은 방어템이라 할 수 있어. 대표적으로 얘네들 상대로 꿀템이야. 

위 아이템으로 상대하기 좋은 챔피언:
Nidalee(니달리)Kassadin(카사딘)Lux(럭스)LeBlanc(르블랑)Brand(브랜드)Vel'Koz(벨코즈)Malphite(말파이트)Blitzcrank(블리츠크랭크)
Ziggs(직스)Orianna(오리아나)Karma(카르마)Xerath(제라스)Jayce(제이스)Syndra(신드라)Veigar(베이가)Gragas(그라가스)Teemo(티모)Heimerdinger(하이머딩거)Twisted Fate(트위스티드 페이트)Zilean(질리언)Vi(바이)Annie(애니)Karthus(카서스)Anivia(애니비아)Taric(타릭)Fizz(피즈)Nautilus(노틸러스)

D) 예외의 상황

예외적인 상황이 없는 것은 아니야.
---> 상대의 조합이 올 AD에 암살자일때 
예를들어, Talon(탈론)Fiora(피오라)Riven(리븐)Master Yi(마스터 이),Zed(제드) 얘네중 3명 이상이 한팀일때 예외로 란두인의 예언을Randuin's Omen(란두인의 예언) 빌드하고, Frozen Mallet(얼어붙은 망치)까지 추가로 구입하는것도 가능하다. 물론 무난하게, 수호천사를 빌드하고 정석템트리를 빌드할수도 있지만, 내가 베인이나 퀸 같은 암살자 원딜 챔피언이라면 이들을 상대로, 위 처럼 빌드해도 충분히 딜이 잘 박히며 생존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둬. 왜 이런 템으로도 딜이 잘 박히는가? 상대 암살자들 또한 순수 탱커가 아니기 때문에, 탱탬을 잘 안두를 뿐만 아니라 탱탬의 효율이 떨어지는 챔피언들이기 때문이야.

---> 내가 미스포츈, 드레이븐, 퀸, 루시안, 트위치로 초반에 큰 이득 (2~3킬 이상)을 거두었을 때
The Bloodthirster(피바라기)Berserker's Greaves(광전사의 군화)The Brutalizer(야만의 몽둥이)-->Youmuu's Ghostblade(요우무의 유령검)

위 빌드로 라인을 완전 압살 할 수 있다.


---> 삼위일체를 뽑는 경우와 뽑는 타이밍


일단 가장 처음 알아야 할것은 삼위일체는 롤의 어떤 챔피언에게든 좋은 아이템이야. 

원딜 중 삼위일체와 찰떡궁합을 보이는 챔피언들은, Ezreal(이즈리얼)Lucian(루시안)Corki(코르키) 이다. 위 챔피언들로 이기는 라인전을 하고 있고, 우리편 서폿이 유지력(힐,쉴드)이 좋은 서폿일때 선 트포를 빌드해.


그게 아닐 경우 보통 피바라기나, 몰락한 왕의검 이후에 2코어템으로 빌드하며, 삼위일체 하위템의 빌드 순서에 대해 얘기해 줄게. 상대 봇듀오가 CC가 강하거나 폭딜이 강해서 추가체력이 필요하거나, 가장 무난한 라인전일시 Phage(탐식의 망치)
우리편 서폿이 CC가 강해서 우리가 무는 조합일때 추가 폭딜을 위해 Sheen(광휘의 검)

게임이 전반적으로 잘 안풀려서 금방 라인전을 접고 한타를 해야할 것 같아서 삼위일체를 빌드할지 말지 고민될때Zeal(열정의 검) 이때는 열정의 검을 구매해 보고, 상황이 안 좋은 쪽으로 흐른다 싶으면 삼위일체를 일단 건너뛰고 (스태틱의 단검) 으로 잽싸게 업그레이드 후, 향후 풀코어템이 나올때까지 게임을 질질 끌고, 삼위일체로 갈아끼길. 



의외로 Ashe(애쉬)Miss Fortune(미스 포츈)Draven(드레이븐)Vayne(베인) Varus(바루스)또한 라인전이 잘풀렸을 경우, 삼위일체가 은근 효율이 좋은 챔피언들이라 할 수 있어. 그 이유는 트포의 기본 능력치 뿐만 아니라, 트포가 제공하는 평타시 이속증가, 기술 사용시 평타 강화, 그리고 추가 피통과 마나통 때문이라 할 수 있지.

---> 몰락한 왕의 검을 뽑아야 할때

몰락한 왕의 검 또한, 사람들의 인식과 다르게 어떤 원딜이든 사용가능한 템이며, 가장 큰 궁합을 보이는 챔피언들은 빠른 공속과 강력한 1:1을 통한 이득을 볼 수 있는 챔피언들이야

몰왕검의 가장 큰 장점이라면 1:1능력과 추노를 향상시켜주며, 추가 생존성을 보장해주는 것이야. 가장 큰 단점이라면, AD계수에 의존하는 원딜들에게는 썩 궁합이 좋지는 않으며, 피 흡혈량이 피바라기에 비해 눈에 띄게 열등하다는 것.


Vayne(베인)Kog'Maw(코그모)Twitch(트위치) 가 대표적이며, Tristana(트리스타나)는 중반 딜로쓰를 줄이며 순간 강한 화력에 몰왕검 액티브까지 더하기위해 많이 가는 편이야.

그 외의 경우 몰왕검을 갈때는 Lucian(루시안)Draven(드레이븐)Quinn(퀸)으로 상대 원딜이 몰왕검을 빌드하는 원딜이면 따라서 갈 수 있으며, 우리편 서포터가 유지력은 있지만, 전혀 CC가 없는Soraka(소라카) , 부분적인 CC를 갖고 있는 Sona(소나)Lulu(룰루) 일때, 상대 정글의 갱킹에 대비해 추가 생존력을 보장해 주기도 해


라인전 뿐만 아니라 후반에, 우리편의 보호가 별로 안좋은데 카이팅이 좀더 필요하다 싶은 경우, 예를들어 상대방의 Tryndamere(트린다미어)Jax(잭스)Trundle(트런들) 등 몰왕검을 사용하는 스플릿 푸셔들이 잘컸을때 같이 몰왕검을 따라감으로써, 상대가 선 몰왕검 액티브를 사용했을때 맞 몰왕검으로 대처하는것도 좋은 방법이야.




*****추가내용 =  라인전은 쌔지만, 중반에 딜이 조금 애매한 케이틀린의 초중반 캐리형 빌드라고 제가 자주 쓰는건데,  

설마 스럽겠지만 Caitlyn(케이틀린)  케이틀린 또한 몰왕검->광전사->최후의 속삭임->열정->BF->스태틱/유령무희->무한의대검->방템1개 빌드가 상황에 따라서 몹시 좋습니다. 케틀이 몰왕검을 선으로 빌드하면 딜이 안나 올거같다 느껴지는데, 오히려 선 피바라기보다 강한 경우도 많습니다. 

이 빌드는 중반 딜로쓰가 있는 케틀의 딜을 중반에도 몹시 강하게 해주는데, 다만, 조건이 몇가지 있어요. 선 몰왕검 빌드는 앞서 나가거나 최소 동등한 라인전을 가져 갔을때 빌드해야하며, 몰왕검 이후 곡괭이가 잽싸게 나와야 합니다. 또한 상대편이 몰왕검을 빌드하는 원딜이고, 상대 편 탑이 탱탱한 놈이거나, 몰왕검을 빌드하는 쉬바나/잭스/트린다미어 등일때 제일 좋습니다.

즉 이 (아주 개인적인?) 빌드의 핵심은 앞서나갈때 몰왕검이라는 공속 스테로이드를 준 다음에, 부족한 AD 수치를 곡괭이로 뻥튀기 하는겁니다. 빠른 공속으로 헤드샷을 빨리 채워서 짤 짤 짤 ~AD뻥튀기한 헤드샷으로 빵! 

이렇게 재미좀 본다음에, 얻은 초반의 스노우볼로 잽싸게 값싼 아이템인 최후의 속삭임을 빌드해 방관이 묻은 헤드샷을 빵빵! 해주면 케이틀린이 이 타이밍에 몹시 강력합니다.

마찬가지로, 라위 완성이후 열정의 검으로 다시한번 공속 뻥튀기를 준다음에, ->AD뻥튀기로 BF. (그 이후에는 스태틱 빌드하는게 좋은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이 빌드는 스노우볼링 빌드로, 템이 빨리 빨리 나와줘야 하고 이 사이 소규모 전투에서 케틀이 킬을 쭉쭉 먹어야 합니다.) 스태틱 이후 BF를 무한의 대검으로 잽싸게 올려주면, 헤드샷이 빵빵 터질때 마다 상대방 탱커들도 피가 쭉쭉 빠져나갑니다. 

*****한 줄만 요약하자면, 내가 봇에서 흥했는데 팀 상황은 그저 그럴때, 케틀로 캐리해야 할때 쓰는 빌드입니다. 1:1이 약한 케이틀린에게 1:1 능력을 조금 더 부여해서, 좀 더 공격적으로 플레이 할 수 있게 해주구요.*****

---> 선 BF?

고통받는 라인전을 하고 있는 경우 절대 1550 이 모였다고 선 BF를 뽑지마라. 이때는 Doran's Blade(도란의 검)Doran's Blade(도란의 검)Vampiric Scepter(흡혈의 낫)이나 Vampiric Scepter(흡혈의 낫)Boots of Speed(속도의 장화)이나 Vampiric Scepter(흡혈의 낫)Berserker's Greaves(광전사의 군화)를 빌드해

비등한 라인전일때 상대의 CC나, 폭딜이 강력할때는
Pickaxe(곡괭이)Doran's Blade(도란의 검)Doran's Blade(도란의 검) 으로 복귀하는 것 또한 상위 티어에서는 좋은 방법이야

이때 중요한 것은 도란은 템창이 꽉 차기전에는 절대 팔지 않는다. 항상 말하지만, 추가 피통과 초중반 게임에 탄력을 받기 위해 도란을 산 것이다. 





-->주문포식자, 2도란?

사정거리가 짧은 Vayne(베인)Draven(드레이븐)Graves(그레이브즈)Quinn(퀸) 등은 상대방의 봇 듀오와 피튀기는 싸움이 예상되는데, 상대방이 폭딜과 CC로 무장한 봇듀오 Leona(레오나)Annie(애니) LeBlanc(르블랑) 등일 경우2도란의 추가 피통이 몹시 도움이 되


Hexdrinker(주문포식자) 는 원딜로는 왠만해서는 가지 않는 템인데, 상대방의 봇듀오가 비정상적인 봇듀오이거나, 궁극기로 폭 AP딜을 갖고있는 서포터가 오거나, 상대의 미드라이너가 Karthus(카서스) LeBlanc(르블랑) Kassadin(카사딘)등으로 봇 라인에 영향력이 클뿐만 아니라, 이기고 있어서 봇에 자주 들린다면 간혹가다가, Vampiric Scepter(흡혈의 낫) 과 같이 빌드하는 경우가 있어. 이때 주문포식자는 꼭히 마저만을 위해간다기 보다는, 주문포식자의 패시브를 통한 추가 피통을 위해 가는 편이야. 또한 이 아이템을 Maw of Malmortius(맬모셔스의 아귀)로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갖고 있다가 후반에 더 좋은 방어템 (위의 3) 으로 되파는게 현명한 판단이라 할수 있어





--> 서풍과 루난의 허리케인? Cloak and Dagger(서풍)(루난의 허리케인 (원거리))

위 템들은 약간의 버프가 필요한 템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하지만, 절대 쓰레기 템이라고 할 수는 없어.
위 템들은 대표적으로, 6 코어템째 상대방이 논 타겟팅형 CC나 기술 위주이고, 우리팀이 원체 딜이 없는 조합이라 내가 더 많은 딜을 못하면 지는 조합이거나, 도박을 하지 않으면 질 것 같을때 방어템의 안전성을 포기하고 간다. 모 아니면 도, 올인 아니면 패망일때 가는 빌드라고 생각하면되.
서풍과 잘 어울리는 챔피언은 Vayne(베인)Kog'Maw(코그모)Ashe(애쉬)Caitlyn(케이틀린) 등이 있으며, 루난의 허리케인과 잘 어울리는 챔피언은 Twitch(트위치)Varus(바루스)가 있어. 위 2 챔피언은 스택을 쌓아 터트리며 데미지를 넣는 챔피언들인데, 루난으로도 스택이 광역으로 쌓인다는 점에서 루난의 효율이 가장 높은 챔피언이라 볼 수 있어.



--> 무라마나?

Muramana(무라마나)

딱히 원딜템이라고 보지는 않지만, 굳이 빌드한다면 Ezreal(이즈리얼) 얘로만 빌드하는걸 추천해. 

-->칠흑의 양날검 도끼는?

The Black Cleaver(칠흑의 양날 도끼) 굳이 간다면 Miss Fortune(미스 포츈)


--> 포션은?

기본적으로 Health Potion(체력 물약)1~2개는 필수적으로 라인에 들고 복귀할 것이며, Mana Potion(마나 물약) 는 기술을 사용하여 라인을 푸시하거나, 적을 견제하는 챔피언이라면 꼭 1~2개 지참하도록 한다.


--> 와드는?

원딜 또한 시야 장악에 도움을 줘야한다. 특히나 내가 앞서나가고 있고, 상대 정글러의 갱킹이 올 만한 시점일때는 Vision Ward(투명 감지 와드) 를 하나 사서, 삼거리나 갱이 올만한 루트에 박아준다. 그것이 아니면 우리 편 정글러의 갱이 막강한 경우 (피들,아무무,바이,리신 등..) 핑와를 구매해 줌으로써 갱루트를 터주거나, 땅굴을 파게 해준다. 

A> 봇 기준 레벨5 (상대 미드/정글 레벨6)
B> 7분20~8분초 (버프 먹고오는 갱)
C> 주로 10분~11분~ (용 한타 예상시) 특히 우리 탑 라이너가 지고 있거나, 상대 탑라이너가 텔레포트를 들고 있을 경우
등등...

그 외에는 짬짬이 게임내내 최소 4~5개의 Sight Ward(투명 와드) 와드는 설치해 주어야 하며, 돈이 가능할 때 마다 Vision Ward(투명 감지 와드) 를 구입해, 팀의 시야 장악을 돕는다.

가능하면 핑와를 사는 이유는, 핑와를 지킬 수 만 있으면 핑와는 지속시간이 무한이고, 시야싸움을 통해 분쟁/낚시를 유도할 수 있고, 끽해봐야 녹색 와드보다 25원 비싸기 때문이다.





추가적 내용으로 서포터 아이템 빌드: (원딜은 서폿을 잘 할주 알아야 하며, 서폿 또한 원딜을 준수하게 할주 알아야 만 하기때문에, 봇 라인은 원딜로만 간다는 사람들은 ...그저 노코멘트)


Philosopher's Stone(유목민의 메달)Kage's Lucky Pick(얼음 송곳니)(고대유물 방패) 상대의 서폿이 강한 CC를 보유한 레오나, 쓰레쉬, 브라움이 아닐때 돈 템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특히나 위 3 CC가 몹시 강한 서폿을 상대로는 초반 라인전이 중요한 봇 라인인 만큼 Doran's Shield(도란의 방패)여전히 도란 방패와 (와드 토템 (장신구)) 를 갖고 시작하는게 좋다. 특수한 전략을 위해 시작 아이템으로 일반 와드를 2개 구매하며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면 (탐지용 렌즈 (장신구)) 탐지용 렌즈보다 (와드 토템 (장신구)) 와드 토템이 여러모로 좋은 편이다. 


이후, 2티어 돈템을 1순위로 뽑으며, (시야석)시야석을 뽑기전에는 일반 와드를 구매하는 것으로 부족한 와드를 충당한다. 와드 1개라도 사라. 예외적으로 상대 봇듀오의 폭딜이나 CC가 여전히 막강하다 느껴질 경우 도란 방패 이후 2티어 돈템이 아닌Ruby Crystal(루비 수정) 곧바로 시야석의 하위템인 루비크리스탈을 구매해 피뻥을 하는 경우도 있다. 2티어 돈템 이후에는, (시야석) 을 구매, 이때 부터는 와드 사는 비용대신 핑와를 최소 한개는 아이템창에 넣고 다니며 필요에 따라 설치하여 적극적인 시야싸움을 펼쳐야 한다. 또한 장신구를 (탐지용 렌즈 (장신구))바꾼다. 


이후 빌드가 갈리지만, 상대 봇듀오의 폭딜이나 CC가 여전히 막강하다 느껴지면 Giant's Belt(거인의 허리띠) 를, 우리 라인이 이기건 지건 폭파 되었다면, Boots of Mobility(기동력의 장화)를 통한 로밍을, 무난하거나 이기고 있을때는 3티어 돈템을 뽑고 난 이후에는, 우리팀이 나에게 어떤 역할을 필요로 하는지를 파악한 후에, 그에 맞게 템을 빌딩하면 되겠다. 




서포트의 경우 원딜보다 상황상 빌드 하는 템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 내가 AP짤잘이 메이지 계열 (룰루,소나, 자이라, 하이머딩거, 카르마 등...) 서포터일 경우 
<<중점: 마법관통력, 원거리 AP 짤짤이로 추가 화력 지원 및 포킹을 통한 상대방 진입방해, 원딜보호>>
(서리 여왕의 지배)(루비 시야석)Sorcerer's Shoes(마법사의 신발)(리안드리의 고통)Locket of the Iron Solari(강철의 솔라리 펜던트)(Randuin's Omen(란두인의 예언))(Banshee's Veil(밴시의 장막))((쌍둥이 그림자))(미카엘의 도가니)(Mejai's Soulstealer(메자이의 영혼약탈자))(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모렐로노미콘))(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Rabadon's Deathcap(라바돈의 죽음모자))

--> 내가 AP쿨감 계열 (잔나, 소라카, 타릭, 모르가나 등)
<<중점: 쿨감소, 마나 리젠, 어느정도의 탱키함을 통한 지속 스킬 남발로 어그로 분산 및 상대방 딜로쓰, 원딜보호>>
Shurelya's Reverie(승천의 부적)(루비 시야석)Ionian Boots of Lucidity(명석함의 아이오니아 장화) Rylai's Crystal Scepter(라일라이의 수정홀)(미카엘의 도가니)Locket of the Iron Solari(강철의 솔라리 펜던트)(Randuin's Omen(란두인의 예언))(Banshee's Veil(밴시의 장막))((쌍둥이 그림자))Mejai's Soulstealer(메자이의 영혼약탈자))(Athene's Unholy Grail(아테나의 부정한 성배))((모렐로노미콘))(Zhonya's Hourglass(존야의 모래시계))((얼어붙은 건틀릿))(Seraphs Embrace(대천사의 포옹))(Lich Bane(리치베인))(Zeke's Herald(지크의 전령))

--> 내가 이니시에이터 CC계열 (레오나, 쓰레쉬, 브라움 등)
<<중점: 각종 액티브 슬로우, 실드 탬을 통해 돌덩이 이니시에이터 역을 하거나, 역으로 이니시에이트 당했을 경우에는 팀원이 빠질 수 있도록 적진 한가운데서 공격적으로 팀원의 딜러를 엄호>>
(산악 방벽)(루비 시야석)Boots of Mobility(기동력의 장화)(Mercury's Treads(헤르메스의 발걸음))(Randuin's Omen(란두인의 예언))(Banshee's Veil(밴시의 장막))((미카엘의 도가니))(Frozen Heart(얼어붙은 심장))(Warmog's Armor(워모그의 갑옷))(Guardian Angel(수호 천사))(Sunfire Cape(태양불꽃 망토))(Locket of the Iron Solari(강철의 솔라리 펜던트))((얼어붙은 건틀릿))(Thornmail(가시 갑옷))(Zeke's Herald(지크의 전령))

Lv44 촉홀렛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LoL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