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일반] 마스터 400점, 아크샨 템(제외), 룬, 스펠 정리

Ccb19
댓글: 10 개
조회: 1851
추천: 2
2024-09-26 00:00:22

​​​​​​
필자는 아크샨으로 마스터 400점까지 가본 유저로 높은 티어는 아니지만 빌드를 만드는 과정에서 아크샨 유저들한테 도움이 될 것 같아서 글 씁니다.

원래 아이템까지 만들었는데, 이번 패치로 아이템 대격변이 있어서 아직 테스트 중이라 제외시키겠습니다. 추가로 룬도 영감 쪽 고려하긴 합니다.


1. 스펠
가장 중요한 스펠 설명 먼저 들어갑니다, 지금 아크샨이 계속되는 직접/간접 너프로 체급이 아사 직전인 상태라
무조건 점멸/점화 고정으로 듭니다. 이래야만 이전 아크샨 체급을 느낄 수 있어요.
메이지 상대로 집타임 못잡아서 텔이 좋아요 ㅠㅠ <- 메이지 매치업에서 텔로 버텨도 압박과 킬이 없이 복귀텔로 마무리되면 조금씩 아크샨 체급이 밀려서 할 게 없어집니다. 기존에 아크샨이 메이지 상대로 텔을 들었던 이유는
"텔을 들어도 라인전 압박 및 솔킬이 가능해서" 입니다. 지금은 점화 없이 안돼서 메이지한테 시간만 주는 꼴이예요
무조건 첫 집 전에 점화로 쇼부보기 or 첫 집 전에 상대 정글 땜에 킬각이나 밀어내는 각 못잡았다면 두 번째 집 전이라도 압박 + 솔킬 각을 봐야 합니다. 

왜 이렇게 압박과 킬에 집착하냐? 지금 아크샨으론 6:4 7:3까지 라인전을 가져와도 두 세 번째 집부턴 어지간한 매치업은 체급에서 밀려요. 근데 스탠딩 메이지가 나오면 아주아주 실수 없이 잘해야만 첫 집 전에 6:4가 나옵니다. 메이지 대 아크샨 구도면 정글 시팅이 붙어서 사실상 7:3 이상이 어려워요 3렙 타이밍에 미드 지나가면서 정글이 손해 보더라도 피갱, 경험치 못먹는 갱 갈겨버리면 강제로 집탐을 잡아야 합니다.


스탠딩 메이지 말고도 지금 미드에 자주 나오는 야스오 사일러스 르블랑 전부 체급에서 밀립니다 그냥 못이겨요
진짜 자주 나오는 요네. 라인전은 7:3 이상 가져가더라도 우리팀이 두들겨 패서 게임 밀어놓은거 아니면 사이드에서 몰왕만 띄워도 1코어 이상 차이나도 아크샨은 겸상 못합니다. 우리팀 탑이 사이드 잘 패는 애가 나오길 기도해야돼요 결국 솔캐리가 안된다는 뜻.
즉 지금 아크샨 체급으로 텔은 들고는 초반부터 거센 압박은 사실상 불가능 합니다. 그런데 초반부터 거센 압박을 하지 못한다면 아크샨을 하는 이유가 없죠.. 두 세번째 집까지 우리 정글이 뭔갈 해주길 기도해야 합니다.
그래서 상대 미드랑 같이 성장이 밀리는 한이 있어도, 잡지 못한다 하더라도 점화 들고 성장을 망쳐버리고 전령이나 용, 바텀 싸움에서 상대 미드가 강한 타이밍을 늦추는 겁니다. 결국 양 쪽 미드가 다 템이 안나왔다면 초반 교전은 아크샨 쪽이 웃을 수 있거든요.

실제로 메이지랑도 라인전을 많이 서봤는데 첫 집 전에 솔킬, 이후에 상대는 텔 복귀로 경험치 이득을 본다 하더라도
한번 죽었다는 그 점이 상대방에게 불리함을 자극하는 느낌입니다. 빠른 시간에 텔을 뽑았고 텔 없이 도란 반지 혹은 + 인장 or 고서 정도로 아크샨과 라인전을 하니 쉽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점화 최고 장점은 2:2 3:3 교전이나 사이드에서 굉장히 강해요. 점화를 들어서 운영은 어려워도 어차피 요새 메타가 131 보다는 14나 아예 미드에 힘 주는 메타라서 미드가 텔 안들어도 엄청 손해가 크진 않아요. 오히려 무리하게 밀려다가 잘리는 각이 안나오게 돼서 라인전 이후에 사이드 자르는 승리플랜을 가진 정글러나 서폿들이 본인 하던걸 제대로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요새 정석으로 미드 쪽 힘을 주는게 아닌 사이드 자르는 날먹 운영을 하는 정글러나 서폿이 많아요.


2. 룬
둘 중 하나 골라야 합니다. 집공 / 감전
제일 중요한게 룬에 무조건 지배를 넣어야 하는겁니다. 결의를 들어서 라인전을 좀 더 편하게 가져간다? 아닙니다. 무조건 지배를 들고 킬로 얻은 지배 효과를 빠르게 받아야 합니다.
돌발일격은 예전에 방관 리워크 때 방관 -> 물관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모든 방관 아이템들은 수치가 조정됐음에도 칼질을 먹지 않았고, 효과가 온전히 살아있어서 굉장히 좋은 룬이예요. 아크샨하고 잘 어울리기도 하고

추가로 끈질긴 사냥꾼을 들어서 아크샨의 기동성을 2티어 신발 없이도 나올 수 있게 확보합니다. (아래에도 적겠지만 저는 똥신 하나로 2코어 넘게까지 버티다가 판금장화 헤르메스 신속신을 맞추는 스타일이지만 어떤분은 공생형밑창을 빠르게 맞추는 경우도 있어서 그런 경우에는 보물 사냥꾼을 채택해도 되지만 전 끈질긴 사냥꾼을 못놓치겠더라구요 다음 패치 때 템 스펙 너프로 인해서 돈관련 룬보단 끈사가 나을 것 같기도 하고)

결론적으로
집공-침착-민첩함-체력차 극복 / 돌발일격, 끈질긴 사냥꾼 or 보물 사냥꾼
혹은
감전-돌발일격-사냥의 증표-끈질긴 사냥꾼 or 보물 사냥꾼 / 침착, 민첩합 or 체력차 극복
* 골드의 효율이 패치로 인해 많이 떨어져서 보물 사냥꾼은 아예 패스 시킵니다.

이렇게 가주시면 됩니다. 상대 미드가 메이지고 물몸이 많으면 감전으로 라인전부터 풀으시면 되고 그게 아니라면 집공 드시면 됩니다.


++ 최근 룬 패치로 인해서 부룬을 영감 비스킷 다재다능 or 우통 고려중이긴 합니다. 비스킷이 넘사벽 사기룬이예요. 상대가 점화 안드는 메이지 매치업에서 비스킷 다재다능 들고 첫 귀환에 도란검 신발 단검 맞추면 적응형 능력치 + 10입니다. 쏠쏠해요 다만 이렇게 가면 크라켄 징수 or 오만을 고정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것도 연구중이긴 합니다. 오만쪽 빌드로 테스트중 입니다.


3. 템트리

아이템 트리는 새로 연구중입니다.


플레이 방식이나 다른 점도 가르쳐드리고 싶은데 너무 길어질까봐 마칩니다. 꿀팁을 적는다면 무조건 초반에 제어와드를 포션값 아껴서라도 구매하셔서 (보통 점화트리를 타다보니까 상대방이 말려서 제가 포션을 안사도 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용이나 전령 쌈 때 강가 부쉬에 박아 주거나 미드에서 바텀 가는 길목에 와드랑 같이 시야 먹어줘야 우리 정글러도 다니기 편하고 우리 바텀도 라인전 하는게 편해져요. 아크샨은 초반에 우리 정글이랑 합을 맞춰서 뭔갈 해야하는 챔프입니다. 시야 가져오는건 필수예요 와드를 안사면 먼저 밀어도 할게 없어집니다. 전 여유가 되는 용 전령 때는 두 개씩 사들기도 합니다.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에 

라인전 팁은 만약에 라인전 상성이 좀 안좋은 매치업에서 상대 정글 개입으로 좀 말리게 됐다?
이럼 어쩔 수 없습니다 날먹빌드 써야 합니다. 집 찍고 신발부터 신고 푸쉬 대충하면서 (여기서 푸쉬를 대충한다는 표현은 적어도 대포웨이브도 안박고 로밍턴을 써버린단 의미입니다.) 바텀 탑쪽에 붙어야 합니다. 말 그대로 날먹으로 로밍가서 역전의 가능성을 만드는 것

추가로 궁금하시면 답변 해드릴게요​​​​​​


** 카운터에 관련해서 답변 드리면
지금 체급이 워낙 안좋아서 쉬운 상대가 많이 없는데
라인전 기준으로 놓고 말해드리면

절대 못이김 - 야스오 이렐리아
어려움 - 신드라 흐웨이 ​벡스 르블랑 애니비아 신드라 오로라 사일러스 아칼리
보통 - 오리아나 조이 트페
쉬움 -  아리 아우솔

나머진 거의 쉬운편인데 원래는 야스오 이렐 빼고는 손으로 어느정도 커버가 됐는데
체급이 너무 떨어져서 피지컬이 좀 안올라오는 날이면 손으로 커버가 안되기도 합니다. 특히 흐웨이는 1 2렙에 작 제대로 못하면 끝까지 못 이겨요. 무조건 초반에 점화로 쇼부 봐야 합니다. 나머진 갈고리 심리전으로 어떻게든 할만합니다.

벤은 보통 요네 야스오 이렐 합니다. 인덱시님 같은 초고수는 다를지 몰라도 전 도저히 야스오 이렐은 못이기겠습니다.

Lv50 Ccb19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LoL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