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t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일반] 저티어 원딜 7계명

아이콘 Retribute
댓글: 5 개
조회: 1748
추천: 1
2024-03-11 13:32:11
아브실골플에 원딜에게 바침

1. 내가 제일 잘한다는 마인드 잃지 않기

원딜은 기세가 은근 중요함
상성이 밀려도, 초반이 불리해도 내가 더 잘하고 후반에 이긴다는 마인드로
포기하지 않고 방법을 찾는게 중요
상대 기세에 눌려 소극적으로 변하면 잡을 각도 못잡고 때릴 각도 못때림

2. 라인전은 되도록 유리하게 , 못하거나 불리해야 반반가기

만약 라인전이 졌다면 그 판은 무조건 그냥 자기 잘못이라고 생각하셈
원딜의 제일 중요한 상수는 웬만하면 라인전을 지지 않는 것임

물론 서폿이나 정글이 라인전을 박살내는 경우도 있지만 이건 논외로 침

예를들어서 자신의 주력챔이
케이틀린, 바루스 이런 챔프면 라인전을 지는 순간 게임 이기기 어려움
물론 못이기는건 아니지만 위의 챔프는 지면 매우 영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웬만하면 라인전을 이기는게 상수, 못해야 반반이라 생각하셈

반대로 제리, 카이사 이런 애들은 라인전이 원래 불리함 즉 이기면 개이득이고
그다음이 반반임 얘넨 킬만 내주지 않고 쭉 버티다보면 캐리력이 좋음
그래서 최대한 덜 박살나는걸 목표로 해야함
만약 계속 터진다? 그럼 본인 문제일 가능성이 큼

게다가 저티어는 사실 바텀 구도가 계속 뒤집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정석적인 구도라도 할만함
극단적으로 케틀럭스vs 카이사노틸 이런 구도면
킬 한두번 따면 케틀럭스가 디나이 당하는게 저티어 바텀 구도임

즉 최대한 라인전을 지지않는 것 부터 지켜야함
라인전 발렸으면 남탓 ㄴ
라인전을 반반가거나 이겼는데도 게임을 지면 거기서 다른 피드백을 해야함

3. 서포터에 의존하면 안된다

아브실골플에 서포터는 믿지 않는게 기본적으로 좋고 정신 건강에 이로움
쉽게 예를들어서 루시안 밀리오 vs @ 레오나 구도로 보겠음

이 구도는 밀리오가 레오나 직선 방향 혹은 원딜이 레오나 E맞을때 Q를 맞출 수 있다면
라인전이 성립할 수 없는 구도임
레오나 궁? 밀리오가 레오나 궁 맞기전에 궁쓰면 스스로 풀 수도 있음

맞출 수 있다면
= 이게 함정인게 솔직히 이거 난이도는 높지 않음
왜냐면 레오나 E는 이동경로가 정해져있고 맞고->이동이라는 정직한 스킬임

이걸 기본으로 할 수 있는 티어는 에메랄드 상위권 정도라고 생각하는데
내 머릿속에는 이거 개념만 알면 플래티넘도 가능하다 생각하지만
이런 플레이를 할 수 있는 서폿을 저티어에선 찾기가 희박함

비슷한 경우로 루시안 대쉬에 나미E, 밀리오E or W라던가 
상대 돌진기에 알리가 W로 미는거 솔직히 어렵지 않음

근데 이런걸 기대하면 안되고 이게 서포터의 상수라 생각하면 안됨 이걸왜못하지? 하고 이해하려고 하지 마셈
거의 못하고 안해줌 되는 애들 만나면 이겼다 생각하고 캐리하셈

즉 아 얘가 ~~했으면 살거나 잡았는데 하는 경우가 최대한 적어야함
팀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고 자신만의 최대치를 높이는게 제일 효율적임

그리고 별의 별 서포터가 나오고 서폿유저 아닌 애들이 많아서
항상 버리는 패 라고 생각하셈 서포터가 뻘짓해서 불리해도
원딜만 죽지 않으면 게임 이길 가능성은 유지됨

4. 불리할땐 기회주의 유리할땐 과감하게

1번과 연결됨 1번의 마인드가 있어야 가능한 플레이임
게임이 불리할때는 상대 실수를 받아먹어서 내 입에 넣을 생각만 하셈

유리할 때는 스펠이 있다면 상대를 빨아들이거나 화끈하게 딜각잡는 플레이도 할 줄 알아야 함
유리한데 빨아들이는 플레이를 할 수 없다면 해당 게임의 승률을 더 높일 수 없음

5. 점멸을 효율적으로 쓰기

4번과 연결되는 이야기임

원딜의 점멸은 매우매우 중요함 미드 뚜벅이 메이지급으로 중요함
킬각을 잡거나, 상대 스킬을 피하는데에 주로 사용됨

그냥 원딜의 값어치도 기본적으로 높지만 뚜벅이 원딜의 점멸은 더욱 높음
심지어 잘큰 뚜벅이 원딜이 노플이다? 그냥 티어 불문하고 무조건 한타 포커싱 1순위임

여기서 불리할때 1000원짜리 제압킬을 먹으려고 점멸을 쓸 수도 있고
한타를 이기기 위해 상대 중요 스킬을 피하려고 점멸을 쓰거나 
킬을 쓸어담으려고 쓰는 점멸도 있음

이것들을 할 수 있어야 원딜 캐리가 나옴

6. 자신이 잘하는 플레이를 파악, 이용하기

이건 사람마다 매우 달라서 자신이 뭘 잘하는지 아는게 중요함
겜 할때 아니 어떻게 이새끼가 이티어지? 하는 얘도
사실 다른걸 못해도 어떤 것 하나는 그 티어에 맞거나 그 이상을 하니까 그 티어인 경우가 많음

나같은 경우에는 거리조절을 잘하는편임
어떤 느낌이냐면 내가 케이틀린을 하고 있을 때 상대가 사미라다?
사미라가 나한테 평타를 치려면 적어도 상대 서폿이 물거나 점멸을 써야함
평타를 치는 경우는 적어도 나한테 두세대 이상은 맞아야함
루시안이다? 대쉬 안쓰면 나 못때림

즉 사거리가 내가 길면 내가 먼저, 많이 때리고
내가 짧으면 최대한 동시에, 비슷하게 때림

한타땐 거리조절을 이용해서 상대 돌진기 끝자락에 안맞게 아슬아슬하게 무빙치거나 점멸 손실을 요구함
나는 이런 플레이를 잘하는걸 아니까 적극적으로 이용해서 이득을 많이봄

내가 말한 거리조절외에 원딜할때 좋은 비슷한 능력이 뭐가 있냐면
- 교전 피지컬(교전중 스킬샷과 회피)
- 타이밍 뇌지컬(유리한지 불리한지 계산해서 싸우기)
- 운영(라인 관리와 개입)

이 정도가 있고 이 외에 자신이 잘하는 플레이를 인게임에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게 좋음
친구중에 원딜하는 얘가 있는데 걔는 거리조절은 별론데 
교전 피지컬이 좋아서 싸움을 이기거나 질 싸움도 최대한 덜지게 하는 플레이를 자주 보여줌

보통 이런건 잘하는 챔프폭이랑 연관이 깊은데 
나는 케틀 애쉬같은 아웃복서 스타일을 잘하고 그 친구는 카이사미라 같은걸 선호하고 잘함

7. 잘못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이건 3번이랑 조금 연관되긴함
보통 저티어 원딜의 경우 사실 팀이 줜나게 못했는데 자신도 제대로 플레이 하지 못해서
아 내가 문젠가 하고 잘한 것도 나쁘게 생각해서 플레이 방향성이 틀린 곳으로 가는 경우도 있음

즉 저새끼 잘못인지 내잘못인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야함

예를들어 초반에 상대 바텀을 딜교환으로 밟아놔서 이득을 본 상태지만
상대 바텀의 3렙 갱호응이 좋아 라인을 빡세게 밀기엔 부담스러워 서폿한테 정글핑, 빽핑을 찍었음
이때 상대가 쌈을 걸어서 아군 서폿이 빼지 않았고 상대가 3렙갱을 와서 둘다 혹은 한명이 죽음

여기서 이제 막 서포터가 "아니 걍 싸우지 왜 뺌? 잡는건데"
이 말을 하면 '아 그랬어야 했나 ㅈㅅㅈㅅ' 하는 경우임

사실 이건 상대 바텀은 갱이 오니까 딜교환을 졌어도 쌈을 건거고 만약 죽을 것 같으면 뺏을거임
이게 보통 저티어에서 자주 발생하는 그랩류 vs 유틸or딜포터의 구도임

상대를 무조건 두명이상 딸 수 있는 확신이 있다면 2:3 교전을 하는게 좋지만
애매한 경우라면 뺏어야 했을 때 팀이 저런 말을 하면 이제 생각이 이상하게 되는거임

팀이 뻘짓해서 원딜이 욕을 먹는 경우는 저티어에서 매우 많음 
왜냐면 초반엔 너무 수동적이고 능동적인 플레이에 리스크가 매우 크기 때문임

물론 너무 경직된 사고도 좋지 않지만 적어도 누구의 잘못인지 정확하게 인식 할 수 있어야
멘탈 관리에 좋고 플레이에 영향을 끼칠 확률이 적어짐

그렇다고 남탓을 하라는건 아님 
게임을 졌을 때 팀이 크게 못해서 진건 크게 개의치 않고(팀을 피드백 해서 바꿀 수 없으니까)
자신이 못해서 진건 인정하고 수정할 수 있어야 함



 

Lv72 Retribute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LoL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