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T 모드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공략] 핵폭탄 주문력의 끝판왕 - 요술사덱 공략(베이가 중심)

조커에이스
댓글: 1 개
조회: 6881
2020-09-23 17:45:46
9요술사한적도 있는데 이런주문력은 안 나오더라고요.
첨부터 베이가를 못키워서 그런지...
요술사로 1등 3번에 2등 1번 연속으로 찍어서 기분이 좋아진 나머지 공략이라는 걸 써 볼까 합니다.
재미삼아 한번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요>

롤체에는 아리요술사덱이 올라와 있던데 베이가중심 요술사덱도 승률 꽤 잘뽑습니다.
베이가 선택받은자를 굳이 뽑지 않아도 나미/룰루 선택받은자 들고 가면 충분히 트럭몰면서 베이가 키울 수 있습니다.
단 베이가가 빠르게 2성이 안 뜨면 아리쪽으로 선회하는 게 순방에는 훨씬 낫습니다.


<코어템>

요술사덱의 핵심 코어템은 애니/베이가/아리 순서로 템이들어간다고 보시면 되고 남는템은 릴리아에게 적당히 쥐어주면 됩니다.

애니는 최소 2성을 찍어야 되고 탱템 잘 둘러야 됩니다.
저는 썬파/수은 +a 정도로 보는데 수은은 반드시 필요하고 +a자리엔 상대편들 상황과 내 템상황에따라서 이온충격기/얼심/용발 등등 넣어주면 됩니다. 애니가 스킬 못쓰고 터지는순간 요술사덱은 바로 눕습니다. 베이가가 정리할 시간이나 아리가 잔몹들 쓸어낼 시간을 벌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애니는 수은이 들어가야됩니다. 그리고 모렐로로 치감을 묻힐만큼 여유있는 요술사는 없기 때문에 (아리건 베이가건 한방형) 썬파가 가장 어울린다고 생각합니다.
 
베이가 템은 블루/흡총은 무조건이고 저는 대부분 거학을 씁니다.
3성갈리오 한방에 터뜨리는재미가 쏠쏠해서...
그런데 거학아니어도 웬만한 주문력템이나 가엔/보건을 가도 다 괜찮을겁니다.
단언하지만 어떤 경우에도 베이가에게 블루/흡총을 쥐어주지 못한다면, 절대로 베이가중심 요술사는 하지 않는 편이 낫습니다. 차라리 아리나 릴리아에게 템을 더 쥐어주는 편이 훨씬 캐리력이 올라갑니다.

아리는 사실 베이가키우기형 요술사라면 템이 안남는데 베이가가 영 안떴다면 트페에게 미리 블루/보건을 만들어주었다가 넘겨주는 식으로 빌드업하면 됩니다. 3성트페라도 가차없이 아리로 바꿔치워야 됩니다. 딜량이 비교불가수준이니까요.

이외에 영 애매한 탱템이나 공격력템 등등은 그냥 릴리아 몰아주면됩니다. 기본스탯이 준수하고 탱템효율이 잘 나오는 좋은 챔피언입니다.

거의 일어나지 않는 일이지만, 여눈/조개가 남는다면 룰루에게 성배를 투자해 주시고 아리/베이가 사이에 세워주시면 됩니다.


<빌드업>

모든 덱이 다 그렇겠지만 요술사덱도 빌드업과 아이템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걸 잘했다면 저도 이미 다이아쯤 가 있었겠지만...
제가 아는대로 써볼테니 참조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1) 초반 크립라운드

크립라운드에서 베스트 시나리오는 룰루나 애니가 요술사로 선택받은자가 뜨는 겁니다. 
아니더라도 나미/트페 선택받은자가 뜬다면 충분히 빌드업할 수 있지만 후반에 조금 힘은 빠집니다.(특히 트페) 트페는 뜨더라도 망설일 수밖에 없습니다. 중간에 선택받은 자를 바꿔야 되니까요.
선택받은자 요술사가 뜨지 않았더라도 사실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요술사/싸움꾼/나무정령이라는 대안이 있기 때문이죠. 이 부분은 조금 뒤에 설명하겠습니다.

베스트 아이템은 여눈 2개/BF/쓸큰지가 준비되면 최고입니다. 초반 운전용으로 허리띠와 갑옷을 챙겨서 썬파가 올라가도 매우 좋습니다. 

정상적으로 3요술사가 떴다면 바로 투입해주시고 레벨업을 눌러서 4레벨을 찍어 주세요.
여기서 3요술사가 안떴더라도 나무정령이나 달빛/선봉대 등 초반운전용 시너지가 괜찮고 아이템이 적절하다면 충분히 요술사덱으로 이어갈 수 있습니다... 만 여기서 초반운전도 안되고 요술사도 안된다면 빠르게 다른덱으로 전향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초반에 2-3 회전초밥까지 바로바로 레벨업을 하여 5레벨을 찍는 것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이자플레이 할 시간은 없습니다. 연승 보너스 먹어야죠.


2) 크립라운드 - 6요술사까지

아까 선택받은 자가 뜨지 않아도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했는데, 그 이유는 요술사덱 자체의 초반 확장성이 굉장하기 때문입니다.


1코스트~3코스트 라인업에는 요술사 5명(룰루,베이가,애니,트페,나미) 싸움꾼 5명(마오카이,탐켄치,누누,사일러스,바이)
나무정령 5명(룰루,베이가,마오카이,누누,헤카림) 이 골고루 포진하고 있습니다. 초반에 레벨업을 빨리 해야 하는 이유가 이것인데 웬만한 1성유닛을 대충 처넣어놓더라도 시너지의 발동이 원체 쉬워서 다른 선택받은자 덱을 상대로도 쉽게 연패하지 않으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5레벨에 요술사/싸움꾼/나무정령을 갖추게 되었다면 이후 체력관리 및 이자관리를 하면서 선택받은자가 뜨는 쪽에 따라서 얼마든지 싸움꾼이나 나무정령덱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자유로움이 있는 것이 또한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술사로 계속 진행한다면 두말할 것도 없이 베이가 선택받은자가 베스트.

빌드업과정에서는 6요술사/3나무정령을 빨리 올리는 것이 트럭운전의 지름길입니다. 5레벨을 찍고 6요술사를 발동시키는 순간 덱의 위력은 차원이 다르게 올라가게 됩니다.
5렙 직후 6요술사 발동에 성공했다면(즉 2-5 이전에 발동시켰다면)선택받은자 빼고 모두 1코스트라도 절대 쉽게 지지 않습니다. 이자관리가 매우 편해질 테니 50원을 모아서 레벨업에 투자하여 6레벨을 찍고 누누나 마오카이를, 7레벨에 누누/마오카이를 함께 투입해 주시면 됩니다.




3) 6요술사-순위경쟁까지

베이가중심 6요술사덱의 최대 단점은 전설이에게 들어가는 데미지가 태생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대부분의 경우 베이가 혼자, 많아봤자 두세 기물만 살아서 승리하게 되니만큼 전설이에게 들어가는 데미지는 대부분 한자릿수가 됩니다. 즉 빨리 탈락시키기 힘들다는 소리기도 한데요. (대신에 베이가뽕맛이 상상을 초월...)

여유있게 연승가도를 달려서 베이가3성/룰루3성을 찍고 뭘 넣어볼까 고민할 수준이라면 참 좋겠지만 매 게임 그렇게 흘러가지는 않습니다. 여눈흡총조차 만들지 못하고 초밥에서는 다 뺏기고 하는 경우도 많지요.
특히 요술사덱이 꼬이는 대부분은 기물이 꼬이기보다는 아이템이 꼬이는 경우들인데요.
롤체는 기본적으로 운빨좆망겜이라는 것을 명심하시고 6요술사를 완성했더라도 기물들의 레벨이 낮다면 아이템 상황에 따라서 얼마든지 다른 덱으로 바꿀 수 있다는 마음가짐으로 운영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극후반에는 거의 변화의 여지가 없어 보이지만 요술사덱은 뒤집개여부 및 초밥라운드 상황에 따라서 황혼이나 나무정령으로 확장할 여지가 굉장히 많은 덱입니다. 저도 6요술사 4황혼이나 6요술사 6나무정령도 만들어 봤습니다.
중요한 것은 상대방 덱들에 따라서, 그리고 상점 상황에 따라서 언제나 유연함을 발휘할 수 있는가? 라고 하겠습니다.
광신도에게는 거학을, 황혼덱에게는 신비술사를, 결투가에게는 현혹술사를... 아이템과 시너지로 항상 카운터와 배치싸움, 수싸움을 준비해야 순위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습니다.


<완성덱>

8레벨과 9레벨 덱 두가지를 올려놓겠습니다. 웬만큼 연승을 탔다면 요술사덱만큼 9레벨 덱이 만들기 쉬운 경우도 몇 없을 겁니다.
뒤집개 상황(특히 황혼이나 나무정령)에 따라서 얼마든지 완성덱은 바뀔 수 있습니다... 만 열에 아홉판 정도는 올려놓은 덱의 기본 형태에서 거의 벗어나지 않습니다.



8레벨 완성덱은 빌드업에 썼던 마오카이/트페/나미를 빼고 릴리아/카시/아리를 한장씩 바꿔넣어주면 됩니다.



9레벨덱을 올리실 것이라면 반드시 애니는 3성을 찍고 풀템을 맞추고 나서 넘어가셔야 됩니다. 상대 상황에 따라서 배치를 유연하게 바꾸어야 하며 서풍에 극히 주의해야 합니다.


<마치며>

오랜만에 글을 길게 썼지만 쓸모없는 내용이 많을까봐 걱정되는군요...
롤체 시즌1부터 한번 공략을 써볼까 했는데 매번 패치를 따라가지 못했었는데, 짧게나마 기분내키는 대로 글 적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다들 쉽고 강한 요술사덱으로 랭크 올리시길 바라겠습니다 ^^

Lv28 조커에이스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LoL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