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 전,아래 컴퓨터 관련 조언에는 글이 많이 길어집니다. 쓰고나니 엄청깁니다!!
이해를 해야하기때문에 일일이 설명할수밖에 없습니다. 나 컴퓨터에대해 진짜모르는데 좀 알고싶다 하는분과
저처럼 궁금한거 못참고 나름의 가성비를 원하는 분들/지금 프레임으로 고민인분들을위한 글입니다.
이외의 분들은 안보셔도 됩니다.
돈 많이쓸수있고 시간아까우신분들은 최고사양 사다가 쓰시면 됩니다. 9800X3D 5090추천
이 사양에 이렇게 셋팅하면 이정도 프레임이 나오는구나 용도임.
비슷한 사양에 비슷한 게임옵션설정 쓸 사람들 참고하라는 용도임.
이사양으로 UHD하면 쾌적하다는 뜻 아님.
해상도 5120 22160
간접그림자 계단현상방지 미사용
나머지 올최상
I5-12600K
RTX3070TI
+그림자 꺼버리면 전체적으로 30프레임 상승합니다. 많이쾌적해짐
원래 3440*1440 21:9 QHD모니터로 검사를 하다가
5120*2160 21:9 120hz 39인치 모니터를 구매했습니다
글카님께서 바쁘신관계로(풀악셀중) 녹화시 20프레임 이상 하락합니다.
영상내 프레임에 전체적으로 +20정도 하면 됩니다. 최소 20이고 25~30씩 차이나는때도 많습니다.
글카 온도는 팬속도 40%고정입니다.
원래 초보인데다 복귀라 패턴도 까먹어서 허접한점은 양해바람
아브 싱글 1관
https://youtu.be/EmEwSB2P-fg?si=VFz31TfIiCRNfW_s
아브 싱글3관 여긴 유난히 좀 높게나오는듯
https://youtu.be/TmacV1cG2Zg?si=6XWEzOKDZRNvIL3Q
가디언 소나벨
https://youtu.be/QWMtUhpFSQc?si=uwRCKnh0LQR3nKk1
카양겔 싱글 3관문
https://youtu.be/OaCJNnaIKio?si=kqd4iuECoxpWIgnj
일리아칸 싱글 1관문
https://youtu.be/SVcqMkDHIX8?si=G0HNTcfz2HzTdHaQ
상아탑 싱글 3관문
https://youtu.be/CISHKjSt5gQ?si=nSlwJP2xCASt7AfT
싱글은 거의다 녹화안하면 100~120 130 정도안에서 계속 왔다갔다 하네요
카멘 에키드나도 가게되는대로 찍어올릴게요!
카멘 싱글 3관 1~3관 거의 비슷함 녹화안할시 약 100프레임
https://youtu.be/U4I05s1gq9E?si=-R8njqrgjZ3NexqN
카던 캐릭 6개 평균 녹화안할시 100
카던영상추가 했습니다. 모든캐릭 모든레벨 다 저정도 비슷하게 나오네요 실제는 +20정도 하시면됩니다.
https://youtu.be/tz1KXiMMwVw?si=th1iBypQl9TTo_Kf
아래는 4K 3840*2160 프레임입니다. 이거도 마찬가지로 녹화안하면 +20정도로 약 120대 나옵니다.
https://youtu.be/teltzR2RomA?si=0Z4afFBZeJW6YRU2
아래에 적혀있지만, 4K프레임은 5K프레임에서 대략 20%정도 더 나온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영상도 보면 위 5K보다 약 20%정도 더나오죠.
칼리나리 1채 제련앞 사람 개많을때 55 조금 빠지면 바로 70넘어감 보통 대부분 60대에 머무름
다른마을은 더잘나옴 칼리나리가 제일 낮습니다. 스샷추가
아래 마을사진은 그림자 끈 상태입니다.
칼리나리는 4K 3840*2160
쿠르잔은 5K 5120*2160 입니다.
이외 8인레이드들 예전에 DSR 4K로 측정해놓은것들있는데 어딨는지 못찾아서요. 99% 비슷하게 나옵니다.
일일이 비교자료 만들기에 일이 너무많아서 어차피 프레임 공유목적이니 걍 글로 대체합니다
DSR과 네이티브의 비교는 아래에 나와있습니다.
8인레이드(싱글말고 파티)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제가해본 발탄 ~ 구 아브
평균 적으면 70 많으면 120 안에서 놉니다.
그 윗 레이드는 모릅니다.
카멘 검기같은건 프레임드랍이 많이 심하다고합니다. 현재 제가 확인해드릴수 없는 부분이니
카멘 검기에선 프레임 많이 내려간다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16인레이드는 갈 스펙도 실력도안되서 공유할수가 없습니다.
예상으론 로아 특성상 다인레이드에서 글카로드율을 엄청 떨구기때문에 프레임하락 크지않을듯
평균 60~100예상, 나중에 해보겠음
위의 프레임은 5K 5120*2160 해상도 기준입니다.
4K 3840*2160은 위 프레임에서 약 10~15%정도 상승합니다.
16인레이드빼고 모든 내용 일일이 확인하고 적은겁니다.
후기 - 검사를할때는 크게 그래픽체감을 못했는데 로아를 복귀해보니 그래픽 체감 개쩝니다
게임 텍스쳐의 차이인듯
로아는 QHD UHD 차이 체감이 엄청나게 되네요
UWQHD 21:9 모니터가 있어서 해봤는데 지금 모니터랑 차이 엄청납니다 체감 개쩌는점 참고하세용
근데 4K화질로 촬영해서 유튜브 올려도 화질열화가 생기네요 실제로 보는거보다 허접하게 나옵니다.
선명함이 안담기네요
--------------아래는 컴린이들 조언------------------
다른곳에 작성했던 글 공유드립니다.
해상도를 올려도될까?를 판단하려면 이렇게하면됨.
DLDSR이라고 하는 엔비디아 가상해상도 시스템을 이용하면 내가 해상도를 바꿨을때 얼마나 프레임이 나올지 알수 있습니다.
1. DSR적용시 나오는 프레임과 실제 해당 해상도의 모니터가 프레임이 같거나 거의 비슷합니다.
모두 DSR과 네이티브의 차이는 거의 없었습니다.
이번엔 기존모니터가 아직 있어서 기록을 남겼습니다. 프레임옆에 시간 있습니다.
이외 검색해보시면 알아요 대체로 DSR해상도와 네이티브 해상도의 프레임차이는 크지않음
어느쪽이 우세하든 최대 10%이내입니다.
이 글을 보고 이제는 "DSR 가상해상도로 4K 돌려보고 이정도면 할만한데?하고 바꾸지마세요 네이티브는 차원이 다릅니다."같은 말은 하지 마시고, 믿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틀린말입니다.
DSR과 찐모니터의 프레임차이는 없는수준이라는게 모든 실제 경험자들의 후기입니다.
반대되는 의견을 주장하실분은 본인이 직접 측정한 자료나 다른사람의 자료라도 올려주세요.
2.본인이 어떤프레임 정도면 충분한지 스스로 알고계셔야 합니다.
요새 뭐 360hz 모니터까지 나오던데 제 개인적인 느낌입니다.
60프레임밑으론 게임하기 짜증납니다.렉걸리고 불편하다고 느낍니다. 아니 하기싫어집니다.
60프레임밑으로만 안내려가면 최소한 열은 안받습니다.
1) 60프레임 고정해놓고 60주사율로 사용하면 약간 뻑뻑함을 느낍니다. 꽤 거슬립니다.
2) 100프레임 고정해놓고 100주사율로 사용하면 부드럽고 좋습니다.
3) 160프레임 고정 / 160주사율로 사용하면 100프레임과 비교했을때 좀 더 부드러움을 느낍니다.
4) 120프레임고정/120주사율 상태와 160고정/160주사율 상태를 프레임끄고 비교했을때
저는 구분하지 못했습니다. 여러번 시도했는데 틀렸습니다. 160인줄 알았는데 120이었습니다.
누군가는 구분한다고 합니다. 300주사율까지 부드러움을 체감한다고 판단하시는 분은 님말이 맞습니다.
고주사율 고스펙으로 가시면 되겠습니다.
개인적으로 게임 플레이시 평균 100~140프레임 정도면 '충분히 쾌적한 환경'이다 라고 생각합니다.
마을이나 사람이 많이몰리고 뗴거지로 스킬쓰고 할땐 내려갈수도 있습니다.
쾌적함에 대해선 이정도로 하죠
3.프레임방어라는 말은 쓰지않으셨으면 합니다.ㅠㅠ
본인이 얘기하는 프레임방어란 어떤 뜻인가요?
144방어라면 1%LOW프레임이 어떤 조건에서도 절대로 144밑으로 안내려가는 환경을 말하는건가요?
이렇게 방어라는 개념을 붙이기 시작하면 답안나옵니다.
온라인 RPG게임에서 방어가 되긴 되나? 애초에 온라인게임은 사람수 많아지면 프레임 떨어지기때문에..
100명 모였을 기준으로 따지실건가요? 100명기준 144가 방어된다면, 유저가 더몰려서 200명이되면 그땐 방어가 안되는겁니다. 200명도 된다면 300명때는요? 이렇게 끝없이 물고늘어질수있는 개념입니다.
쟁할때 100명 스킬난사 버텨지는 스펙인가요? 게임이 인기가늘어서 유저가많아져서 200명이 스킬난사하면요?
답 없는 개념입니다.
특히 1%LOW 프레임같은건 서버상태에따라서도 많이 오락가락합니다.
프레임 챙기다보면 그 사양에 맞는 하위프레임도 자연스레 만들어집니다. 방어라는 개념은 적어도 온라인 RPG게임에선 잊으셨음 합니다. 아래 글을 이해하다보면 왜 방어를 쫓으면 안되는지 아시게 될겁니다.
반응속도 중요한 총게임에서나 방어가 의미있고, 가능합니다. 애초에 그런게임은 수십 수백명의 사람이 동시에 모일일이 없거든요. 그러니 RPG게임하는분들은 잊으십쇼!
4.게임 프레임은 CPU와 글카 모두 영향을 미칩니다.
간단하게 CPU는 최저방어선, 글카는 고점을 결정짓는다 보시면 됩니다.
아래부턴 상황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RAM은 모두 같다는 가정입니다.
첫번째 예시- CPU 로드율 50%, 그래픽카드 로드율 70% 프레임 100, 수직동기화 풀어도 이이상 절대 안올라감.
이경우 동일한 게임내 환경(예를들어 마을)에서 그래픽카드 올려봐야 프레임 안올라갑니다.
그래픽카드 윗급으로 올리면 그래픽카드 로드율은 더내려가고, 프레임은 아주약간 상승하거나 별차이도 없습니다.
이유는 이 CPU로 굴릴수있는 그래픽카드의 한계를 넘어선 그래픽카드이기 때문입니다.
이걸 보통 흔히 병목이라고 합니다. 저는 병목이란 단어보단, CPU의 성능 한계라고 표현하겠습니다.
위에 말했듯 CPU 글카 둘다 게임 프레임에 영향을 끼치니까요.
CPU를 올리면 CPU로드율이 내려가고, 그래픽카드 로드율이 올라가며 프레임이 상승합니다.
그럼 이제 뭘해야할까요? 내 A라는 CPU로 B라는 그래픽카드 사용시 50%로드율에 프레임 100밖에 안나오는데
이게 CPU의한계에 부딪힌게 맞는지부터 확인하면 됩니다. 단순 설정문제나 부품의 고장일수도 있으니까요!!
TIP) 구글/네이버 인벤 등 여기저기 질문할때는 I5 9400 에 1080TI면 글카성능 다못뽑나요? 어떤 CPU면 다뽑을수 있을까요? 라고만 물어보시면 됩니다.
다른얘기 구구절절 해봐야 쓸데없는 참견과 조언, 지적,구매유도만 생깁니다.
인터넷은 익명이라는 단점이 있단걸 잊지마십쇼
CPU I5 9400 그래픽카드 GTX 1080TI
예전 제사양인데 어떤게임을 해도 혼자있는 화면속에서도 그래픽카드 로드율이 100%를 찍지못했습니다.
CPU의 한계로 70%정도 로드율에 머물렀었습니다. CPU바꾸고 쭉쭉올라갔습니다.
그리고 I5 12400정도면 1080TI 다뽑을겁니다. 라고 답을얻었다면, 구글이나 유튜브에 해당 사양으로 원하는 게임 프레임 쳐서 직접 알아보시면 됩니다. 혹은 제가 올린글처럼 실제 프레임 보여주면서 공유해주는 내용 보시면 됩니다.
괜히 여기저기 I5 12400에 1080TI면 배그 국민옵 쾌적할까요? 이런식으로 질문하면
익명뒤의 온갖 잘난척,아는척 장비부심 있는사람들,남의꺼 무시하기바쁜 사람들 다나옵니다. 배가 산으로갑니다.
쾌적함의 기준이 다다르고, 할만하다의 기준이 다다르기 때문입니다.
60프레임으로 게임하는데 불편함 못느낀다는 사람도 많습니다.
너무 많이 봐왔고, 겪어와서 당부드린 내용입니다. 다소 예민하다고 느끼실수있지만, 원체 이상한 조언하는 사람들을 많이봐서요. 최소한 자기가 테스트한 자료라도 보여주며 얘기해야하는데, 그냥 말로만 합니다.
3080으로는 FHD밖에 못한다고 QHD는 무리라고.
3080이면 CPU가 한계에 안부딪힌다면 QHD 배그국민옵 평균 200프레임 넘어가고 검사도 160넘어갑니다. 웬만한 온라인게임 QHD해상도에서 충분히 게임 합니다.
도대체 무리의 기준이 무엇인지 묻고싶습니다. 상황별 프레임도 같이 언급하며 조언해줘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부하가 많이걸리는곳에서 프레임이 떨어진다는 얘기라면, 동일사양기준 FHD나 QHD나 큰차이없습니다.
QHD에서 70프레임 나올거 FHD한다고 140프레임 안나옵니다. 이런 극단적인 경우는 없습니다.
FHD 100%로드율일시 FHD에서 QHD해상도로 픽셀 늘어난만큼의 60%정도비율로 프레임 떨어진다고 보시면됩니다.
이제 언제CPU를 올리고 언제 글카를 올려야할지는 이해가 되시나요?
아직 남았습니다.
예를들어보죠
두번째예시- I5 9400 CPU로드율 30% GTX 1060 글카로드율 100% 60프레임이 나옵니다.
글카 올리면 프레임 오르겠죠? 글카를 1080TI 로 바꿨습니다.
I5 9400 CPU로드율 50% GTX1080TI 로드율 75%로 100프레임이 나와버립니다.
이러면 글카 활용을 다 못하고있는게 싫어서 다시 CPU를 올려야합니다. 올려보죠
I5 12400 CPU로드율 25% GTX1080TI 로드율 100%로 130프레임이 나왔습니다.
여기서 의아한점, 과연 1080TI의 프레임한계는 130일까? CPU가 더 좋았다면 100%기준 얼마까지
프레임이 나올수있을까? 딜레마에 빠지게 됩니다. 무한반복입니다. 끝도없습니다.
다른상황 또보죠
I5 9400 1080TI로 혼자있는 사냥터에선 100%로드율 잘뽑으면서 130프레임이 나와주는데
마을에선 글카 로드율 60%되면서 60프레임밖에 안나옵니다. 실제로 이렇죠
이런경우에 마을프레임을 올리려면 처음 설명한대로 CPU를 올려야합니다.
그럼 사냥터에선 내 예상보다 많은 프레임이 나오게됩니다.(최저방어선이 높아지기때문에 평균이 상승합니다)
추가로 CPU가 좋아졌는데 글카가 노는게 보이면 또신경쓰이죠
절대로 혼자 사냥하는 사냥터와 사람이 바글바글대는 컨텐츠/마을프레임은 같을수가 없습니다.
적당한 선에서 타협해야합니다.
저같은경우 마을 사람가장많을때기준 50프레임도 괜찮습니다. 조금만 줄어들면 70 80프레임으로 올라가거든요
그럼 이 사양에 맞게 사냥터 프레임이 나와줍니다.
위에서 프레임방어라는 개념을 쫓지말라고 얘기한 이유입니다.
자동차 가격표보면 애매해서 조금더보태면,, 이거살바에 좀더보태서 이거사지 라는 생각이 들수밖에 없게끔
만들어져있죠? 컴퓨터는 더합니다. ㅋㅋ
그러니 내가 쓸수있는 돈을 딱 정하고 그 돈안에서 칼같이 맞추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실제 예시) 중고 3070TI를 왜 40만주고삼? 20~25만 더보태면 중고4070 살수있는데?
혹은 50만더쓰면 4070S 새거살수도잇는데?
발열적고 소비전력도 적은 4세대 가야지 왜 3세대를 감 호구임? 금액 조금싼거 몇년치 게임하다보면
전기세 더나오는걸로 넘어서버릴텐데?DLSS 모름? 이라는 논리가 펼쳐집니다.
금액이 50%,100% 차이라는거 잊지마세용 끝도없이 올라갑니다
5.새로 구입한다면 램(메모리카드/RAM)은 튜닝램으로 사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싸구려 젤싼거 사지마시고 같은용량이라도 튜닝램이라고 있습니다. 알아보시고 사시면됩니다.
사무용에는 안해도됩니다.
메인보드도 막사지말고 튜닝램정도는 호환되는 메인보드로 사세요. 그래야 추후에 업그레이드라도 할수있습니다.
제 경우 램 2666클럭에서 4133으로 오버클럭했습니다. 튜닝램을 안사고 직접 튜닝을한거죠
(로아 프레임은 램 증설로 오버클럭 해제한상태)
배그 검사 포르자 등등 모든게임 40프레임가량 올랐습니다.
보통 150~200프레임에서 40프레임이면 20~25%성능향상이죠?
그래픽카드 한단계 위로 올린거랑 비슷한 효과입니다.
램도 무시못합니다. 싸구려 램 사지마시고 튜닝램 사세요 XMP라고 부릅니다. 오버클럭 직접할생각 마시구요
너무 고스펙 사지도 마시구요, 국민 템들이 있습니다. 국룰 교복장비처럼 가장많이 쓰는 그런것들 찾아서
사서 꽂으시면 됩니다!
6.케이스는 최소 미들타워(사이즈)로 하세요 예전에 가장흔하게 썼던 사이즈가 미니타워인데
미들타워면 아마 처음보면 와 크다 하실겁니다. 이정도 해야합니다. 요즘 부품 워낙커지고 발열도 심합니다.
돈 4만원 더써서 미들타워 사이즈에 디자인 마음에드는걸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묻지도 따지지도 마십쇼.
미니타워에 최신cpu 꽂았는데 기본쿨러로 발열 안잡혀서 사제 꽂아야하는데 케이스 공간없어서 못꽂고
케이스바꾸는경우 많습니다. 조립업자들 이거 안내안해주는사람 많습니다. 그냥 주문한대로 끼워 보내버립니다.
7.이제 마지막입니다. 최대한 줄여보겠으니 잘 읽어보세요
글카 로드율이 놀고있다면,그 상황에서 해상도를 올려도 프레임은 크게 떨어지지 않습니다.
아마 위의 DSR로 직접 해보다보면 어? 왜이래?싶은 순간들이 있으실겁니다.
바로 마을같은곳이죠.
FHD에서 로드율 50%로 60프레임이 나왔는데, QHD로 올렸는데 로드율 80%로 60프레임이 나오네?
UWQHD(21:9)로 올렸더니 95%로드율로 60프레임이 나오네? 하시게 될겁니다.
위 내용들을 이해하셨다면 아래 스샷이 이해가 되실겁니다. 프레임과 로드율을 보세요. 같은곳에서 해상도만 바꿨습니다.
FHD > QHD > UWQHD는 로드율이 올라가며 프레임이 별 차이 없다가, 4K로 가는구간은
늘어나는 픽셀수(부하)에 비해 여유 로드율이 없기에 프레임 하락이 발생하기 시작하는걸 볼수있습니다.
맞습니다. 저 장면 저컨텐츠의 4K해상도에서 프레임을 올리고싶다면 글카를올리고
FHD QHD UWQHD에서 프레임을 올리고싶다면 CPU를 올리면됩니다.
로아도 마찬가지입니다.
위 사진들을 FHD에서부터 해상도를 올린다고 생각하면서 봐보세요.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글카 여유가있는 FHD에서 QHD는 프레임차이가 크지않지만, 글카여유가 없는 QHD에서 4K는 프레임이 뚝떨어집니다.
실제 경험담으로 I5 9400에 1080TI 쓰던 저는, FHD에서 CPU의 한계로 CPU 70% GPU 50% 배그 FHD 120프레임
QHD 동일옵션으로 CPU 70% GPU 75%로 120프레임이 나옴을 확인했습니다.
제가직접 측정한 프레임 영상중 캡쳐입니다. 배그는 100% 동일한 환경 테스트가 가능합니다.(같은상황)
배그 로아 검사 세개다 마찬가지였습니다. 해상도에 쫄지 말란 말씀 드리는겁니다.
내 사양이 뭐가됐든 마을은 당연한거고 혼자 사냥하는데 글카로드율이 5~70%면서 100프레임에 FHD다
그럼 QHD로 바꿔도 프레임차이 크게안납니다. FHD에서 CPU의한계로 프레임을 못올리는대신에 QHD에서 글카의 성능으로 프레임을 유지하는겁니다. CPU의한계로 글카의 성능은 남아있으니까 그걸 QHD 프레임 유지에 쓰는거죠
이해되셨나요? GPU 100%찍는환경에선 상위 해상도로 올리면 프레임 유의미하게 많이 떨어집니다.
+내용추가
QHD 프레임입니다.
https://youtu.be/iel4hhY3nbo?si=eq3QKU-Nwxi0Grpg
보시다시피 글카 놀죠? 2560*1440해상도입니다.
온라인게임이 이런 경향이 있긴한데, 로스트아크가 유독 심한듯합니다.
조금만 부하가 걸리면 글카로드율을 낮춰버립니다. 다른게임같으면 글카 더 갈굴상황인데도 낮춰버립니다.
이건 카던영상이지만, 8인레이드도 같습니다. 사람이 몰리거나 표현해야할 개체수가 많아지면
글카 놀아버립니다.
제 상황에서 카던 프레임을 올리려면 글카가 아닌 CPU를 올려야합니다. 일반적으로 보기엔 CPU가 과하게 좋아지는거죠.
이말은 즉, GPU보단 CPU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글카를 잘 활용하지 못하기에 글카의성능이 거의 남아있고, 이는 해상도를 올림으로 발생할 프레임하락을 일정부분 상쇄시켜준다.
=게임을 하기위한 최소한의 글카 컷이 낮아진다.
QHD 큐브도 역시 평균 120프레임, 로드율 50%대 머무릅니다.
QHD 4K하면 큰일나는줄알고 댓글에 그런사양으로 못한다고 하는글들이 많이보여서 이내용도 적었습니다.
해상도에 쫄지마시고 DSR 이용해서 테스트해보세요. 실제 모니터 바꾸면 거의 99%똑같이나옵니다.
이 말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분들을 위해서 이렇게 하나하나 다 설명드린겁니다.
제가 3070TI로 5K 모니터돌린다고 말을하면 누군가는 절대못한다고 4090은되야한다고
돈내다버리는거라고 할지 모릅니다.
여러분들은 어떤가요? 위의 5K 프레임을 보면 할만하다고 느끼시나요? 아님 돈 내다버렸다 싶을만큼 쾌적하지 못한 게임환경이라고 느껴지시나요?
전 할만하다고 느낍니다. 개인적 욕심으로 프레임 20%는 올려주고 싶을 뿐입니다.
글쓰고 사진정리하고 하는데 5시간이 넘게 걸렸네요. 컴린이분들 도움됐으면 좋겠습니다. 이해안되면 계속 다시읽어보세요!
그래도 궁금한게 생기면 댓글이나 쪽지 주시면 도와드릴게요. 이 글을 이해하셨다면 자신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적어주시겠죠?
감사합니다.
모니터는 해상도만 볼게아니고 인치도 같이봐야함
같은 해상도에서 모니터가 커지면 픽셀간 간격이 넓어져서 화질(선명도)는 떨어짐
간략하게 정리해드림
24인치 FHD = 32인치 QHD 화질(선명함)같음
27인치 FHD= 34인치 WFHD 화질(선명함)같음
34인치 UWQHD = 40인치 4K = 27인치 QHD 화질(선명함)같음
39인치 UWUHD = 32인치 4K 화질(선명함)같음
위 참고하시면됨
싸구려 24FHD랑 고급 32QHD랑은 각종 모니터 스펙에 따라 체감되는 수준이 많이다를수있습니다.
픽셀간 간격만을 얘기하는것이며 오직 인치와 해상도에 한해서만 말씀드리는거에용
24 fhd > 32 qhd를 가면 기본적으로 픽셀간 간격이 같기때문에 화질은 동일합니다. 만
모니터 상세스펙 및 인치업으로 인한 몰입도증가 등 체감적으로는 크게 향상되었다 느낄수 있습니다.
사이즈를 줄이는경우 또한 화질(ppi)가 같더라도 인치수가 줄어듦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체감이 클 수 있으니
잘 알아보시고 모니터 구매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