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저가 징징대도
얘네들은 그저 지표만 봄.
이동기 너무 불편하다 징징대던 클래스들.
카멘 출시되고 개같이 썰리고, 구직안되니 유틸 개선이 들어감.
왜냐? 그전까진 지표상에서는 생존률이 큰 문제가 안되었기 때문.
아니면 진짜 불합리하다고 생각되는 점은 개선 해줌.
WWE 들어갈만한 점은.
1. 랜덤성 보완이랍시고 내놓은 일망타진 1트포 - 효율적인 타격
아무도 효타 안쓰고 신준쓰기 때문에(이미 지표가 말해주고 있다) 다시 고쳐달라
2. 1각 못맞추면 아덴 X,
서포터의 경우 홀리나이트의 각성기는 못맞추면 아덴이 안찼음. 반면 도화가, 바드는 못 맞춰도 찼음.
결국 홀리나이트도 안맞춰도 아덴이 차도록 클래스간 차별을 제거하였음
딜러의 경우, 아덴 ON/OFF 클래스를 기준으로 (스킬 강화 자원 수급 각성기 X)
못맞춰도 아덴이 차는 클래스: 브레이커, 디스트로이어, 호크아이(?)
맞춰야만 아덴이 차는 클래스: 슬레이어, 인파이터, 스카우터, 기상술사
딜러 각성기 불균형 역시 개선 해야한다고 봄.
3. 아크패시브
전재학의 편지에서 본다고 했으니 개선점 요구해야 함.
다만, 그냥 이거 고쳐달라하면, 지들 맘에 안들다고 징징거린다라고 볼 가능성 높다고 봄.
스마게식 지표상 개선에서 더킹은 큰 문제 없는 것으로 보일 수 있음.
왜냐? 더킹 채용해서 자주 죽었나? - 현재로썬 아닐거 같음.
더킹 가동률이 너무 구지냐? - 점점 오르는 추세일 것으로 보임.
결론은 이대로 갈 가능성도 높다봄. 만약 2막에서 더킹 채용한 인파이터의 생존률 지표가 처참하다? 그럼 그때 완화때릴 수도.
현재로썬 더킹 개선점으로 요구할만한 것이
(1) 스택형 이동기 - 핸드거너 데빌헌터는 이동기 자버프달면서 스택형으로 내놓음
(2) 새로운 메커니즘으로 개편
최악은 지속시간 변경이나, 수치 딸깍임. --> 향후 밸런스 패치에서 불리 (높은 저점)
2023년 10월 - 인파이터 구조 개선으로 아이덴티티 투지발산 추가, 아이덴티티 사용 시 이동기 재사용 대기시간 초기화, 투지발산 상태에서 이동기 재사용 대기시간 절반으로 적용
2023년 11월 - 알려진 문제 수정에서 체인형 2번째 이동기도 스킬 캔슬 가능하도록
스마게는 인파이터에 이동기 메커니즘을 넣기 위한 빌드업을 진행해왔음. 이동기 메커니즘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을 것으로 보임.
근데 여기서도 문제가 있음.
4. 투지발산 상태에서 이동기 재사용 대기시간 절반 적용의 문제점
체인형 스킬로 이동기 1번 쓸 경우 재사용 대기시간이 바로 적용되지 않음.
따라서 이동기를 쓰고 아덴이 꺼질 경우 재사용 대기시간 절반 적용이 되지 않음.
이는 표기 자체가 잘못된 사기임. 개선 되어야 함
3-(1)과 4를 묶어서 개선 요구를 하면 효과 좋을 것으로 보임.
이동기 스택형이 되면 4의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이 됨.
지표상으로 더킹이 문제있다를 보여주려면
다 같이, 초기에 더킹 채용하다가 더킹 빼면 됨.
더킹 채용 비율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 문제 인지할 거임.
혹은, 더킹을 안쓰고 수치 낮은 사이드 노드에 맞춰 밸런스 조정이 되어서 깡통이 올라갈 수도 있음.
근데 다같이 이러긴 실제론 불가능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