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특신에서 특치뭉가를 연구하게 되었습니다.
특치 기준 예둔특치 입타와 , 정단특치 뭉가 사용시 어떤 경우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해 말씀드리면
입식타격가의 경우
현재 팔찌가 치명적중특옵 2개이상 보유 & 치피특옵+치피 인 경우면 예둔과 함께
기존 세팅을 그대로 쓰셔도 큰 차이는 없습니다.
뭉가의 경우 팔찌의 치적옵 & 스킬쿨증가 , 적추피등의 팔찌를 사용하는 경우 최고효율을 뽑는 세팅이 가능합니다.
( 정단 3활성이상 & 치적 중옵(4.2) + 치명스탯 100이상 팔찌 1개라도 보유시는 뭉가 사용해볼만함 )
뭉가충단 기준 팔찌 상위로 매겨지는 유효옵은
치적+치명적추 , 쿨증적추피 , 치적 이 세가지인데
쿨증 적추의 경우 최적화훈련의 선택지로 인하여 점수를 조금 주게되었습니다.
즉 , 팔찌에 따라서 선택지를 가시면 되며
난 예둔의 디버프가 싫다 , 하지만 80퍼 고정치적은 상관없다 = 뭉가정단
난 노란글씨 아니면 PTSD 온다 = 입식예둔
이렇게 정의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사실 가장 크게 연구하게 된 이유는
이 돌때문인 이유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다른돌 안깎으려 한건 아니에요...
정흡 유요일 당시에...
돈주고 깎았던 이런돌도 있었으니...
본론으로 들어가서
저같은 경우는 달인 50 , 회심 50이 있으며 치적시너지가 있는 경우 회심을 사용
치적시너지가 없는 경우 달인을 쓰는편입니다.
뭉가 기준으로 달인과 회심 비교관련 글이니 참조하시면 좋습니다.
달인이 상황에 따라 1~2스택이 까인점을 감안하면 회심과 다이나믹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으며
가지신 엘릭서 혹은 치적시너지 유무에 따라 사용하시는것이 좋습니다.
5스택 상시 기준은 달인이 소폭 우위 , 4스택 이하 되는경우는 회심이 우위에 있으므로
스택관리가 피곤하시거나 혹은 장판으로 인한 달인 스택이 까지는곳의 경우 유동적으로...
아크패시브의 경우
상황에 따라 한돌1을 예감이나 최적화훈련을 조정해서 쓰기도 하지만
저 상태로 고정하여 사용하는편입니다.
허수아비를 치는 경우라면 최적화훈련이 좋긴 하겠지만 한방을 더 강하게 하기 위해
효율이 좀 떨어지더라도 한계돌파와 예감을 사용하였습니다.
만약 레이드가 익숙해지고 장시간 지속딜이 필요하다면
충단 가속화 기준 최적화훈련의 가치는 올라갑니다.
사실 여러 테스트를 해보았지만 특치에 예둔사용하는 빌드와
정단 뭉가의 딜차이는 다이나믹하게 차이나진 않습니다.
단 , 선택의 폭이 생긴다는 정도인데
뭉가를 선택할시 최적화훈련을 사용하는 선택지가 생기며
현 시점 가속화의 효율은 스킬쿨타임 감소율이 높을수록 점점 더 상승합니다.
가속화의 경우 3레벨 기준 고정 쿨타임 3초를 가지기 때문에
실제 허수아비에서도 쉬지않고 때린다는 가정하면
죽선이 13초라는 가정을 두고 가속화 사용시에는 10초인데
만약 최적화훈련 8% 쿨을 적용한다고 하면
13-1.04 = 11.96 , 가속화 적용시 8.96의 쿨이 됩니다.
( 쿨타임 환산 대비로 죽선의 딜 상승치는 약 10퍼 정도입니다. )
즉 쿨타임 감소율이 높을수록 가속화의 효율은 증대되는건 맞으나
이 상한선의 경우 특신충단을 하면서 아덴켤때 5초간의 투지발산으로 인하여
쿨감의 마지노선 최적선은 실전기준 제 개인적인 체감으로
8작기준 약 20퍼센트가 마지노선이라고 생각합니다.
( 10작 + 최적화 2레벨시 실전성 감안하여 최적의 효율이라고 계산됨 )
5초간의 투지발산을 수동으로 종료시킬수 없기 때문입니다.
죽선의 쿨이 가속화 발동 후 인해 8초까지 내릴수 있는선이 가속화의 최대효율이라고 생각합니다.
( 수동종료가 가능하면 저 20퍼의 마지노선은 약 23~25퍼까진 가능함 )
그러나 가속화를 돌릴 틈이없이 스킬의 쿨타임이 이미 다 차있다면 가속화의 효율성은 떨어집니다.
그점은... 레이드에 따라서나 혹은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서 선택하시길...
아래는 뭉가충단 플레이영상입니다.
전 뇌빼고 할때가 많아서 항상 시정을 들고하는편입니다.
( 1파티 스펙 )
( 2파티 스펙 )
( 바드님의 보석은 8겁작이였습니다. )
결론은
1. 정단뭉가의 경우 , 쌍치피옵 혹은 쌍치피치적 특옵이 아닌 팔찌인 경우라면 고려해볼만하며
예둔이 싫다면 해볼가치는있음
또한 , 정단돌의 경우 3레벨이상 활성시 5.25퍼 이상 확보되므로 가성비 대비 괜찮다고 판단됨
2. 유각을 싸게 읽고 팔찌 혹은 돌맹이 유무에 따라 가성비 고점으로서 괜찮다.
3. 예둔입식이나 , 정단뭉가나 둘다 조건만 다를뿐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 존재한다.
예둔은 치명유무 상관없이 약 10퍼확률로 20퍼 뎀감이 적용됨
즉 치피가 200인 사람이 예둔전각기준 치적 100퍼라 가정하면
200 + 44 / 2 = 122 ,
[ 예둔의 효율은 치피200 치적 100기준 22퍼 딜증이라도 디버프로 약 20퍼 딜증인셈 ]
4. 정단뭉가의 경우 최적화훈련의 선택지가 생기며 , 쿨을 쉬지않고 굴린다는 가정 및 세팅에 따라
입식예둔에 비비거나 소폭 강할 수 있다.
( 단 , 예둔유각을 읽고 입식예둔이 회심까지 사용할 수 있는경우면 예둔입식이 강할 수 있음 )
5. 정단뭉가에 예둔을 넣고 쓰면 딜은 나락가니 저받대신 예둔 사용을 금한다.
( 에포 , 안상 등 사용을 권함 )
- P . S 정단 뭉가 효율성에 대한것만 말한것이며 , 공략이 아니니 참고용으로 봐주기실 바람... -
제가 틀리거나 부족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투지계산기 및 상세 공략은 다음에 시간날때마다 꾸준히 저장하면서 기록하면서 작성해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