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련장 업데이트 후 하루종일 수련장에 박혀서 실험하다 결과값 정리해서 알려드리러 왔습니다.
일단 실험방법은
여러가지 진화노드 + 각인 조합(최마증+정흡포함 음식x)으로 2분 DPS 를 총 10회 측정하여
기록하여 최고점 및 평균값을 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속행, 및 그저 운으로 인한 고 치명타확률 시행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기 때문에 100% 신뢰도라고 하긴 어려우나 유의미한 결과값인 것 같아 공유 드립니다.
ㅣ실험결과를 먼저 보여드리고 뒤에 실험에 사용한 기록용 표를 첨부하겠습니다ㅣ
ㅣ기록용 표에는 세부스펙및 설정이 나와있으니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ㅣ
먼저, 유물각인에서는 중 원한, 저받, 아드, 질증은 공통적으로 고정이었으며
변수는 정단 / 안상 / 돌대
엘릭서는 달인 / 회심
진화노드에서는 3번째노드인 혼신의강타/타이밍지배/파괴전차/무한한마나 가 변수였으며
2번째 노드는 부족한 치적에 따라 예감<>한돌을 분배하여 설정하였습니다.
그랬을 때 결과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상+달인 조합이 최고점 및 평균 DPS 상에서 2순위 보다 4% 가량 강력했으며
뭉가는 최고점에서 일부 힘을 발휘하나 평균DPS에서는 최하위를 기록했고
돌대달인은 평균보다 낮은 순위에 머물렀습니다.
[해석]
안상+달인
유물각인으로 안상을 가져가는것은 명실상부 고점을 보는 빌드가 맞습니다
뭉가
뭉가같은경우 크리 운빨의 요소가 너무 강력했으며 측정시간이 짧거나 1 사이클 딜을 본다면 더 고점이 높았을것입니다만, 딜구간이 길어지거나 지속딜링이 요구되는 레이드에서는 효율이 많이 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돌대
돌대의 경우 나추(8작)을 활용하여 스킬들의 고점은 안상+달인과 유사했으나, 유탄의딜량을 나추로 따라갈 수 없을뿐더러, 나추+맹공 발동후 4초내에 주력기(비밀병기. 래피드파이어. 메테오...)들을 분배해서 넣어야하는 족쇄와 함께, 이속 버프가 엇갈릴시 스킬딜 편차가 떨어지는 것이 하위권의 원인인것으로 보입니다.
정단/ 회심,달인 과 3노드(전차,무마,타이밍) 무마2레벨의 밸류
정단 트리의 경우 회심이든 달인이든 서로서로 큰편차를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실험해본결과 회심을 사용할경우 혼신의강타 1렙을찍고 전차 무마 타이밍을 1레벨을 분배시켜줘야하는데
이때 3노드의 각 밸류는 타이밍 ≥ 무마 > 전차 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달인을 사용할경우 3노드를 온전히 2레벨을 줄 수 있는데,
무마2레벨 > 타이밍2레벨 >>전차2레벨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여기서 무마2레벨이 특출나게 좋은데, 결과값을 보시면 정단달인무마의 고점과 DPS평균이 2위인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는 초각성스킬로 마나를 소모하는 래피드파이어가 들어오게 되었고, 맹공의 재사용대기시간 5%와 더불어 무마2레벨의 재사용대기시간 14% 감소효과가 시너지를 발휘하여 나온 결과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실제로, 실험시 무마2레벨일때 단심으로 받은 래피드파이어의 쿨타임은 30초입니다(도약 초각성스킬재감5기준)
여기서 궁금한점이 생겼습니다
앞 실험을 할 당시 치적반지가 없었기에 고려하지 않았으나 추후 치적반지 및 정밀팔찌를 구비하게 되었을때,
무마2레벨 빌드는 고점이 어느정도일까
그 결과는 다음과같습니다
앞선 유각실험에서 치적반지 및 정밀팔찌를 구비한 안상달인의 고점이 여전히 높았지만
평균DPS는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따라온 결과입니다.
무마2레벨은 안상달인빌드보다 래피드파이어 및 기타 주력기들을 더 많이쓰고 이로인한 비밀병기의 쿨감이 DPS 격차를 해소하게된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실전에서 안상을 꺼뜨리지않고 운용하는 핸건분이 계시다면 무조건 안상달인이 우위에 있을것입니다. 기본적인 딜량도 그렇거니와, 현재 이 실험에서 안상달인의 치적이 더 낮고 진피가 더 낮기 때문에 동일 DPS상에서 진피가 낮은 안상달인 빌드가 서폿의 진피를 먹으면 효율이 더 좋기 때문입니다.
플레이스타일에서도 차이가 좀 날것입니다.
무마2레벨의 경우 쉴새 없이 퍼붓는 좀더 바쁜 스타일이 될것이고, 안상달인은 좀더 쌔게 적게 때리는 짧은 딜타임에서 더욱 유리한 플레이가 될것입니다.
그렇지만, 유각으로 넘어가서도 정단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큰 이점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개인적으로 안상은 아드로핀과 함께 사용시나 트라이 때 유지하기 매우 부담스러운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위의 결과값으로 보아 전각일때 빌드는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맞추면 될것 같습니다
1. 치적은 달인일때 90%내외 회심일때 93%내외로 맞춘다
2. 치적을 맞춘 상태에서 무마2레벨을 채용할 수 있다면 채용
치적노드(혼강)에 1레벨을 투자해야해서 다른 노드에 1레벨 밖에 못찍는다면
그 밸류는 타이밍지배 ≥ 무한한마나 > 파괴전차
3. 무마2레벨을 찍을 수 없다면
딜밸류는 안상>정단
핸건 빌드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실험 기록한 표 첨부하고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유각실험표]
[고점실험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