앜패 아저씨입니다.
알카게에서 스트림 연구하시는분들이랑 주말에 연구해보다가
진짜 괜찮은거 같아서 알려드리려고 왔습니다.
제가 쓰는 내용은 추후 연구결과에 따라 얼마든지 수정될 수 있으며
아닌거 같다 약팔이 같으시면 안쓰셔도 됩니다.
계산과정에는 실수가 있을수도 있고
저도 스트림 빌드는 접해본적이 없어서 이해도가 부족한 편이기에
질문하시면 아는건 답변드리지만 모르는건 알려드릴 수가 없습니다.(모르는데 아는척 하면 혼선만 줄 겁니다)
알카게 분들이 댓글로 같이 의견공유해 주시면서 토론했으면 좋겠습니다.
작성자 주관이 매우매우 많습니다.
-목차-
1. 서론
2. 현재까지 연구 결과
3. 뭉가스트림
4. 고찰
----------------------------------------------------------------
1. 서론
1-1 현재 깨달음 포인트가 최대치가 아닐거라 생각합니다.
나중에 깨달음 포인트가 풀리면 메인을 다찍고 사이드노드에 투자를 할텐데 어떤 빌드를 가던
'황후의 탐욕'<-이거를 찍게 될겁니다.
황후의 기사는 좋은 카드인건 맞으나 드랍율이 7~8%정도이고
아덴이라는 특성상 내가 원하는 딜몰이구간에 확정적으로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황후의 탐욕이 분보크를 쓰는 저같은 유저들에게는 아덴수급떄문에 꺼려지기에 연구를 안했는데
이거 수치만 놓고보면 타직업대비 사이드 딜증수치도 좋은편이고 아덴수급량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탐욕은 나중에 깨달음이 풀릴수록 필연적으로 찍어야 된다는 게 가장 큰 전제입니다.
1-2 탐욕 채용시 특피백플 440은 쿨감 확보때문에 진피증 확보가 애매해집니다.
메인노드와 고렙 작열로 쿨감이 점점 늘어나면 보완이 된다고는 생각하지만
그럼에도 분보크에 비해 쿨감과 공속으로 인한 실전체감이 좀 더 크다고 생각하고
강제이동하는 백플이 이번 에기르도 그렇고 이후 레이드에 백플이 문제인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생각합니다.
뿐만 아니라 백플사용시에는 백플+@로 추가딜을 만들어야 분보크를 비롯한 다른 빌드에서 메리트가 있는데
그 메리트가 적다고 생각합니다. 딜찍일수록 딜파이 먹는게 구조적으로 불리하달까요
1-3 서폿이 갈망으로 머무는 경우가 많아 진피증을 높여도 이득볼 상황이 생긴다 봅니다.
서폿도 키우는 입장에서 서폿은 앜패를 킬 이유가 없습니다.
나중에 추가 패치로 개선되거나 향후 엔드컨텐츠에 경우에는 앜패를 키겠지만 갈망과 춤사위가
혼재될거라 생각합니다.
위 3가지 이유중 1-1번 때문에 뭉가스트림을 고려하게 된게 가장 큽니다.
2. 현재까지 연구결과
- 분보크 기준 : 치특 / 최적2 한돌1 ~ 한계돌파3 / 무마2 / 입타
메인노드 3렙과 작열보석이 늘어날수록 쿨감여유가 생겨서
최적화보다 한돌에 투자해서 진피증을 올리는게 더 강합니다.
- 엘릭서는 회심 하의는 치피고정
- 각인은 원한 저받 돌대 아드 => 영혼의 파트너 유물 읽어도 안전합니다
나머지 자리엔 질증 or 안상인데
전 블레이드 바드가 고정팟이기에 공속확보가 가능해서 질증을 쓰는데
공속체감이 심하거나 공속확보가 어렵다면 안상으로 대체하는거 추천드립니다.
(440은 풀공속으로 얻는 이득이 크다고 봐서 풀공속이 안되면 안상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조우궁이 아닌 도태가 뜰 때 각성기를 쓸 수 있어서 각성기 딜지분으로 타대는 고려에서 제외합니다.
수치는 아쉽지만 예둔까지도 쓸 수 있을거 같습니다.
3. 뭉가스트림
- 탐욕까지 찍을 수 있게 깨달음 포인트가 늘어나면 분보크 대체재로 고려가능합니다.
- 치적으로 인한 손해를 깡진피증 수치로 커버하는 빌드입니다.
- 치적 80%대이므로 엘릭서 하의는 추피를 챙기는게 조금 더 강합니다.
- 시크릿 가든 치적을 뭉가 최대치에 맞추도록 조절하고 남는 스탯은 신속에 투자합니다.
- 진피증은 뭉가로 최대치를 챙기므로 2T노드에서는 쿨감만 챙깁니다.
- 치특(신) / 끝마2최적1 or 끝마1최적2 / 무마2 / 뭉가2
- 원저돌아+질증or안상
- 엘릭서는 회심입니다 <- 아래에서 설명하겠습니다.
- 스트림은 뭉가효율을 최대로 만드는 자버프기로 사용합니다.
- 도태사용시에는 스트림을 쓰지 않습니다.
- 치적이 낮아도 회심을 쓸경우 크리가 떳을때 리턴이 상당해서 딜기댓값이 매우 높습니다.
- 달인을 채용하면 넘는 스탯만큼 신속에 배분할수 있는데 이로 인한 딜증수치는 미미합니다
-입타가 싫어서 뭉가를 찾는 분들은 달인스택도 싫어할거라 생각합니다.
- 회심이 그냥 쌥니다.
치적배분
- 시가를 뭉가 최대효율로 맞추는게 포인트입니다 : 뭉가최대치적 119.28%
아드20+시가40+시너지10+스트림 27.6 = 97.6%
119.28 - 97.6 = 21.68% (특성치적 요구치)
21.68 / 0.03579 = 605 (치명스탯 요구치)
팔찌 정밀 or 치명옵션 + 반지 상옵치적 2개 기준 3.1% 적용시 빠지는 스탯만큼 신속에 배분하면 됩니다.
스트림을 못맞추면 어떻게되냐?
119.28% - 27.6% = 91.68% => 뭉가 진피증
<시크릿가든기준>
최적2 한돌1 무마2 입타 회심 추피하의 : 677.64
끝마2 최적1 무마2 뭉가 회심 추피하의: 733
*스트림 삑날떄 : 594.81
시가기준 스트림 맞추면 입타보다 8.2%우위 / 못맞추면 14% 손해입니다.
<레인기준>
레인 뭉가치적 124.28- 스트림 27.6 = 96.68%
최적2 한돌1 무마2 입타 회심 추피하의 : 701.63
끝마2 최적1 무마2 뭉가 회심 추피하의: 733
*스트림 삑날떄 : 619.84
레인기준 스트림 맞추면 입타빌드보다 4.5%우위 못맞추면 13.2% 손해입니다.
진피증 뻥튀기로 낮은 치적을 커버하는 만큼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입니다.
고점은 확실하다고 봅니다.
4. 고찰
- 대전제는 탐욕을 찍어야할 만큼 꺠달음 포인트가 많이 풀릴때가 전제입니다.
- 이경우 분보크는 활용이 어렵습니다.
- 440과 뭉가 스트림이 주류가 될거라 생각합니다.
- 수라 브레이커 뭉가 채용후 수라결 허수 측정시 치명타 적중률이 80%를 넘는 상황을 자주봤습니다
-> 생각보다 치적80%가 감당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 노크리면 암울하지만 크리가 뜰때 딜파이를 압도적으로 먹을 수 있고
무엇보다 쿨감에서 손해보는게 없는게 장점입니다.
- 440의 경우 스택예열과 10스택 빌드 특성상 백플+@로 딜을 만들어야 이득을 보는데
쿨감요구치가 높다고 생각해서 진피증 확보가 쉽지않고
질증채용도 애매하며 필연적으로 레이드 도중 쿨누수가 생깁니다.
이게 다른 딜러보다 쿨누수가 리스크 크다고 생각하는게 루인스킬 전에 스택기 2개를 반드시 박아야하는
입장에서 주력기가 돌아도 스택기2개가 묶여서 같이 누수가 발생하는셈이라....
- 특정 체력이 되면 보스가 기믹하러 사라지는 레이드 특성상
한사이클을 강하게 하는게 실전성이 좋다고 판단했습니다.
- 이론상 스트림만 잘맞으면 압도적인 1사이클딜 + dps 우위를 보여줄거라 생각합니다(쿨감이 낮은것도 아니기에)
- 도태 사용시에는 스트림을 쓰지 않습니다.
- 뭉가스트림에서 도태카드는 치피증50%보다 최대 진피증을 위한 치적카드입니다.
- 유지시간이 6초로 늘어나서 스트림이 비는구간을 잘 커버해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깨달음 포인트 메인2렙에 탐욕 레벨이 어느정도 찍히고 시도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아직까지는 분보크 입타회심쪽이 가장강하다고 생각합니다.
작성자는 4계승 이후+ 필보물약먹으면 스트림빌드로 넘어갈거 같습니다.
필보에 필수내실을 넣는게 말이되냐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