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먹고 소화시킬겸 장문글 하나 씁니다.
칼럼이라 생각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주관적인 의견이 다분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그냥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3루인도 쓸만하다던데
3루인도 가능성잇을거같은데?
3루인은 왜 연구하기가 어려울까
우선 현 주류인 440, 분보크, 뭉트림의 뼈대인
4루인빌드의 등장배경부터 살펴보면

<<<이거의 패치 이후로 보시면 됩니다.
이 당시에 주류였던 332에서


의 입지는 굳건했으나

<<<얘가 진짜 너무 애매했습니다.
기댓값이 아쉬운 가장 큰 이유는 '치적불균형' 때문인데
포카드 패치이후 세렌보다 기댓값이 압도적으로 좋은 서브 딜링기가 생겨서
포카드를 중심으로 빌드 연구가 생깁니다.
뭉툭한가시를 채용이 고점의 기본인 지금
포카드가 치적이 120%가 되어 뭉가진피를 최대로 받는다 가정하더라도
(이떄 세렌치적은 76%) (엘릭서,장신구 엔드기준)
포카드가 세렌보다 기댓값면에서 강합니다.
즉, 심판x상황에서 포카드는 뭉가천장을 찍을만큼 치적이 초과되도(세렌에게 유리하게 세팅을 해도)
포카드가 쌥니다.
예전에야 치명은 오버치적이 되면 사라지는 스탯이라 의미가 없었지만
지금은 '뭉툭한가시'의 존재로 초과되는 치적을 진피증으로 치환하여 오버치적을 커버할 수 있고
기본적으로 포카드와 세렌은 치적트포의 존재로 치적이44%나 차이가 나기에
세렌이 포카드의 기댓값을 따라가기가 많이 버겁습니다.
2)
그럼에도 고치명 빌드의 가능성은 있습니다.
어쨌든 고치적이 될수록 뭉가 또한 천장(119.28%)이 존재하고 차이는 점점 좁혀집니다.
포카드는 기댓값이 멈추지만 세렌은 상승할 여지가 남아있습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
딜지분1등 깡딜1등 얘는 세렌이랑 치적이 똑같습니다
즉 고치명 빌드가 되면 데빌의 딜지분을 감안해서 기댓값 면에서 메리트가 생깁니다.
다만 절대 특화계수만큼은 타협하면 안됩니다.
애매하게 좋은 특화계수를 가지고 있어서 극특은 무조건 기본 전제로 깔고 가야합니다
(루인딜은 물론이거니와 루인을 통한 아덴수급량에도 연관이 있음)
이경우에 급타트포를 다뺴버리고 빠준시가나 뭐 이런쪽도 연구해본적은 있습니다만.
부족한 제 머리로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못만들어 내가지고
건드려보실분들은 건드려보셔도됩니다. (레인이 진짜 애매하더라구요)
어쨋든 극특을 기본 베이스로 깔고
치적이 올라서 데빌과 세렌의 기댓값이 올라간다는게
생각보다 큰 메리트인 이유는
데빌의 레이드당 시행횟수가 적기 때문입니다.
시가처럼 크리가 뜨건 안뜨건 무진장 많이 쓰는 스킬은
레이드가 진행됨에 따라 압도적인 시행횟수로 기댓값에 수렴하기 마련이지만
크리와 노크리의 편차가 큰 알카라는 직업(자버프가 '치피증 77.5%')은
시행횟수가 적은 한방스킬이 크리가 불안정하다는게 상당한 저고점차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컨데 한방딜러인 분망디트가 주특성이 치명인 이유는
낮은 특화 계수인것도 이유가 있겠지만
퍼스 노크리가 dps에 지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크리만큼은 유저가 무슨짓을 해도 철저한 '운'의 영역이기에
치적을 확보해서 기댓값을 높인다는 건
시행횟수가 적은 스킬에겐 상당한 이점으로 작용합니다.(로아는 유난히 치명타가 중요해요)
현재 나로크 기준으로 평균20~25회정도의 시행횟수를 보이는데
스펙이 오를수록, 숙련이 될수록, 아브라는 레이드의 철이 지날수록
결국 딜찍이 되어버리고
데빌의 시행횟수는 레이드가 나온 첫주 이후로 계속 줄어들겁니다.
3)
자 그럼 3루인을 한다고 가정을 해보면
레인,시가는 무조건적으로 고정이고
일반적인 기댓값이 높은, 심판에서의 초기화로 추가 딜증을 노리는 포카드
vs
심판에서의 역할이라 그러면 역시나 할말 많은, 치적올리면 데빌 기댓값도 올릴수 있는 세렌
둘중의 1개를 선택하게 될텐데요
심판에서의 시뮬레이션 2개만 돌려보겠습니다.
1. 포카드만 채용
- 포카드의 쿨초 기댓값은 총2회. 즉 레시포포가 평균치임.
- 신속-강화-풀하 포카드의 기댓값 2회는 꿰뚫-일격-연속 세렌의 기댓값보다 낮다
- 즉 심판에서의 세렌보다 강하려면 쿨초에 심하게 의존한다
2. 세렌만 채용
- 심판 시간이 6초인 지금 레시세만 하고 끝내기엔 심판의 남는 시간의 의미가 사라진다.
- 심판이 없는 일반 사이클에서 쿨타임 상 레인-시가-세렌-시가 순으로 박을텐데
치적 문제로 기댓값이 포카드 보다 낮다
즉, 심판에서의 문제로 인해 4루인이 3루인보다 유리한 상황이 생깁니다.
거의 3루인 빌드 등장의 억제기가 심판이라고 보셔도 될정도입니다
다들 도태 확률만 10%정도로 기억하는데
도태 만큼 많이 뽑히는게 '심판'이고
가뜩이나 지속시간을 6초로 변경한 지금 상황에서
4루인을 3루인으로 내린다는건 상당한 딜로스라고 생각이 되네요.
데빌이 겁나 쌔니까
세렌,포카드 딜지분이 낮은거지
총딜량에는 확실히 기여합니다.
아드로핀을 통한 딜압축이나 심판의 확률을 생각해보면 심판의 가치를 저평가하는건 위험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루인1개를 빼면 나머지 한자리를 채워야 하는데 이게 너~~~무 애매합니다.
루인기1개를 뺄만큼 메리트 있는 대체재가 없습니다.
이론상 치피증은 리턴을 쓰지 않고 운부를 써도 1치피증 2루인이 가능하기에
고점을 추구하고 연구하는 입장에서는 리턴을 쓸 이유가 전혀 없구요
(리턴 채용시 사전작업의추가+2스택을 대체할 추가 스킬1칸이 필요해짐)
(다만 리턴을 쓰면 상시치피증이 되기에 데빌의 악눈연구 가능성이 생기기는 하다만
모순되게도 루인기가 줄어들었기에 눈속임을 터트리기 어려워짐)
아덴수급 혹은 서브딜링기의 역할을 충족해야하는 스킬1개가 추가되어야
대체재라 볼 수 있는데
포카드or세렌보다 아덴수급 또는 딜적인 면에서 우위를 보이는 스킬이 마땅히 없습니다.
세렌?
딜지분낮죠, 가동률낮죠, 일반사이클에 쓰기엔 너무 아쉽죠
근데 이거뺴고 쓸게없어요. 이게 문제에요.
얘만큼 연속된어둠+심판때 아덴수급해주는 스킬이 있는가?
얘만큼 심판때 서브딜이 가능한 스킬이 있는가?
카운터되는가?
그래서 결국 찾으려면 (루인기가 아니라면) 일반or스택트 스킬중에서 선택을 해야하는 입장인데
탐욕의 존재로 아덴수급을 일반스킬로 해결하면 태클이 걸립니다.
깨달음 포인트야 얼마나 될지 모르겠으니까 더 말은 안하겠지만
이보크를 이미 저격하는 노드가 존재하는데 여기서 추가로 아덴수급이 가능한or서브딜이 가능한
일반스킬의 추가는 너무 리스크가 큽니다.
아 그리고 쇄도는
퀵드로라서 탐욕의 영향을 안받습니다만
확률성이기도하고 포카드or세렌만큼의 심판밸류를 채워줄 수가 없기에
4루인 고정에 추가되는 식으로 연구될수는 있으나
4루인을 3루인으로 바꾸면서 채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봅니다
결국을 아덴수급스킬이고 아덴을 많이 뽑으면 심판도 많이뽑힐거라
카드뽑기는 좋은데 뽑은 카드활용에서 구멍이 생긴달까요
요약하면
1. 3루인이 연구되기 어려운건 결국에 심판의 가치 또한 지금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
- 도태만큼 심판도 확률이 높습니다.
2. 4루인에서 3루인으로 바꾸면서까지 이득을 볼 밸류 좋은 스킬이 '없다'
- 작성자 생각에 없다는거지 추후 연구를 통해 발견될수도 있습니다.
=> 4루인 심판의 가치를 넘을 정도로 좋은게 있다면
3루인도 가능성이 있다는 소리기에
루인1개를 뺀만큼 대체재를 얼마나 맛있게 커버할 수 있을지
연구 많이 부탁드립니다.
4)
새로운 빌드를 만들려고 할때
치적불균형 또한 발목을 잡습니다.
즉, 세렌,데빌 / 레인,시가,포카드
이거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빌드의 등장 혹은 운영이 해결책으로 발견되어야 합니다
데빌이 딜지분이 아무리 높다 한들
레인+시가 만큼은 되지 않아서
데빌보다 중요한건 레인+시가를 사용하는 일반사이클에서의 기댓값입니다.
데빌 몰빵빌드를 만들더라도 절대로 레인,시가가 손해보는 선에서는 만들면 안된다는 거죠
(이 떄문에 극특을 벗어나서는 안됨)
새로운 빌드의 등장 혹은 대체는
더 좋은게 있으면 대체를 하는것이지 억지로 집어넣다보면
쓰쓰쓰(쓰레기를 쓰기 위해 쓰는 것은 쓰레기가 됨)가 될 가능성이 생깁니다.
즉, 새로운 빌드가
분보크보다썐가?
뭉트림보다썐가?
440보다 썐가?
...를 따져봐야됩니다. 잔인하네요
적어도 저 빌드가 가지지 못한 특출난 장점을 하나쯤은 챙겨야 됩니다.
전시행정님 계산기로 요새 뽕을 뽑고 있습니다.
위 이미지는 분보크와 뭉트림의
- 2치피증4루인(2사이클:레시포시) 사이클 dps값
- 심판에서의 기댓값
- 데빌의 기댓값
- 도태쓸때 데빌의 기댓값
4가지를 기준으로 정리한건데
제가 다른 빌드를 시도해보려할떄 (ex.악눈빌드, 3루인빌드, 440 개선안 연구 등등)
가장 많이 비교해보는 지표입니다.
결국 기존에 있는거보다 쌔야 메리트라서
딜적으로 우수하든, 아덴수급으로 우수하든, 구조적으로 우수하든 뭐하나 특출난 장점이 없으면
주류가 되지 못하기에 단점이 명확해도 강점이 뚜렷한 빌드가 살아남는다 생각합니다.
알카라는 직업이 너무 고여있어서 연구해서 나올건 다나온거 같으면서도
계속 찾다보면 뭐가하나씩 튀어나오는 미친직업이라...
헛소리라도 좋고 뭐하나 얻어걸리면 좋겠다는 식이라도 좋으니
연구하시는 분들 포기말고 정진하시길 응원합니다(황제도 화이팅이에요)
그리고
현재 연구가치가 있다 느끼는건

<<<결국 이놈인데
악눈이든
도태몰빵데빌이든
고치명데빌이든
어떤 방향으로든 다양하게 실험할게 많습니다.
빠준시가도 있고 탐욕에 운부퀵드연공도있고,눈속임도 있고....가능성은 진짜 무한한 직업이라 보시면 됩니다.
빌드가 익숙하더라도
막말로 고치명 루인기들은 심판으로 따로 굴리고
치명 낮은 세렌,데빌만 도태로 묶어굴리는 등
운영만으로도 새로운 기댓값을 뽑힐 수 있는 여지가 있다보니....
빌드연구 포기마시길...집단지성도 있습니다.
440도 누가 좀 해줬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