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치달인 기준 %값입니다.
- 특치달인 대비 나머지 빌드(노아드, 회심)는 스트림x상황에서 저점이 낮습니다.
- 도태사용시 리턴은 노아드회심이 가장 강합니다.
특치회심: 저점이 달인대비 소폭낮음, 도태, 스트림시 리턴이 준수함. 데빌과 세렌은 치적감소로 손해
노아드 달인/회심: 회심이 좀 더 극단적임. 도태, 치적시너지, 스트림에서 리턴이 상당히 높고
치적이 부재시 저점이 매우 낮음.
데빌과 세렌은 치적감소로 손해가 큰편(도태x 스트림0상황)
1.'나로크 기준' 스트림100%로 가정하였습니다.- 스트림 100%가 안되는 상황은
1) 보스패턴에 따라 스트림이 삑나는경우(순간이동 or 점프 or 기믹전 뎀감)
2) 도태로 3루인박고 마지막 엣지엣지-루인은 도태도, 스트림도 받지 않음
(높은 확률로 시크릿가든이 이에 해당)
3) 심판 사용후 잔여 쿨초 포카드 사용할때 자버프는 유지되나(운부 갱신을 했다면)
스트림 치적이 빠질 수 있음(엣지밤 미채용시 카증대비 지속시간이 약 0.5초 더 짧음)
4) 이 밖에도 다양한 상황이 있습니다.(설치기다 보니 적중리스크가 많습니다)
2. 주황색 상자는 도태데미지 가중치 0.1 / 스트림100% 가중치 0.9로 계산한것 - 도태사용시 데빌과 레인에 최우선되며 포카드까지 도태를 의도하지는 않고,
도태안에 2~3루인만 가능하기에
도태에게 유리한 가정입니다.
(실제로는 데빌도태-레인만 박고 보스가 움직일 수도 있고. 최대가 3루인이라 2루인만 도태 묻는상황도나옵니다)
(도태 +심판이 자주 뜬다면 도태 가중치가 더 올라갈수도 있습니다)
- 도태확률이 10%임을 가정했기에 도태가 더 잘뜨거나 더 안뜨면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도태가 뜨더라도 데빌 사용전인지 사용직후인지에 따라 아덴킵을 하면서 오는 손해도 고려해야하며,
이부분에 대한 손실은 수치로 계산이 난해해서 제외합니다)
3. 손미터기 자료이며 해당 유저의 레이드1판의 데이터이므로 모든 상황에 통용된다고 볼 수 없습니다.
- 적어도 해당 레이드1판 기준으로 어떤 세팅을 했을때 결과가 가장 좋을지에 대해 고려해볼 가치는 잇습니다.
- 해당 아덴, 스킬 사용횟수로 근거하면 '극특치회심' 사용시 더 좋은 결과가 나왓을 수도 있겠네요
- 어디까지나 이론상, 수치상의 추정값이며 경향파악으로만 참고하시면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노아드가 나쁘다 x
노아드는 고점이 높고 저점이낮다 ㅇ
나쁜 빌드라 생각하지는 않고 도태 데빌로 커버칠수있는 영역이 분명 있는게 맞아서
도태가 많이 뜨는 판에서 가장 좋은 빌드인건 맞습니다.
스트림안에서의 심판도 데빌,세렌제외하면 레시포 리턴이 더 큽니다.(포카드 쿨초고려)
아드대비 가성비 유각이라는 점은 다루지 않겠습니다.
과도기적인 부분에서의 강점인거고 어차피 극엔드로 가면 모든 유각을 읽을것이라 생각합니다.
갠적으로는 전체적으로 볼떄
생각보다 극특치회심에 메리트가 있다고 느껴서(원래는 극특치 달인사용중)
극특치회심쪽을 한번 써볼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전원래 성능충, 고점충, 금손호소인 인지라
머리가 깨져도 가장 고점이면 그걸 쫓아갔는데
알카의 고점은 결국 카드(특히 도태)를 빼고는 설명할수가없고
카드로 인한 고점은 내가 제어할 수 없다는 생각이 있다보니
보수적으로 기댓값이 높은빌드를 선호한다는 점 감안하시기바랍니다.
제말이 무조건 정답도아니고
치적보유 상황에 따라 어떤 유저는 표의 수치보다 저점이 더 보완되고 고점만 먹는게 가능할 여지가 있어서
제일 당부드리고 싶은건
무슨 빌드(440, 분보크 포함)를 쓰시든 간에 장단점 파악하셔서
단점이 감당 가능한지, 장점 활용이 가능한 지를 따지시고 납득이 되시면 그거 쓰시면 됩니다.
빌드가 많아지는 건 무조건적으로 좋다고 생각합니다.
갠적인 바램으론 대세 빌드 1개로 굳혀지기보다
선택지가 좀 많아졌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