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꽤나 오랜 시간동안 이 빌드 저 빌드 바꿔가면서 테스트 해보고 (실링 엄청깨짐ㅋㅋ;;)
가장 느낌이 좋았던 빌드 두개의 영상을 분석해본 결과가 나와서 알려드립니다.
분석한 영상은 제가 직접 플레이하면서 촬영한 영상이며 빌드별 1개씩만 분석한거라
해당 회차 레이드를 진행하는 동안 생기는 패턴과 어그로 차이
+개인의 컨디션이슈 혹은 빌드의 숙련도 차이 등등의 변수가 존재합니다.
그러나 그런 차이에 대한 보정값을 제 임의로 주는 것도 애매하기에
변수에 대한 보정은 제외하고 영상에서 나온 스킬의 사용 횟수 대로만 통계를 내었습니다.
그리하여 참고하시는 분들께서는 영상을 직접 보시고
어떠한 변수 생겼으며 그게 어떤 영향을 주었을지,
만약 본인이라면 그 변수를 어떻게 대처했을 것이며 그랬을 경우 어떠한 변화가 있었을지 등등은
개인적으로 감안하시어 결과값을 재판단 해주시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먼저 아래에 빌드분석에 참고한 영상 2개 올려드립니다.
극치 천해혹 + 금주2 끝마1
이어서
극치 종인혹 + 금주2 한돌1
-----------------------------------------------------------------------------------------------------------------------
본론1
먼저 분석한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영상 0.25배속으로 보면서 스킬 썼던 시간을 직접 하나씩... 기입 했습니다...
이렇게 스킬을 총 몇번썼는지 알아낸 다음에,
(좌측이 한돌1을 준 종말인페의 스킬 1회 기대값 / 우측이 끝마1을 준 천벌해일의 스킬 1회 기대값)
로스트빌드에서 같은시너지 (피증 + 치적)를 주고,
같은 서포터의 버프를 받는 기준으로 스킬별 데미지 기대값을 적용시켰습니다.
영상에서 실제로 뜬 데미지가 몇인지까지 기입했다면 정말 좋았을텐데
그건 눈이 아파서 못하겠더라구요... 그래서 로빌기준 기대값을 일괄적으로 적용시켰습니다.
*딜지분 %에 대한 부분은 중독,출혈,초각성데미지,각성기데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스킬들의 딜비중 값입니다.
-----------------------------------------------------------------------------------------------------------------------
본론2
이렇게 레이드별로 스킬을 몇번 썼고,
그렇게 쓴 스킬들의 딜 기대값을 뽑아냈죠.
그러나 두 영상의 클리어 타임이 다릅니다.
클리어타임을 광폭시간 기준으로 파악해보면
종말은 모르둠 3분 40초 컷 / 0줄 1분 11초 컷 이고,
천벌은 모르둠 2분 45초 컷 / 0줄 0분 58초 컷 으로,
종말을 썼던 때에 여러가지 차이로 (공대의 실력 또는 스펙 차이 등등) 더 빨리 클리어가 됬네요.
그래서 종말 빌드의 클리어 타임을 기준으로 하여
위와 같이 천벌 빌드에서 타임오버된 스킬은 횟수에서 제외시켜
동일 시간대비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보는 방식입니다.
-----------------------------------------------------------------------------------------------------------------------
본론3
동시간대로 비교해보면 끝마1을 준 천벌혹부 빌드가
리버스,리액트 사용 횟수가 조금 더 많네요, 러닝은 1회 더 썼구요.
근데 블레,아애,해일,혹부는 오히려 사용 횟수가 내려갔고
천벌은 종말과 비교 할만한 값을 내주지는 못했습니다.
그렇게 종말인페 한돌의 3808억의 기대값에 비해
천벌해일 끝마는 3496억으로써 약 8.9% 정도 약하게 나왔네요.
이게 끝마를 줬고 모션이 가벼운 천벌과 해일을 준 만큼
사용횟수가 확실히 더 많은 결과값이 나와줘야 비교할때 모양새가 더 이쁠텐데
오히려 반대의 결과가 나와서 플레이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나 싶기도 하네요.
근데 그걸 빼고 그냥 68초를 더 쓴 값과 비교해봐도
가벼운 스킬을 채용한 뒤 쿨감을 땡기는게 막상 제값을 하진 못한다고 생각되네요.
해당 결과의 원인은 아래와 같이 추측됩니다.
1. 천벌해일 빌드에서 단심효과를 잘 못받았다.
: 해일을 쓰다보니까 아애해일로 단심을 쓰게 될 텐데,
만약 이걸 딱 붙어서 때릴 경우 아애가 히트되기 전에 해일이 먼저 풀히트되어 단심이 켜지질 않습니다...
반면에 인페는 즉발로 켜지지는 않지만 장판딜로 인하여 천천히+거의 확정수준으로 단심이 켜지는데
그렇게 단심이 천천히 켜진 뒤 이어지는 모든 스킬에 단심쿨감이 적용되기에
단심 활용도에서 차이가 났을 경우도 있지 않나 추측됩니다.
*해일 빌드에서 단심 쓸꺼면 사이클을 바꿔야 할듯 하네요.
2. 해일천벌의 시전시간이 '생각보다' 길다.
: 즉발로 쓰자고 해일과 천벌을 채용한건데
끝마를 주고 천벌해일을 썼을때 vs 끝마를 안주고 종말인페를 썼을때
두개를 비교해서 막상 시전시간에 큰 차이는 안나고
결국 전자가 땡긴 쿨감만큼을 소화 할 정도로 더 빠른건 아닌건가 싶습니다.
3. 쿨감의 기대값이 실전에선 크지 않다.
: 어차피 랜덤패턴 랜덤어그로 게임에서
최소한의 피할건 피해야하고 때릴 수 있을때 때리는건데
강제적인 딜로스가 나는 패턴이 많아서 쿨감을 다 소화할 수 없는건가 싶기도 하구요.
4. 작성자가 쿨감 활용을 잘 못한다.
: 더 빠듯하게 잘굴려야 했는데 반응속도가 느려서 잘 못굴렸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 경우는 그냥 저한테 고쿨감은 안맞는거겠네요.
5. 패턴 차이가 심하거나 컨디션 이슈가 있었다.
: 천해혹 빌드를 테스트할때 패턴이나 개인 컨디션이 하필 안좋은 판이였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결론
최근 몇주간 종말 안쓰는 극치천해,치신반반 빌드 해보다가
다시 종말쓰자니까 역체감이 확 들면서 답답해서 쓰기 싫어졌는데
이렇게 비교해보니까 일단 저는 다시 종말 써야겠네요...
원인이 저 개인에게 있건 or 빌드에 있건 간에 고쿨감은 저한텐 안맞나 봅니다ㅠㅠ
처음에 말씀드렸듯이 해당 결과값은
각자의 플레이에 알맞게 재해석 하시는걸 추천드리며
만약 여러분들도 기회되시면 한번 직접 비교해보시는게 좋을 듯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