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화가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정보] # 극신 도화가 서폿 가이드 #

Avenus
댓글: 31 개
조회: 7127
추천: 43
2022-01-14 00:48:42

🖌️ 극신 도화가 가이드 🖌️ (2022-01-13 기준)

# 서론 #

군단장, 가디언을 다 돌아보고 깨달은 점 등을 바탕으로 연구를 끝냈습니다.
최종적인 결론은..

극신 도화가는 
본인이 편의성을 챙기면, 서폿으로서 밥값을 못한다

위와 같은 결론이 나오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그냥 서폿으로서의 능력이 홀나, 바드보다 부족해요.
따라서 글쓴이는 동글 방울도 포기하고, 낙인 스킬도 1개만 넣은 상태로 최대한 서폿팅 능력을 끌어올리는것만이 현재로썬 답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1. 직각(만개) 효과에 달린 광역 힐에 특화 수치가 적용이 안된다는 점
2. 스킬 쿨들이 매우 길다는 점
2가지 이유로 극신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은 이미 정리된 상태이고, 그렇다면 비교해야할 서폿군은 2가지이죠.

바로 홀나 or 극신 바드입니다. 물론 대충 보면 비슷한 느낌이 나긴해요.
문제는 힐 구슬이 딜러들이 직접 먹어야하는 상당히 수동적인 메커니즘이기 때문에
딜러 입장에서 상당히 귀찮아하고 번거로워 합니다. 

버프 or 쉴드는 홀나, 극신 바드와 비슷한데 힐을 받는 과정이 더 번거롭고 귀찮은 존재
가 바로 현재 극신 도화가 서폿의 현실적인 위치입니다.

그럼 서폿으로서 밥값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전 아래와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스킬트리를 여유롭게 가져가면 안된다 + 고렙 홍염이 필요하다 + 레이드마다 스킬트리 및 택틱 최적화해야한다'


먼저 극신 입장에서의 도화가 스킬들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아덴수급량 출처 : https://www.inven.co.kr/board/lostark/5861/1490?name=subjcont&keyword=%EC%95%84%EB%8D%B4%20%EC%88%98%EA%B8%89

무력화 수치 출처 : https://www.inven.co.kr/board/lostark/5861/1490?name=subjcont&keyword=%EC%95%84%EB%8D%B4%20%EC%88%98%EA%B8%89

# 스킬 설명 #
쿨감 트포, 아덴 수급 트포 LV 5 기준
각성기, 필수 스킬인 해우물, 해그리기 설명 제외
카던용 스킬이자 아덴 수급량도 메리트가 없는 먹오름, 달그리기, 두루미 나래 설명 제외
----------------------------------------------------------------------------------------------------------------------------------
낙인 스킬

 필법 : 먹물세례 (쿨 8초, 아덴 획득량 dps 25.96 , 1회 무력화 29 )


특이사항 : 동글 방울, 먹물 낙인 (6초), 2회 스택 가능

 묵법 : 호접몽 (쿨 16초, 아덴 획득량 dps 26.65, 1회 무력화 30)

특이사항 : 동글 방울, 먹물 낙인 (10초), 유도 기능

먹물세례와 호접몽은 매우 비슷한 스킬입니다. 먹물세례 VS 호접몽의 상대적인 장단점 비교입니다.
먹물세례의 장단점 - 동글 방울 가동률 높음, 순간 및 누적 무력화 높음, 쿨이 짧아 빗나갔을때 리스크 적음
호접몽의 장단점    - 유도기능이 매우매우 편함, 보스 등장 및 무적 시간동안 미리 날려두는 것도 가능

결론 : 서로 장단점과 특색이 다르므로 취향따라 고르면 됨.

 묵법 : 난치기 (쿨 24초, 아덴 획득량 dps 28.97, 1회 무력화 30, 부파 1렙 x 1 )

특이사항 : 공속버프 (최대 6초), 먹물 낙인 (최소 12초 ~ 최대 18초), 낙인 스킬로서 찍으면 쿨 24초 고정

난치기는 먹물세례 + 호접몽과 비교해야 합니다.
난치기 VS 먹물세례 or 호접몽 구도는 2가지 점을 봐야합니다.
첫째는 동글 방울을 포기하냐 안하냐의 차이입니다.
난치기를 채용한다는 것은 본인의 생존력을 감소시키고 아군에게 공속 버프를 주는 것입니다.

둘째는 낙인 관리 리스크입니다.
쿨이 길어 빗나갔을 때의 리스크가 상당하지만 
신속 1800, 10렙 홍염기준 난치기의 쿨타임은 11.77초로 무조건 낙인 상시유지가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10렙 홍염, 신속 1800이 필수인가요?? 아닙니다. 
난치기 장판위에 보스가 1~2초만 머물러도 신속 1800, 10렙 홍염이라는 고스펙은 필요없습니다. 
고스펙이 될수록 리스크가 감소하는 정도에 불가합니다.

최종적으로 정리하자면 난치기는 본인의 생존력을 포기하고 서포팅 능력을 올리며, 
빗나갔을때의 리스크가 상당한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스킬입니다.
따라서 글쓴이는 낙인 스킬은 무조건 난치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물론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인것 압니다. 하지만 현재 도화가가 로우리스크 로우리턴으로 운영하기에는 
너무 성능이 구져요. 동글 방울 포기하고 아군 공속버프 더 많이 뿌려줘야지만 서폿으로서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필수 채용 아덴 수급 스킬

 필법 : 콩콩이 (쿨 16초, 아덴 획득량 dps 63.58, 1회 무력화 29)

특이사항 : 이동기, 쉴드기, 아덴 수급 dps 1위
바드의 윈뮤와 같은 포지션인 스킬, 윈뮤와 동일하게
아덴 수급이 뛰어나므로 무조건 보스한테 맞춰야하며 겸사겸사 근딜 쉴드넣는다는 마인드로 사용
그외 기믹 수행 과정에도 쉴드용으로 사용

현재 도화가 성능상 무조건 채용해야 함.
아무리 피면, 자기 쉴드가 없더라도 이거 채용안하면 너무 성능 구립니다.
바드가 윈뮤 빼겠다는 말하고 같습니다.
사용하기 불편하다고 빼면 아덴 수급 포기하는거고 그럼 서폿으로서 경쟁력 0입니다.

 묵법 : 환영의 문 (쿨 40초, 아덴 획득량 dps 50)

특이사항 : 정화, 텔포(벽 통과 X), 10초 유지

콩콩이와 마찬가지로 아덴 수급량이 매우 높기 때문이 필수 채용 스킬입니다.
ㅈㄴ 계륵인 스킬이 맞습니다, 하지만 아덴 수급량이 이미 높게 설정된걸 어쩌겠습니까
현재로써 도화가 서폿이 경쟁력을 가지려면 환영의 문을 빼는 트리를 연구하는게 아니라
환영의 문을 어떻게 활용해야할지를 생각해야합니다. 절대 못 빼는 스킬입니다.
----------------------------------------------------------------------------------------------------------------------------------
선택 채용 아덴 수급 스킬

 묵법 : 범가르기 (쿨 19초, 아덴 획득량 dps 41.45, 1회 무력화 57, 부파 1렙 x 2 ) 공동 1순위

특이사항 : 높은 무력화, 부파 1렙 x 2, 초원거리 즉발 스킬

 묵법 : 옹달샘 (쿨 24초, 아덴 획득량 dps 42.77, 1회 무력화 43, 부위파괴 1렙 x 1 ) 공동 1순위
# 아덴 획득량 트포를 포기할시 무력화 57로 증가하나 그거 찍는순간 묵법 : 범가르기보다 메리트가 하나도 없음.

# 특이사항 : 준수한 무력화, 초원거리 즉발스킬, 한획긋기보다 조금 높은 아덴 수급

선택 채용 아덴 수급 스킬은 범가르기 VS 옹달샘 구도라고 보면 됩니다.
언뜻보기에는 당연히 범가르기가 더 좋아보이는데 왜 경쟁 구도이냐? 극신 도화가이기 때문입니다.
극신 + 고렙 홍염으로 갈수록 스킬쿨이 조금씩 놀수 밖에 없습니다.
범가르기가 옹달샘보다 쿨이 5초나 짧기 때문에 스킬 쿨이 놀면서 손해를 보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글쓴이 본인은 아덴 수급 진짜 쪼끔 손해보더라도 옹달샘으로 쿨타임 조금 넉넉하게 가져가는게 맞다고 봅니다.
부파 부족한건?? 로아 레이드에서 부파 기믹은 파폭 안 아끼면 충분합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두 스킬 다 장단점이 명확하기에 취향따라 들면 됩니다.

 필법 : 한획긋기 (쿨 25초, 아덴 획득량 dps 39.46, 1회 무력화 58)  메리트 없음
# 한획긋기 - 연속 긋기 기준임, 도화지 생성 트포는 실용성이 떨어지므로 제외하고 수치 작성함.

특이사항 : 높은 무력화, 초원거리 스킬
한획긋기 멋있기는 하지만 범가르기, 옹달샘에 비해 무력화가 아주 조금 높다는 것 외에 장점이 하나도 없음
현실적으로 필수 버프 스킬 2가지 + 낙인 스킬 1가지 + 필수 아덴 수급 스킬 2가지를 넣고나면 3자리가 남는데
그 3자리에 범가르기, 옹달샘, 한획긋기를 전부 다 넣을 사람은 없을거라고 봅니다.

----------------------------------------------------------------------------------------------------------------------------------

그외 선택 채용 유틸 스킬

 필법 : 흩뿌리기 (쿨 14초, 아덴 획득량 dps 29.63, 1회 무력화 58)

특이사항 : 높은 누적 무력화, 원거리 or 근거리 부채꼴 쉴드
1회 무력화 수치는 범가르기, 옹달샘과 거의 같으므로 사실상 채용한다면 여분의 쉴드 스킬 용도입니다.

 묵법 : 미리내 (쿨 24초, 아덴 획득량 dps 30.15, 1회 무력화 21)

특이사항 : 피면 스킬, 매우 낮은 무력화, 슈퍼 세이브 스킬이므로 사실상 아덴 획득량 무의미
사실상 채용한다면 슈퍼세이브 스킬 용도밖에 없음, 레이드마다 필요에 의해 들면됩니다.
상시 채용하기에는 활용도가 낮은 스킬이므로 선택적으로 채용해야함.
활용도가 높은 컨텐츠
1. 아르고스 1넴 (작은 장판)
2. 발탄 2넴 (16줄 연환파신권)
3. 비아키스 1넴(하드), 3넴 (1넴 벨가패턴 실패, 3넴 아재패턴 실패)
4. 아브렐 4넴, 6넴 (피면 스킬 활용도가 높은 컨텐츠)

 필법 : 올려치기 (쿨 16초, 아덴 획득량 dps 38.88, 1회 무력화 41)

특이사항 : 준수한 무력화, 카운터 스킬이므로 사실상 아덴 획득량 무의미

# 중요 #
서폿 = 카운터 필수? 맞음. 그런 유틸적 기능을 담당하는게 서폿입니다.
모든 레이드에서 서폿이 카운터를 드는게 합리적이긴 합니다.
하지만, 현재 도화가의 아덴 수급 + 무력화 성능이 너무 처참해서 카운터 스킬 뺄수 있는 레이드라면 
무조건 빼는게 맞습니다. 카운터를 빼도 되는 레이드는 8인 레이드 + 카운터 기믹이 많이 없는 곳들입니다.
카운터 활용도가 낮은 컨텐츠
1. 아르고스
2. 발탄 1넴
3. 비아키스 1넴, 2넴, 3넴
4. 아브렐 2넴, 4넴

제발 이 레이드들 외에 가디언 토벌이나 군단장 레이드 등등 
카운터 활용도가 높은 컨텐츠에선 무조건 들길 바랍니다.
이 글은 도화가는 카운터 안 들어도 돼요! 하는게 아니라 지금 도화가 서폿 아덴 수급 + 무력화 성능이 
너무 별로니 카운터 활용도가 낮은 컨텐츠에선 최대한 다른 스킬을 활용해야한다는 걸 강조하는 거임.

-------------------------------------------------------------------------------------------------------------------------
# 카운터 활용도가 낮은 컨텐츠 제외하곤 는 필수 채용입니다.
# 슈퍼세이브 활용도가 높은 컨텐츠에선  충분히 사용할만 합니다. 
아브 4,6관은 피면기로써 솔직히 필수고요.

# 극신 도화가 스킬 세팅 #
필수 채용 : 
 중 선택 1~2개
 중 선택 1~2개

그외 는 경우에 따라 채용해야함.

# 글쓴이가 생각하는 최종적인 스킬 세팅 #

1. (카운터 ver.)


2. (카운터 + 슈퍼세이브 ver.)


3. (카운터 X ver.)
  택 1
 = 쉴드 스킬,  = 여분의 무력 + 아덴 수급,  = 슈퍼 세이브

----------------------------------------------------------------------------------------------------------------------------------
# 환영의 문 활용 택틱 #
환영의 문 10렙 트포는 99%의 경우 공간 중첩 찍어야합니다.
강인함 부여는 본인의 나큰딜이 디붕이일때만 고려해주세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환영의 문 2스택 트포를 찍으면 스킬을 계속 아덴 수급용으로 굴려주면서
필요할때 여분의 스택을 정화용으로도 사용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사용가능한 택틱에는 뭐가 있는지 알아보죠.

1. 보스의 무빙으로 인해 백헤드 딜러들의 딜각이 망가졌을 때
2. 보스의 공격을 피하느라 딜러들의 딜각이 망가졌을 때
3. 특정 기믹 수행 도중

솔직히 터놓고 말합니다. 환영의 문이 계륵인 이유? 아덴수급량은 높은데 활용도가 너무 낮아요.
1, 2번 상황에서 환영의 문을 활용하는건 디스코드 길드팟으로도 힘듭니다. 그냥 말이 안돼요. 1,2번 상황에서 제대로 환영의 문을 사용하려면 진짜 찰나의 순간에 해당 파티원과 본인끼리 시그널이 통해야하는데 그게 되면 그건 프로토스처럼 정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는겁니다.
따라서 저희가 주목해야하는건 3번, 정해진 기믹 수행도중의 활용 방법입니다.

현재까지 제가 생각해낸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발탄 2넴 돌진-파괴 패턴때 어글자가 이상한 곳에 있는 경우
2. 비아 1넴 구슬넣기 성공 후 빨리 딜각 잡아주기
3. 비아 1넴 벨가 패턴 실패한 사람 빨리 데려와서 미리내 (슈퍼세이브) 써주기
4. 비아 2,3넴 + 아브 2넴 등등의 똥버리기 기믹 후 빨리 딜각 잡아주기
----------------------------------------------------------------------------------------------------------------------------------

이상으로 2022-01-14 기준 극신 도화가 가이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Lv29 Avenus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로아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