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 도약
▶ [돌진하는 먹 vs 땅 울리기] ◀풀히트기준 딜차이는 8%로 [돌진하는 먹 < 땅 울리기]
but, 선후딜과 포지션 상의 이유로 제자리에서 시전하는 [돌진하는 먹] 채용
IV. 아크그리드
현재 딜도화가가 사용 가능한 아크그리드 세팅은 총 3가지가 있습니다. (고대 20p 기준)
▶ 111 파죽트리
묵법:파죽 피해량 (치적80% 치피250% 기준) 85.9% 증가
묵법:파죽 적중 시 조화 게이지 10% 획득
떠오르는 달 사용 시 조화 게이지 +6% 획득
- 조화 게이지 획득략 15% 증가
아크그리드 활성화 전 3버블 수급시간 31~33.75초 1회
조화 게이지 수급량증가로 인한 주기단축 = 24~26초 1회
= 총 dps 26.3% 상승
파죽트리의 경우

떠달의 아덴수급 지분이 굉장히 중요해지기 때문에
떠달의 쿨을 가능한 선까지 감소시켜주는게 포인트 입니다.
때문에 이론상 최적화훈련과 타이밍지배를 주는것이 좋지만 무마까지 전부다 뺄 경우 마나소모가 심해져 무마는 냅두고 [끝마1 금주2] 대신 [최적화2 한돌1]을 주어 파죽의 진피증도 챙기고 떠달의 쿨감도 챙겨주는 것이 좋습니다.
▶ 222 일필(한획)트리
한획긋기 사용 시 3버블 획득 = 1파죽
한획긋기 피해량 159.3% 증가
시전속도 20% 증가 및 {연속 긋기} 트라이포드로 변경
재사용 대기시간 5초 증가 (8작열 기준 실제 2.12초 증가)
묵법:파죽 피해량 57% 감소
- 공격속도 10% 증가, 마나회복속도 10%증가, 치명타피해량 15% 증가
= 총 dps 27.28% 상승
기본 스킬트리에서

한획긋기를 {연속 긋기} 트라이포드로 바꾸게 됩니다.
아덴 수급에 필요없어 풍요룬 및 기운강화 트포를 모두 제거하고 다른 룬과 트포로 대체하여 사용합니다.
▶ 223 일필(한획)+두루미트리
한획긋기 사용 시 3버블 획득 = 1파죽
한획긋기 총 피해량 58.9% 증가
달그리기 시전속도 20%증가 및 {먹물 세례} 트라이포드로 변경
달그리기 피해량 120% 증가 (기존 차징대비 44.5% 증가)
두루미나래 피해량 21.5% 증가
묵법:파죽 피해량 57% 감소- 공격속도 10% 증가, 마나회복속도 10%증가, 치명타피해량 15% 증가
= 총 dps 32.93% 상승
한획긋기는 그대로 쓰지만
달그리기에 {먹물 세례} 트포를 사용하며,
옹달샘과

먹오름 중 1가지를 선택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옹달샘의 경우 즉발형에 준수한 무력을 가지고있어 범용성이 높고

먹오름의 경우 중독(출혈)의 유지가 원활하여 전체적인 dps가 높은 스킬이지만 난이도가 있습니다.
현재 333 묵법화 세팅은 극신에 10작열을 주어야 10초이내로 떠달이 굴러가고
묵법스킬에 스택형 딜증으로 인해 정확한 딜증계산이 되지않아 실전성이 매우 떨어진다고 판단되어
더 자세하게 실험해본 뒤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tip1.
[난치기]와 다른 스킬 쿨타임이 같이 돌아올 경우
항상 [난치기] 우선 사용
2.
↔
시너지스킬 취향에 따라 변경 가능
3.
[해그리기]와 다른 스킬 쿨타임이 같이 돌아올 경우 딜스킬1개 사용 후
[해그리기] 사용 해그리기 쿨타임은 선후딜을 고려하여 15초 이하로 맞추는 것을 추천
기본적으로는 {강인함} 트포를 추천하지만 개인의 숙련도에 따라 {재빠른 손놀림} 사용 가능
4.
[먹오름]은 4초간의 틱뎀 이후 마무리 공격으로 틱뎀과 막타딜의 비율은 1:1로 구성되어 있음 [먹오름] 설치 후 보스가 도망갈 경우 딜의 60~70%는 날아가므로 주의해서 사용
5.
[달그리기]는 2차징 시 쿨병목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실전 가동률이 타 스킬대비 70~80%밖에 되지 않지만 그럼에도 적중률이 높아 [먹오름]과 비등비등함
6. [먹오름] 적중률 75% = 1차징 [달그리기] 적중률 100%
[먹오름] 적중률 56% = 1차징 [달그리기] 적중률 75%
[먹오름]이 맞추기 힘들면 [달그리기]로 스왑해서 1차징만 사용하더라도 큰 차이 없음
오히려 맞출 수 있는게 아덴수급에 도움이 됨
7.
[범가르기]는 방어력 무시 트포로 도화가 시너지인 방깍 시너지와 상성이 좋지 않음 암수나 파티에 다른 방깍시너지로 인해 [범가르기]의 딜지분은 하락
8.
[옹달샘]의 경우 {(잉)어왕출현}의 딜량이 더 높지만 적중률을 위해 {잉어봉인해제!}사용 베히모스, 3막 3관 한정으로 {(잉)어왕출현} 사용 추천
9.
각성기의 딜차이는 [몽유도원] 2버블까지 고려해도 딜이 3배가량 차이나므로 [진경산수] 사용
10. 스킬룬은 취향에 맞춰 자유롭게 변경해서 사용해도 지장없음
11. 단심과 속행을 채용하지 않는 이유
수련장에서는 사이클이 여유있게 돌아가지만 실전에서는 포지션 시간까지 고려했을 때 쿨감의 효율을 제대로 받지 못하기 때문
12. 입타세팅 쿨밀림이 심하다고 느끼는 경우
▷ 끝마1 → 한돌1 변경
▷ 떠오르는달 겁화 → 난치기 작열 변경
▷
[난치기] 10.8초
[해그리기] 15.3초 시너지 유지 가능
▷ 서폿에 따라 마나가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마나음식 준비 혹은 일부스킬 집중룬으로 변경
13. 치적은 85%까지만 챙기는것을 추천
솔로레이드의 경우 더 높게 채용해도 상관없음
파티플레이 시 일반적인 경우 서폿의 구슬동자 각인을 통해 섬광구슬(15%~17%)의 치적을 추가로 얻을 수 있기 때문
14.
[한횟긋기]의 경우 {기운강화-연속긋기} 트라이포드의 아덴수급량이 매우 높음 파죽 딜지분까지 합산할 경우 dps가 제일 높지만 [한획긋기] 한방딜이 6% 감소함
절충안으로 {기운강화-강화된붓} 사용시 아덴수급량은 비슷하면서 딜누수없이 사용 가능함
{재빠른손놀림-강화된붓-질풍} vs {기운강화-연속긋기-영웅풍요} 이 2개의 dps차이는 약 1.3%정도
15. 풍요룬은 다다익선
파죽사용횟수가 증가할수록 dps가 고스란히 증가하지만 아덴 누수의 가능성도 있어
적당히 사용편의성과 아덴수급 사이에서 스스로 조절하여 룬 선택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양한 의견 공유 및 질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