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울이터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잡담] 극신 512 가이드글 (살귀의 밤 / 강탈자 / 잠식된 경계)

아이콘 새하가온
댓글: 4 개
조회: 536
추천: 4
2025-10-02 10:29:45
※주의사항※
1. 512의 고질적인 단점 - 사신스킬 꼬이면 DPS 나락감
2. 극신이다보니 레이드가 숙련되기 전까지 DPS 방어 어려울 수 있음(쿨타임 소화 측면)
3. 다른 빌드가 훨씬 매우 무조건 좋습니다. (해달별 유물 3코어 기준)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직게에 글 쓰네요

예전부터 항상 살귀 위주의 그믐을 플레이하고 싶던 터라 이번 아크그리드 출시에 있어 굉장히 기대감이 컸는데,



예................ 솔직히 15%나 깠어야 하나 싶네요...
다른 빌드들은 무난하게 DPS를 많이 올리는 반면,
영혼 강탈 내에 폭딜을 욱여넣는 컨셉 치고는 DPS 감소는 어울리지 않는다 생각하는데 말입니다

뭐 아무튼 이 글은 저처럼 살귀 메인으로 사용해 보고 싶으신 분들을 위한 가이드글입니다.

솔직히 말하면 2개 정가 친 거 치고 전설 해달 2개 낀 빌드보다 쪼끔 세져서 존나 허탈하고 드리눕고 싶은데,
진짜 진심으로 마지막 1번만 스마게 밸패 믿어보겠습니다.
========================================================
배럭이나 부캐로 황제 아르카나를 키우시는 분 중에 이런 스킬 빌드를 보신 분이 있을 겁니다.



다크 리저렉션이라는 스킬의 3트포 중 하나입니다.
원래는 다른 트포를 사용하지만, 이 트포를 사용할 시 모션 프레임이 굉장히 짧아져
DPF를 높이는 방식의 스킬 빌드가 있습니다.

제가 만든 빌드도 비슷한 원리입니다.



이 30%의 쿨감을 온전히 소화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이 긴 스킬을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가장 간결한 스킬들을 많이 굴리는 식으로 빌드를 짰습니다만, 결국 핵심은 리탈입니다.

413 프렌지(데피) / 512 프렌지(데피) 다 실험해 본 결과,
위 코어를 사용할 경우에는 512 프렌지의 DPS가 가장 높게 나왔습니다.
(503은 실험 자체를 하지 않은 게, 사이클에 카운터가 강제되는 걸 그닥 선호하지 않습니다)

아래에 빌드 공유와 영상 첨부하겠습니다.
========================================================
※빌드 연구 중 확연한 차이를 내기 위해 올 유각으로 실험했기에 제 스펙보다 DPS가 많이 높게 나옵니다※

경계석을 채우는 사이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드레인 - 스레싱 - 하베스트
2. 러스트를 제외한 살귀 4종(리탈부터 사용)

또한 경계 진입 시 가장 리탈을 빠르게 털어주어야 하고(약 1초 정도까진 괜찮음)
경계 종료는 웬만하면 3번째 리탈 바로 후,
경계 시작은 리탈 쿨타임이 1초 정도 남았을 때 사용하면 딱 맞습니다.


스킬 트포 / 룬

하베스트가 포인트입니다.

하베스트 2트포의 3번째는 치적을 20% 올려주는데,
이건 과치적일 뿐만 아니라 현재 빌드에 쓰기엔 모션이 너무 큽니다.
따라서 1번으로 바꿔 모션 간소화를 했습니다.
스레싱도 가끔 체인으로 사용하시는 분이 계시는데 신속이 높은 빌드에선 모션이 간결한 게 제일 좋습니다.

아크 패시브 




앜패의 경우, 아드 유각 기준으로 만들어졌으며
저는 팔찌와 유각 포함 치명타율 95%정도로 세팅했는데
취향에 따라 치명 100%을 맞추시거나 90%으로 맞추셔도 상관은 없을 것 같습니다.


위 빌드로 오늘부터 종막 하드 2관 트라이를 할 예정인데,
실전에서 바로 써 보고 보완할 점이라던가... 있으면 수정할게요

근데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딜이라도 올려주는 패치를 안 해 주면 진짜 그믐은 왜 경계상태가 있는 거며
사신 주력기로 쓸 거면 만월을 하지 왜 그믐을 하는지 하....
저 17p 에 있는 딜감만 없애줘도 충분할 것 같은데 ㅠ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로아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