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글을 작성하기에 앞서 이 빌드는 오직 살귀의 밤으로 뽑을 수 있는 "고점" 이 어디까지인가를 보기 위한 목적으로 빌드를 만들었고 고점을 위해서 추가 스펙을 여럿 채용했으니 참고바랍니다. 추가 스펙은 로펙 시뮬레이터로 계산해서 로펙 점수
3700점(악추피 제외)으로 빌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코어 세팅
아크패시브 세팅
치명 1758 신속 704
추가 스펙 : 아드 유각 +3칸 추가, 치적 +1.78% 추가 -> 악세에 치적이 없어서 보충하기 위함
최종 치적 : 90.11% 로 세팅
스킬 세팅

14lv 1-3-1 8레벨 겁화 / 9레벨 작열 (전설 질풍)

14lv 2-1-1 9레벨 겁화 (영웅 비전)
14lv 3-3-1 8레벨 겁화 / 10레벨 작열 (전설 질풍)
11lv 1-1-1 8레벨 작열 (전설 단죄)

10lv 3-3-2 8레벨 작열 (전설 심판)

14lv 3-1-2 8레벨 겁화 / 8레벨 작열 (전설 속행)

7lv 3-1 (영웅 속행)

14lv 3-1-1 8레벨 겁화 / 8레벨 작열 (전설 중독)
-----------------------------
우선 이 빌드가 다크문+크레센트와 비빌 수 있을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빌드에 위핑 10작이 필요한데 10작이 없는 저로서는 레이드에서 직접 굴려볼 수가 없습니다. 물론 치명을 빼고 신속을 넣어서 쿨감을 보충하면 굴릴 수는 있지만 치적이 낮아지기 때문에 오직 살귀의 밤의 고점을 보기 위한 빌드라는 의미에서 살귀의 밤 고점 빌드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살귀의 밤 17p가 살귀 쿨감 30퍼를 주는 대신 프렌지와 영참을 포함한 살귀 스킬 딜을 상시로 15퍼나 깎아버리기 때문에 분명 빌드를 짜는 데에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살귀의 밤으로 짧아진 프렌지 쿨을 모두 경계 상태에서 소화할 수 있을 만큼 경계 진입이 빨라지면 짧아진 프렌지를 모두 경계 상태에 박을 수 있고, 영참 사용횟수도 많이 늘어나지 않을까 생각을 하고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제가 찾은 빌드의 핵심은 3강 2일 경계 진입입니다.
이전에 궁금증 해소를 위해 치신 반반으로 3강 2일을 베길시로 운영해봤는데 베길시로 운영할 경우 끝마2 최적1 무마2에 치명 19 신속 21 까지 주고 베길시 올 10작을 써야 겨우 굴려지는 수준이었습니다. 그로 인해 치적이 박살이 나서 제대로 써먹을 수가 없었죠.
이번 빌드는 데스 위핑의 영혼의 채찍 트포 쿨감을 이용한 3강 2일 진입입니다.
데스 위핑의 쿨감을 이용하면 끝마2 최적1을 채용한 경우 신속을 거의 안챙기고 치적을 안정적이게 확보한채로 3강 2일이 실현 가능하게 됩니다.
이 빌드의 또 다른 중요 포인트는 하베스트의 트포인데 하베스트 크로스 오버 트포를 써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엄청 짧고 간결하게 들어가서 쿨을 빠르게 소화해야될 때 아주 유용합니다. 하베스트 312를 사용하면 331과 치적 10퍼말고는 딜은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영혼석이 331에 비해서 덜 차긴하지만 살귀의 밤은 영혼석 수급이 널널하기 때문에 충분히 사용 가능 합니다.
첨부한 허수 영상에서도 나오겠지만 루나틱-드레인-하베스트(312) 로 사이클을 굴릴 시 영혼석 0개에서 3개로 딱 깔끔하게 차게 됩니다. 그래서 루나틱에 단죄 , 드레인에 심판을 줘서 단심이 쿨마다 돌 수 있도록 해줬습니다.
사이클은 기존 413 사이클과 거의 유사합니다. 시너스 대신에 위핑이 들어갔다는 것 이외에는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습니다. 단지 마지막 경계 진입을 하는 사이클에서 루나틱-드레인-하베스트로 영혼석 3개를 채운 뒤 강화 위핑으로 경계를 빠르게 진입합니다. 그리고 경계에서 사이클은 리탈 - 프렌지 - 하베스트 - 루나틱 - 리탈 - 영참으로 나옵니다.
그런데 이렇게 강화 위핑으로 경계를 들어가버리면 길로틴이 쿨이 남아돌게 됩니다. 그래서 길로틴의 작열을 빼고 드레인에 작열을 껴준 뒤, 길로틴의 트포를 크로스 스윙에서 약점 포착으로 바꿨습니다. 이럴 경우 길로틴의 쿨과 영참 종료 시점이 비슷하게 맞아 떨어져서 깔끔하게 사이클이 굴러가게 됩니다. 트포를 약점 포착말고 단두대를 사용하면 더 딜이 세지긴 합니다만 단두대가 사용감이 별로 좋지 않아서 그냥 저점 보완 측면에서 약점 포착을 채용했습니다. 찐 딜 고점은 단두대긴 합니다.
-----------------------------
https://youtu.be/J-ZKm4Rvdeg?si=0eUW789tfglY4SBu
사이클 확인용 허수 영상 루메킬
루메킬 영상 전분
루메킬 기준 평균 dps 3.2억+정도 나옴
루메킬 기준 로펙 : dps 비율 약 0.87배
2분 전분
2분 전분 기준 로펙 : dps 비율 약 0.89배
2분 전분딜은 시행횟수가 2~3회밖에 안돼서 고점 딜은 아마 아닐겁니다. 참고용으로 봐주세요.
-----------------------------
글을 마치며
이 빌드가 경계 프렌지와 영참 횟수를 유의미하게 끌어올리는 빌드라서 살귀의 밤 17p를 만든 의도를 8~90%는 써먹은 빌드라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3강 2일의 문제점인 한번 꼬이면 사이클이 복구하기 힘들어진다는 저점 보완의 문제와 데스 위핑 고렙 작열의 높은 의존도, 여전히 남아있는 쿨소화가 힘들다는 문제, 그리고 이렇게까지 굴려도 그렇게 엄청나게 세지 않다는 것입니다.
살귀의 밤 17p 이정도면 진짜 다 파헤친 거 같은데 이 3강 2일 빌드 기준으로 밸패를 진행할거면 그믐의 경계 게이지 감소 완화는 필수니까 살귀의 밤 자체를 제대로 고치든 그믐의 구조를 개선해주든 밸패 알맞게 잘 진행해주시면 좋겠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