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소개드릴 빌드는, 다크문 유물 기준으로 사용 가능한 413 피날레 빌드로, 크센 / 광월야 두 코어 전설/유물 아무거나 사용 가능합니다. (고점은 광월이 더 높습니다) 광월 살귀 횟수 카운팅이나, 사신기 쿨에 크게 신경쓰지 않고 기존 413 빌드와 동일하게 굴릴 수 있는게 장점이고, DPS는 꽤 나오는거 같은데 둘다 먹은기준으로 사신의 부름과의 비교는 해봐야 할거 같습니다.
약식으로 전설 사신의부름 장착후 싸이클 굴리고 나온 DPS * 사부 17p딜증치 약9.36%하면, 다크문 데피랑 동일한 DPS가 뽑히는거 같은데, 추후에 사부를 먹으면 한번 더 실험하거나 해야할거같네요
1. 빌드 간단 소개
다크문의 사신기 쿨감 1초 효과를, 광월이나 크센으로 계속 터트려서 사신기 쿨을 빠르게 돌리고, 이를 바탕으로 dps를 뽑아내는 빌드입니다.
해당 빌드는 다크문 유물만 있다면 광월야 외에 크레센트와도 조합 가능하며, 전설 유물 상관없이 쓸 수 있습니다. 물론 광월 유물과의 조합이 가장 좋습니다.
Lv. 7 / 3,1 / 영웅속행 or 희귀속행 or 중독 Lv. 14 / 3,1,1 / 희귀속행 or 출혈 Lv. 14 / 2,1(2,3),1 / 희귀속행 or 출혈 or 중독 or 비전 or 압도
Lv. 14 / 2,2,1 / 전설질풍 Lv. 14 / 2,3,1 / 전설질풍
광월야 채용 시,
길로틴에 단두대나 약점포착을 사용합니다. 크로스 스윙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스레싱 채용이 고점이 높으나, 실전에서는 하베스트를 써도 무방합니다.
크레센트 채용 시,
길로틴에 크로스 스윙을 사용합니다. 단두대나 약점포착 사용이 실전에서 가능하긴 한데, 광월에 비해 운명이 터지는 횟수가 적어 싸이클이 꼬일 수 있으므로 실전 검증을 해보고 사용해야 합니다.
스레싱 대신 하베스트를 사용합니다.(스레싱을 쓸 이유가 x) 빠른 싸이클 소화를 위해, 하베 2트포를 비탄의날 대신 크로스오버로 변경합니다.
공통적으로,
기존 413과 거의 동일한 스킬 구성이나, 시너스 2트포에 연속베기를 사용합니다.
룬의 경우, 단심 4속 / 단심 2속출중 / 4속출중 등 편하신대로 사용가능합니다. 단심컨을 딱히 해야하는게 아니라서, 그냥 단심 쓰셔도 딱히 불편한 건 없을겁니다.
[보석]
겁화 > > > 작열 > > > > > >
겁화의 경우, 위의 우선순위에 맞게 가시면 됩니다. 작열의 경우, 위의 우선순위를 대강 따르나, 추후 변동 가능성 있습니다.
[각인] 기존과 동일하게, 원한, 아드, 돌대, 저받, 예둔을 사용합니다.
마효증, 질증, 타대 각인 등은 광사부 빌드와 동일한 이유로 추천드리진 않기에, 광사부 빌드 내용을 가져옵니다. 참고해주심 될거 같습니다.
마나효율증가 영참 딜비중이 생각보다 낮지 않으므로, 마효증각인은 못쓸정도는 아니지만 추천 드리지않습니다. 마나용광로 사용 시, 영참의 딜비중이 더욱 급감하여 마효증각인 채용을 고려할 수 는 있지만, 마효증이 없더라도 마나가 부족하지는 않으므로, 마효증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저받이 전설이고 마효증이 유각이거나, 마효증 돌을 깎은 경우 사용할수는 있습니다.
질량증가 질량증가의 경우 공속이 곧 DPS에 직결하는 빌드이기에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공속감소량 만큼 정직하게 DPS가 빠집니다. 질량증가 유각이거나 질증돌인 경우 저받 대신 사용할수는 있으나 추천하지 않습니다.
타격의대가 마찬가지로 리탈 딜 비중도 생각보다 많이 낮지 않으므로, 시너스 타대 트포를 쓰고 타대각인을 쓰는것 역시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특히 시너스 피면기는 매우 유용한 유틸이므로 정말 어쩔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사신의부름 + 광월야] 413 스레싱 가이드 참조
[아크패시브]
진화
기존 413 그믐과 똑같이 진화노드를 가져갑니다. 본인 치적에 따라서 예감과 한돌을 적절히 나눠 찍으면 되고, 마나용광로도 채용은 가능합니다.
깨달음
광월야 채용 시, 영참2를 쓰고 영혼길잡이5, 영혼강화1을 사용합니다.
크레센트 채용 시, 영참3를 쓰고 영혼강화2을 사용합니다. 영혼강화2 대신 영혼길잡이2를 사용해도 됩니다.
달 코어는 광월야 전설 유물, 크레센트 전설 유물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강탈자는... 못쓸겁니다. 둘 중에서는 광월야가 기대 딜량이 높습니다. 별 코어는 사신의 힘 전설 유물, 그믐의 지배자 전설 유물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마찬가지로 잠식된 경계는 사용이 어렵거나 써도 효과를 제대로 못받습니다. 둘 중에서는 사신의 힘이 기대 딜량이 높습니다.
4. 기본 싸이클
기본적으로, 기존 413 그믐 싸이클과 완전히 동일합니다.
하베스트를 쓸 경우, 위의 싸이클에서 스레싱 자리에 하베스트를 넣으면 됩니다. 이러면 기존 그믐과 3영혼석 수급 싸이클이 완전히 같아집니다.
러스트네일의 경우, 스레싱 채용 + 리탈루나스레싱러스트 3영혼석 모으는거 빼고는 안써도 상관없습니다. 크레센트의 경우 쓰나 안쓰나 전혀 무방하고, 광월빌드는 여유되면 그냥 1틱써주면 운명 가동률에 도움이 됩니다.
[싸이클 디테일]
강화 사신기는, 피 - 길 - 시 - 베 우선순위로 사용합니다.
일반 사신기는, 시 - 베 우선순위로 사용합니다.
가장 중요한건, 한싸이클 내에서 시너스2회 + 베스 1~2회만 사용합니다. 3베스를 사용해버리면, 나중에 사용할 베스티지 수가 부족해지므로, 이점을 주의해주세요.
피날레, 길로틴은 무조건 강화로만 사용합니다.
시너스는 강화, 일반을 섞어서 1싸이클 내에 2번 사용하고, 베스티지는 강화 사신기가 없는게 아닌한 일반으로만 사용합니다.
[싸이클 설명]
광월야 + 다크문, 크레센트 + 다크문의 경우, 사신의 부름 영혼석 수급1이 없기때문에 4강화로 굴릴시 손해가 꽤 큽니다. 4강화에는 길로틴+베스티지면 충분히 돌아가나(422빌드), 시너스 별 코어 딜증에 의해 강제로 시너스를 채용 해야하고, 따라서 다크문으로 피날레 빌드를 구성 시, 3강3일이 기본 전제가 됩니다.
3강3일을 돌릴 때, 기존과 똑같이 길시 - 베베 - 길시로 돌리면, 길시 쿨을 기다린다고 경계 강종에 있어 손해를 봅니다. 이를 회피하기위해 길베 - 시베 - 길베 - ... 로 굴리면, 베스티지가부족해지는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시너스 2트포를 연속공격으로 바꾸어 깡딜 감소대신 쿨감을 받고, 다크문의 사신쿨감을 활용해 3강 3일에 필요한 사신기 쿨을 보강합니다. 저렇게 하면, 사신기 개수 부족없이 경계 강제 종료가 되는데, 이는 다크문에 의한 사신쿨감이 굉장히 크게 들어오고(싸이클마다최소4~5초), 시너스 쿨이 약간 줄어듬으로 인해 이것을 1싸이클에 2번박아도 쿨을 기다리지 않아도 되어 베스티지의 역할을 어느정도 보강가능하기 떄문입니다. 예를 들면, 길시 - 베베를 돌리면, 길로틴쿨 기다림없이 피날레 - 시너스, 또는 시너스 - 길로틴 이렇게 박은뒤 경계에서 약간의 운명 관리만 하면, 바로 다음싸이클에 시너스가 돕니다. 이러한 원리로, 3강 3일을 하면서 사신기 개수 부족 문제를 해결합니다.
메인이 되는 DPS 상승 요인은 다크문 쿨감입니다. 허수 기준, 러스트를 1틱씩 그냥 사용, 스레싱 채용시 1싸이클마다 19번의 살귀가 들어가게 되고, 이때문에 1싸이클에 사신기의 쿨감이 4~5초가량 먹습니다. 이 때문에, 단심이 터진싸이클에서는 피날레가 다음싸이클에 바로 돌정도로 가동률이 오릅니다. 다른 사신기의 가동률도 크게 오르고, 이러한 요인으로 DPS를 확보하게 됩니다.
[싸이클 요약]
1. 영혼석 수급 싸이클은 기존과 똑같습니다. 스레싱쓰나 하베쓰나 차이만 있고, 편하신거 쓰면 됩니다, 2. 운명 스택은 따로 카운팅안해도 됩니다. 그냥 무지성으로 굴려서 계속 쿨감받고, 사신기만 신경써 주세요. 3. 사신기 사용은 1싸에 2시너스 + 1~2베스는 반드시 지켜야합니다. 베스티지 횟수가 3을 넘어가는 순간, 싸이클에 문제가 생깁니다. 하실때 경계 끝나고 첫 강화+일반 사신기에 시너스를 반드시 포함하면, 3베스가 나갈일이 없습니다. 4. 러스트는 안써도 되나, 광월에서는 쓰면 좀 더 사신기 가동이 빨라집니다. 5. 크레센트를 쓰면, 경계 살귀는 그냥 적당히 박고 소드 돌때쯤 바로 영참을 써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