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실제 플레이에는 아무 쓸모가 없을 뿐더러
결론조차 없는, 단순 토론을 위한 글입니다!
숫자놀음이나 데이터 분석을 싫어하시는 분들은
뒤로가기를 눌러주시길 바랍니다!
0. 서론
그믐으로 플레이하다 보면 특정 사이클에서 영혼 게이지가 아주 약간 부족해 본의 아니게 깡사신을 날려보신 경험 한 번 씩은 있으실 겁니다. 플레이 경험이 쌓이면서 대략적인 스킬별 영혼 게이지 수급량이나 영혼석이 풀로 채워지는 스킬 사이클 몇 가지를 자연스레 기억하게 되지만, 평타 1~2대만큼의 영혼석이 부족한 상황을 매번 피하기는 어려운 게 사실입니다.
하여 아래 글을 참고해서 데이터를 수집하던 중에, 이상한 점이 발견되어 의견을 나누고자 지금까지 발견한 내용을 공유 드립니다.
* 참고 자료
소울이터 모든 스킬 트포별 아덴 수급량 정리, 순위표
1. 참고 자료 분석
데이터 테이블 첫 줄에 평타 4타 중 1타의 수급량이 10.98901099로 기재되어 있고, 이는 0.091의 역수로 거의 딱 떨어지는 값입니다. 즉 영혼석 1개를 1000의 값으로 변환했을 때 영혼석 1개를 채우는 데에 91대의 평타로 채워진다는 의미로, 실제로 노직각 or 만월 각인 적용 시 91타에 영혼석 1개, 273타에 영혼석 3개가 모두 채워졌습니다.
(측정한 방법에 대해서는 본문에 기술되어 있지 않으나, 데이터 상 소숫점의 길이나 평타의 영혼 게이지 수급량 값의 역수가 0.091에 10^(-10)수준까지 근사한 것으로 보아 평타 91회만에 영혼석 1개가 수급된 것을 기준 삼아 각 스킬의 수급량을 상대값으로 정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하지만 그믐 각인 적용 시 이와 달랐습니다.
2. 그믐 각인 적용 시 수급량
일단 그믐 각인 적용 시에는 영혼석 3개가 모두 채워졌을 때에만 시각적인 강조 표시가 되기 때문에 3영혼석이 채워지는 것을 기준으로 측정했고, 치명타/백어택/특화값 등 모든 조건과 무관하게 정확히 평타 177회만에 영혼석이 모두 채워졌습니다. 이는 즉 그믐의 영혼석 용량(177타)이 노직각/만월의 용량(273타) 대비 약 65% 수준으로 감소, 또는 그믐의 영혼석 수급량이 약 53% 가량 증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일반 공격 2~3타 수급량 검증
데이터 테이블 상 2~3번째 평타는 11.15181115로 1타보다 수급량이 약 1.4815% 높게 측정되어 있어 추가 검증을 진행했고, 실험 결과 2타씩 끊어 총 88세트+1타, 3타씩 끊어 총 59세트만에 3영혼석이 가득 찼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데이터 테이블 상 표기된 영혼 게이지 수급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a) 1타 177회: 1945.0549452300
b) 1-2타 88세트 + 1타 1회: 1959.3813593100
c) 1-3타 59세트: 1964.2653641100
4. 데이터 오류?
여기서 c의 결과를 보면, 1타는 총 59회, 2~3타는 총 118회(59*2) 사용되었습니다. 1타보다 1.48% 가량 수급량이 많은 2~3타가 118회 사용되었으면 1타만 사용했을 때 대비 평타가 최소 1회 감소했어야 하나, 실제로는 a와 c 모두 1~3타 무관하게 정확히 117회 사용해야 3영혼석이 채워졌습니다. 즉, 적어도 그믐의 경우 2~3타가 1타보다 수급량이 많다고 볼 수 없었습니다.
또한 c와 a를 비교하면 약 19.21의 차이가 있으며 이는 평타 2대에 가까운 수치입니다. a의 값이 옳다면 c 테스트 중 마지막 59번째 세트에서 3타를 치지 않고 1, 2타까지만 쳐도 3영혼석이 모두 채워졌어야 하고, c의 값이 옳다면 a 테스트에서 177회가 아닌 179회에서야 3영혼석이 채워졌어야 합니다. 이 실험을 통해 해당 참고 자료 상의 데이터를 무조건적으로 신뢰할 수는 없다고 판단하게 되었습니다.
5. 루나틱 엣지(111트포) 수급량
루나틱 엣지의 111트포의 경우 데이터 상 430.4029304로 표기되어 있고, 이를 바탕으로 그믐 각인 적용 상태에서 3영혼석을 모두 채우는 테스트 결과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a) 루나틱 1회 + 평타 136타 : 1886.446886
b) 루나틱 2회 + 평타 95타 : 1906.593407
c) 루나틱 3회 + 평타 56타 : 1904.761905
d) 루나틱 4회 + 평타 15타 : 1924.908425
편차가 가장 큰 a와 d를 비교해보면 차이가 약 38.46, 즉 평타 약 3.5타 수준의 오차가 발견되었고, 예를 들어 d값이 옳다면 a 테스트에서 루나틱 1회 후 평타 136타가 아닌 140타를 쳐야 3영혼석이 수급됐어야 합니다. 이 실험을 통해 해당 참고 자료 상 데이터는 적어도 그믐에는 적용할 수 없는 수준으로 오차가 매우 크다고 판단했고, 해당 참고 자료를 기반으로 계산한 자료를 모두 배제하고 원점으로 돌아와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측정해 분석을 진행했지만,
이미 데이터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6. 영혼 게이지 수급량의 불규칙성?
평타 177회로 3영혼석이 채워졌기 때문에, 실제 3영혼석의 용량(?)은 평타의 영혼 게이지 수급량의 176배보다 크고, 177배보다 작거나 같은 구간 내 어딘가의 값입니다. 즉 3영혼석을 100%라 했을 때 0.5650% ≤ x < 0.5682% (편의 상 4자리까지만 표기)의 값을 가집니다.
이를 바탕으로 위 루나틱 엣지의 영혼 게이지 수급량 테스트 결과에 대입하면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 루나틱 | 1타 | 루나틱 최소수급 (1평타=0.5682%) | 루나틱 최대수급 (1평타=0.5650%) |
| 4 | 15 | 22.8693% | 22.8814% |
| 3 | 56 | 22.7273% | 22.7872% |
| 2 | 95 | 23.0114% | 23.1638% |
| 1 | 136 | 22.7273% | 23.1638% |
루나틱 0회 사용 시 3영혼석까지 평타 177타가 필요했으나 루나틱 1회 사용 시 136타로 39타가 감소했으나, 루나틱 2회 사용 시 1회 대비 평타가 41타 감소했고, 3회 사용 시에는 2회 대비 39타가 감소하지만 4회 사용 시 3회 대비 다시 41타가 감소합니다. 39타와 40타 또는 40타와 41타였다면 소숫점 차이로 발생했다고 추측이 가능하지만 39타와 41타는 예상 범위 밖의 차이였습니다.
또한, 평타와 루나틱의 영혼 게이지 수급량이 일정하다면 위 데이터 상 4가지 케이스에서 최소~최대효율 구간이 모두 겹치는 값 내지는 구간이 존재해야 하는데, 그러한 지점이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4가지 케이스의 y축 최소~최대값 구간이 모두 겹치는 지점이 없음)
마치 스킬 데미지처럼 영혼 게이지 수급량도 최소값~최대값이 정해져 있고 그 안에서 랜덤으로 결정되나 싶었지만, 수십 번을 반복해 실험해도 결과는 언제나 평타 1회의 오차도 없이 같았습니다.
예를 들면,
루나-루나-루나-루나-평타15타
평타3타-루나-평타3타-루나-평타3타-루나-평타3타-루나-평타3타
평타5타-루나-루나-평타5타-루나-루나-평타5타
위 경우 모두 몇 번을 반복하건 항상 결과가 같았고, 1~3루나틱 역시 마찬가지였습니다.
더불어, 동일한 방법으로 하베스트 수급량 실험을 진행했지만 마찬가지 사유로 하베스트로 수급되는 영혼 게이지량 또한 특정 값 또는 구간으로 나타낼 수 없었습니다.
(3가지 케이스의 y축 최소~최대값 구간이 모두 겹치는 지점이 없음)
7. 고찰 및 결론
이러한 구조를 설계함에 있어 평타 또는 각 스킬의 영혼 게이지 수급량을 굳이 랜덤으로 설정해 유저로 하여금 불확실성으로 인한 불쾌감을 갖도록 할 이유가 없다 생각합니다. 더불어, 수천 번까지는 아니지만 충분히 많은 실험를 반복했음에도 평타 횟수가 달라지는 등의 랜덤성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근거를 발견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마치 해가 존재하지 않는 방정식을 푸는 것처럼 중간 어딘가에 갇혀 끝끝내 오류에 대한 실마리를 못했고, 어떤 실수나 오차로 발생한 문제인 지 파악이 어려워 지금까지 확인한 내용이나마 두서 없이 끄적여봅니다 ㅜㅜ
추측컨대, 로아 특성 상 특정 소숫점 이하를 버림 처리하면서 누적된 오차에 기인했을 것으로 판단되는데, 혹시 본 내용 관련하여 오류를 발견하셨거나 아이디어가 있으신 분은 의견 남겨주시면 추가적으로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