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 극딜이 아니라, 2분 준극딜 주기로 돌리는게 더 이득인 것 같습니다
더 정확히는, 2분 준준극딜 (콤보아드), 4분 준극딜 (콤보아드+강제아드), 6분 극딜 (6차 + 콤보아드 + 강제아드)
3분 극딜로 하면, 6차+콤보아드+강제아드 하면 이후에 3분극딜할 때, 콤보아드는 어떻게 콤보 수급해서 한다쳐도, 강제아드는 안그래도 파티격 할 때 파티원들한테 조금씩 미뤄달라고 부탁하는데, 아예 20초가 더 밀려버려서 극딜이 굉장히 애매해집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입장 극딜을 6차 + 콤보아드 or 강제아드 둘 중 하나만 해야하며, 극딜 주기마다 아드를 1개씩만 써야하는데, 그러면 결국에 아드 1개를 버리는 꼴이 됩니다.
반대로 4분 극딜로 하면?
1000콤보 쌓고 입장 -> 6차+콤보아드+강제아드 (0초 극딜) -> 콤보아드 (120초 준준극딜) -> 콤보아드 + 강제아드 (240초 준극딜) -> 6차+콤보아드 (360초 극딜) -> 콤보아드 + 강제아드 (480초 준극딜)
이런 식으로, 6분마다 찐 극딜을 돌린다 생각하고, 120초 준준극딜과, 240초 준극딜을 가진 직업이라 생각하면 나름 깔끔하게 나옵니다
물론, 이렇게 하면 이번에는 강제아드가 아닌 콤보아드를 버리는 꼴이 됩니다만, 이게 나쁘지 않은 이유는 밑에 서술하겠습니다.
12분 계산
3분 극딜
입장 6차+콤보아드 (0초) -> 콤보아드 (90초) -> 콤보아드+강제아드 (180초) -> 콤보아드 (270초) -> 6차+콤보아드 (360초) -> 콤보아드 (450초) -> 콤보아드+강제아드 (540초) -> 콤보아드 (630초) -> 6차+콤보아드 (720초)
총 6차 3번, 콤보아드 9번, 강제아드 2번 = 6차 3번 + 아드 11번
4분극딜
입장 6차+콤보아드+강제아드 (0초) -> 콤보아드 (120초) -> 콤보아드+강제아드 (240초) -> 6차+콤보아드 (360초) -> 콤보아드 + 강제아드 (480초) -> 콤보아드 (600초) -> 6차+콤보아드+강제아드 (720초)
총 6차 3번, 콤보아드 7번, 강제아드 4번 = 6차 3번 + 아드 11번
결과적으로 12분 기준, 박게 되는 극딜량은 똑같습니다.
24분 계산 (12분 극딜까지는 위의 글 참고
3분극딜
-> 콤보아드 (810초) -> 콤보아드 + 강제아드 (900초) -> 콤보아드 (990초) -> 6차+ 콤보아드 (1080초) -> 콤보아드 (1170초) -> 콤보아드 + 강제아드 (1260초) -> 콤보아드 (1350초) -> 6차 + 콤보아드 (1440초)
6차 2번, 콤보아드 8번, 강제아드 2번 = 6차 2번 + 아드 10번
4분극딜
-> 콤보아드 (840초) -> 콤보아드+강제아드 (960초) -> 6차+콤보아드 (1080초) -> 콤보아드 + 강제아드 (1200초) -> 콤보아드 (1320초) -> 6차+콤보아드+강제아드 (1440초)
6차 2번, 콤보아드 6번, 강제아드 3번 = 6차 2번 + 아드 9번
즉, 24분 극딜까지 돌리면, 그제서야 1아드 차이가 납니다
대부분의 보스에서 30분 제한 시간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사실상 1아드정도 차이가 난다는 것인데, 이제부터는 취향을 포함한 계산이 들어갑니다.
장점
1. 난이도
3분 극딜의 경우,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해서 극딜 딜레이가 5~10초정도씩 미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서버렉으로 인해 아드레날린 지속시간이 길어져서 콤보 수급이 미뤄진다거나, 보스 패턴으로 인해서 극딜을 어쩔 수 없이 늦춰야하는 등의 상황에서 미뤄지는 경우가 있고, 특히 데미안이나 진힐라처럼 콤보수급이 어려운 경우, 90초 주기의 준극딜 (콤보 아드)를 포기하는 경우도 자주 있습니다.
4분 극딜의 경우, 위에서 주기 자체는 120초로 써놓았지만, 사실상 대부분의 보스에서 90초 이내에 콤보수급이 된다는 점에서, 아드레날린을 자유롭게 킬 수 있는 30초의 시간이 주어진다고 보아도 좋습니다.
더 널널하게 본다면, 150초에 사용해도 90초 이내에 콤보 수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아드레날린에 들어갈 수 있는 타이밍을 1분 내에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즉, 90초마다 빡쌔게 콤보 수급을 해야하는 보스의 경우, 보스가 패턴으로 도망가버리면 극딜 주기가 10초정도씩 늦어지지만, 120초마다 넣는다고 생각하면, 보스의 패턴을 확인한 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극딜 주기가 웬만해서는 망가지지 않고 깔끔한 시간으로 유지된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극딜버프의 지속시간
메용2, 오라웨폰의 경우 각각 1분/2분20초의 지속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에서, 40초 극딜보다, 어차피 긴 극딜이라면 60초 극딜을 사용할 수 있는 편이 더욱 극딜버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3. 파티와의 시너지
사실 3분 극딜이 대부분이라고 해도, 여전히 2분극딜, 4분극딜 파티도 없진 않습니다.
3분 극딜 파티에 가게 되면, 정확하게 3분 주기를 맞추기 어렵기때문에, 위에서 언급했듯이, 파티원들에게 어느정도 양해를 구해야하지만, 2/4/6극딜의 경우 어거지로 극딜 주기를 늘려서 맞춘 것이기 때문에, 유동적으로 극딜 주기를 맞출 수 있어, 차라리 2분, 혹은 4분 파티에 들어가게 되면 오히려 1인분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단점
4. 시드링
현 극딜메타 상, 시드링은 필수이나, 아쉽게도 컨티뉴어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링은 10~20초정도의 지속시간을 가지고 있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때문에 기존의 3분 주기 40초 극딜을 돌리나, 6분주기 1분극딜을 돌리나 전부 극딜은 박을 수 없습니다.
다만, 3분주기 40초 극딜의 경우, 정확히는 20+20초 극딜이기 때문에, 이 20초에서 다음 20초로 넘어가는 시기에 시드링을 사용하여 1리레 2헌터구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6분주기 1분극딜의 경우, 20+20+20의 구조이기 때문에, 강제아드 헌터지의 경우 시드링 효과를 받지 못하고 사용해야해서 시드링 효율만 생각해보면 손해입니다.
5. 바인드 연계
아란은 바인드인 블리자드 템페스트가 준극딜기로 사용되며, 딜 점유율도 10~20퍼정도 나오는 강력한 스킬입니다.
6차+아드에 바인드를 넣으나, 콤보아드+강제아드에 바인드를 넣으나, 딜 차이가 크지는 않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만, 결국 2/4/6 극딜의 경우, 3분 주기의 바인드를 4분 주기로 사용한다 해도, 결국 1분씩 손해가 나오기 때문에, 이 점 또한 큰 단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아란은 현 구조 상 절대 예쁜 극딜 구조를 가질 수 없지만, 어느정도는 예쁘게 꾸미려고 할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예쁘게 꾸며도, 기형적인 구조를 가졌기 때문에 이 글을 읽으시는 유저분들께서 불만스럽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비유해보자면, 1m짜리 책장이 있고, 다른 직업들은 20cm책 5권을 넣던, 1m짜리 책 1권을 넣던, 50cm짜리 책 2권을 넣던, 1m에 딱 맞는 느낌입니다.
다만, 아란의 경우 30cm짜리 책이 3권 있어서, 어떻게 넣어도 10cm가 비는 상황입니다.
이를 그냥 30cm짜리 책 3권을 넣어서, 책이 넘어질 수도, 빈 공간이 있어서 옮기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이 10cm의 공간 사이에 뭔가 책 받침대 등을 세워넣어서 꽉 맞춰서 채워넣을 수도 있죠.
제가 이번에 제시한 극딜 구조도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책장에 책만 1m들어있는 것이 가장 예쁘겠지만, 안된다면 책만 놔둬야하는 책 우선파, 책 이외의 물건이 들어가더라도 책을 흔들리지 않게 책장을 꽉 채우는게 중요한 책장꽉꽉파
저는 이제 책장꽉꽉파인 것이고, 만약 이 글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책 우선파라고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심지어 어떻게 보면 책 받침대도 아니고, 뭐 이상한 장식같은 것을 끼워 넣어서라고 채우려는 꽉꽉파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현 시점 아란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이 남은 10cm를 받아내는 것이고, 심지어 사이즈가 다른 3권의 책의 사이즈를 어떻게든 다른 책으로 교환해서 똑같은 사이즈의 예쁜 책 3권으로 다시 받아내는 것일 것입니다.
부족한 점이 많은 글일텐데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좋은 직업까지는 아니더라도 좋으니, 아란이 제발 다시 플레이는 할 수 있는 직업으로 돌아와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다들 즐거운 메이플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