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패시브 어빌과 보공 어빌중 뭐가 낫냐는 질문글이 자주 보여서 쓰게 된 글입니다.
나제불님의 최신 DPM표에서도 기존 기준과 달리 어빌 첫 줄 패시브+1렙을 챙겼는데,
패시브+1렙의 효율을 직접 계산해서 보총합이 어느 정도일 때부터 패시브가 우위에 서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 5줄요약이 있으니까 장문과 계산에 겁먹지 마세요 ★☆○
키네시스는 기본 크확 45%로, 어지간한 스펙에서는 아랫줄 크확을 챙기게 됩니다.
그래서, 패시브 1렙일때와 보공 20%일때 각각 채택하게 되는 어빌은 다음과 같습니다.
패시브 1레벨 + 보공 10% + 크확 VS 보공 20% + 상추뎀 8% + 크확
크확은 공통사항이므로, 둘 간의 비교는 사실상 다음과 같습니다.
보공과 상추뎀은 보스전 기준 데미지%로 바뀌므로, 더 간단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패시브 1레벨 + 데미지 10% VS 데미지 28%
데미지 10%가 공통적으로 있으므로 데미지를 10%씩 빼면,
계산상 패시브 1레벨로 인한 이득 VS 데미지 18%의 비교가 되겠네요.
→ 좌·우 어빌에서 데미지 10%가 가지는 무게가 다르기 때문에(보공 수치가 높은 구간에서의 데미지 10%와 조금이라도 낮은 구간에서의 데미지 10%의 증가분은 다르기 때문) 이렇게 계산할 경우 패시브 어빌에 대한 저평가가 발생합니다. 이에 따라 결과값도 달라지게 되어, 수정한 결과를 작성하였습니다. (2021-08-18 / 18:31:40 수정)
먼저 우리는 두 어빌이 적용되기 이전 캐릭터의 데미지%를 x(데미지+보공 : 보총합)+100(기본수치)으로 두고, 패시브 1레벨로 인한 상승치가 최종뎀 몇 %에 해당하는지 계산할 것입니다.
그리고, 보공 어빌일때의 데미지 상승치 또한 최종뎀으로 변환하여 두 어빌의 최종뎀이 어느 지점에서 같아지고, 어느 지점에서 패시브가 더 커지는지 비교할 것입니다.
PART I : 패시브 스킬 +1레벨 어빌리티의 효율 계산
기본적으로 키네시스는 4차 패시브 스킬에 최종뎀, 크뎀 등이 많아 스킬 레벨을 올리는 쓸만한 컴뱃 오더스, 어빌리티 패시브 스킬 +1레벨 등의 효율이 좋습니다 - 당연히 사용하여야 하므로, 쓸컴뱃을 뺀 상태에서 계산할 수는 없습니다. 게다가, 싸이킥 그랩 2이 패시브이며, 싸이킥 샷이 싸이킥 그랩 2의 레벨을 따라가기 때문에 패시브 어빌로 주력기의 퍼뎀이 추가적으로 상승하게 됩니다.
이제 천천히 패시브 어빌의 상승치를 계산해 봅시다.
쓸컴뱃이 적용된 상태에서 패시브 +1레벨로 인한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ESP 배틀 오더 : 마력 2 ( 계산상 무시 ), 데미지 1%
정신집중 - 유지 : 버프 지속시간 21% -> 22% ( 계산상 무시 )
전달 : 방어율 무시 26% -> 27% ( 계산상 무시 )
[ * 마력 2와 방무, 벞지의 경우 스펙 수준에 따라, 템셋팅에 따라서 효율이 전부 다르므로 계산에서 무시했습니다. 이를 감안하면, 패시브 어빌이 아래 계산된 것보다 실제로는 살짝 더 성능이 좋습니다. ]
싸이킥 그랩 2 : 퍼뎀 474% -> 478%
싸이킥 샷 : 퍼뎀 303% -> 306%
각성 : 최종 데미지 31% -> 32%, 얼티메이트 스킬의 크뎀 21% -> 22%
숙달 : 숙련도 92% -> 94%, 크뎀 11% -> 12%
이 때 데미지 1%는 앞서 어빌끼리 공통인 데미지 10%를 제외했듯이 두 어빌에서 동시에 제외할 수 있습니다. 즉, 패시브로 인한 다른 딜 상승과 데미지 17%의 상승분의 비교가 되겠네요.
→ 두 어빌의 뎀% 수치가 다르므로 동일한 데미지 1%가 아니기에, 공통으로 빼면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를 보정하여 PART II의 계산에서 데미지 계산을 추가하여 적용하였습니다. (2021-08-18 / 18:31:40 수정)
먼저 다른 딜 상승 요소들을 차근차근 적용시켜 봅시다.
==================================================
패시브 어빌 효율 계산 STEP 1. 샷과 그랩의 퍼뎀 증가로 인한 데미지 상승
[ * 편의를 위해, 결과값은 소숫점 세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였습니다. ]
싸이킥 그랩의 퍼뎀 증가 : 478/474 = 싸이킥 그랩(싸이킥 스매싱)의 최종 데미지 0.84% 증가.
싸이킥 샷의 퍼뎀 증가 : 306/303 = 싸이킥 샷의 최종 데미지 0.99% 증가.
특정 스킬의 데미지만 상승하므로, 두 스킬이 가지는 점유율을 알아보아야 합니다.
가장 신뢰도 있는 딜 점유율 자료를 고민하다, 가장 대중성이 있다고 여겨지는 기준인 나제불님의 최신 DPM상 자료를 이용하기로 했습니다.
(자료출처 : 나제불님 블로그, https://blog.naver.com/oe135/222448106678)
계산의 편의를 위해, 총 딜량이 100이며 각각 %값만큼 데미지를 넣은 것으로 생각하겠습니다.
해당 자료에서 싸이킥 스매싱과 싸이킥 샷이 위에서 계산한 값만큼 증가합니다.
싸이킥 그랩 : 17.03 * 1.0084-> 17.17
싸이킥 샷 : 5.14 * 1.0099 -> 5.19
STEP 1을 마친 총 딜량 : 100 -> 100.19
[ * 알아둘 점 1 : 싸이킥 그랩과 싸이킥 샷의 점유율에 따라 패시브+1로 인한 변화량이 달라집니다. 즉, 그랩과 샷의 점유율이 높아질수록 패시브+1의 효율이 좋아집니다. 그리고, 기준으로 정한 나제불님의 DPM에서 샷은 15초마다 디버프를 묻히기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샷 사이클을 사용하는 경우 샷의 점유율이 더 높아집니다. ]
==================================================
패시브 어빌 효율 계산 STEP 2. 크리티컬 데미지 증가로 인한 데미지 상승
크리티컬 데미지% 상승으로 인한 데미지 상승률을 계산하기 위해선, 적용하기 전 기준이 될 크리티컬 데미지%를 정해야 합니다.
키네시스 기준 상시적용이 가능한 크리티컬 데미지% 스텟은 다음과 같습니다.
링크스킬 판단 : 4%
3차스킬 정교 : 20%
4차스킬 숙달 : 10% ( 추가 1렙당 +1%p )
4차스킬 각성 : 얼티메이트 스킬만 20% ( 추가 1렙당 +1%p )
쓸만한 샤프 아이즈 : 8%
유니온 SS 은월 공격대원 효과 : 5%
하이퍼 스텟 : 10% ( 10렙 기준, 추가 1렙당 +1%p )
[유니온 6천 이상]유니온 크리티컬 데미지 점령효과 : 20%
[레전더리]장갑 윗잠 크리티컬 데미지 옵션 : 8%
[몬스터라이프]쁘띠 힐라 : 2%
[ * 어빌 두 줄의 최대 옵션을 뽑을 수 있는 유저를 위한 분석이므로, 유니온 6천 이상, 크뎀 한줄, 몬라까지 챙긴 스펙을 기준으로 잡았습니다. 이 이하의 스펙에 대해서는 아래 알아둘 점에서 언급을 해 두었습니다. ]
즉, 쓸만한 컴뱃 오더스만 사용한 기준 : 스텟창 표기 크리티컬 데미지 88%, 얼티메이트 스킬 109%
쓸만한 컴뱃 오더스에 어빌 패시브를 합친 기준 : 스텟창 표기 크리티컬 데미지 89%, 얼티메이트 스킬 111%
4차 패시브 스킬 각성의 얼티메이트 스킬 크뎀증가로 인해 얼티메이트 스킬과 비 얼티메이트 스킬의 크뎀 증가치가 다릅니다. 즉, 각각 따로 계산해줘야 합니다.
앞서 STEP 1에서 계산을 마친 결과값을 가져오면,
비 얼티메이트 스킬 : 17.17(그랩)+10.34(로오그)+3.99(토네이도)+3.10(텔키)+3.07(드레인)+1.93(이여축)+0.89(브레이크)+0.77(스인미)+0.31(에버싸이킥)+0.04(그라운드)=41.61
얼티메이트 스킬 : 14.79(BPM)+14.51(무빙매터)+13.78(메테)+10.31(트레인)+5.19(샷)=58.58
크리티컬 데미지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120% + 크뎀% ~ 150% + 크뎀%) 범위에서 난수 결정.
정확한 난수공식을 모르지만, 일반적으로 추정하기를 정규분포의 형태를 띨 것으로 예상합니다 : 평균값(데미지 기댓값)은 135% + 크뎀%입니다.
비 얼티메이트 스킬의 경우 : 크뎀 88% -> 89%, 이는 곧 135 + 89 / 135 + 88 만큼의 최종뎀 상승으로 계산됩니다. ( 최종뎀 0.45% 효과 ) -> 41.61 * 1.0045 = 41.80
얼티메이트 스킬의 경우 : 크뎀 109% -> 111%, 이는 곧 135 + 111 / 135 + 109 만큼의 최종뎀 상승으로 계산됩니다. ( 최종뎀 0.82% 효과 ) -> 58.58 * 1.0082 = 59.06
STEP 2를 마친 총 딜량 : 41.80 + 59.06 = 100.86
[ * 알아둘 점 2 : 크뎀 계산식을 잘 살펴보면, 135+크뎀+(1 or 2) / 135+크뎀 형태입니다. 분모 분자를 잘 정리하면 이 식은 1 + [ (1 or 2) / 135+크뎀 ]으로, 크뎀이 높아질수록 패시브로 인한 최종뎀 증가율은 낮아집니다. 그런데, 기준 스펙으로 잡은 수치가 크뎀장갑, 유니온6천이상, 몬라 쁘띠힐라까지 챙긴 상당히 높은 수치이므로, 크뎀이 해당 수치보다 낮은 대다수의 유저들은 여기서 계산된 것보다 패시브 어빌의 효율이 더 좋습니다. 기준 크뎀보다 높은 경우, 즉 쌍크뎀 이상의 장갑/칠흑 세트효과를 받을 정도의 헤비 유저의 경우는 아래에 따로 언급해 두었습니다. ]
[ * 알아둘 점 3 : 비 얼티메이트 스킬의 경우 패시브로 인한 크뎀 상승치가 1%, 얼티메이트 스킬의 경우 패시브로 인한 크뎀 상승치가 2%입니다. 즉, 얼티메이트 스킬이 패시브로 인한 증가폭이 더 큽니다. 다시 말해, 얼티메이트 스킬의 딜 점유율이 더 높은 경우 여기서 계산된 것보다 패시브 어빌의 효율이 더 좋습니다. ]
==================================================
패시브 어빌 효율 계산 STEP 3. 최종뎀 증가와 숙련도 증가로 인한 데미지 상승
최종 데미지가 31% -> 32%로 변하는 것은, 132/131 = 최종데미지 0.76%에 해당하는 증가입니다.
또한 숙련도가 92%에서 94%로 증가합니다.
스텟 공격력 공식에서, 뒷스공 * 숙련도%가 앞스공이 되므로, 스텟 공격력이 0.92 ~ 1.00 -> 0.94 ~ 1.00이 되는 것이죠.
데미지 공식에 따르면 앞스공과 뒷스공 범위 내의 값을 난수로 뽑아 쓰는데, 난수공식을 정확하게 모르나 크리티컬 데미지의 난수와 같이 일반적으로 추정하기를 정규분포의 형태를 쓸 것으로 예상합니다 : 평균값(데미지 기댓값)은 숙련도% + 100% / 2 가 됩니다.
즉, 평균 데미지가 0.96 -> 0.97이 되는 셈이죠. 0.97/0.96 = 최종데미지 1.04%에 해당하는 증가입니다.
STEP 2까지 계산한 값에 최종 데미지와 숙련도로 인한 변동을 적용해 줍시다.
-> 100.86 * 1.0076 * 1.0104 = 102.68
처음 설정한 기준 딜량 100이 패시브 어빌로 인해 102.68이 되었습니다. 이는 최종뎀 2.68%에 해당하는 증가입니다.
==================================================
PART II : 패시브 어빌이 더 좋아지는 보총합 값 계산
앞서 얘기했듯, 두 어빌리티의 비교는 패시브로 인한 이득과 데미지 17%로 인한 이득의 비교가 됩니다. 각각 최종뎀으로 환산하여 비교하기로 했었죠.
패시브로 인한 최종뎀 증가치 2.68%를 얻었습니다. 이제 데미지 17%를 최종 데미지로 환산하여 비교해 봅시다.
우리가 원하는 범위는 패시브 1렙 어빌이 보공 20% 어빌을 넘어서는 것(부등호 방향이 결정됨)이죠. 이 때의 캐릭터에 적용되는 데미지%+보공%의 합(보총합)을 x, 그리고 기본값 100%을 포함하여 부등식을 세워 봅시다.
→ 보다 정확한 비교를 위해, 데미지% 연산을 추가하였습니다. 패시브 어빌의 경우 STEP 1,2,3에서 계산한 최종뎀 값에 보공 10%와 패시브로 인한 데미지 1%를 더한, 데미지 11%만큼의 증가분의 곱이 결과가 되고, 보공 어빌의 경우 보공 20%와 상추뎀 8%로 인한 데미지 28%만큼의 증가분이 됩니다. 우리가 원하는 범위는 패시브 1렙 어빌이 보공 20% 어빌을 넘어서는 것(부등호 방향 결정됨)입니다. 이에 따라 캐릭터에 적용되는 데미지%+보공%의 합(보총합)을 x, 그리고 기본값 100%을 포함해 보총합%에 따른 각각의 최종 데미지 간의 부등식을 세워 봅시다. (2021-08-18 / 18:31:40 수정)
왼쪽 식에서 1.0268은 패시브 어빌로 인한 최종뎀 2.68%을 반영한 것, 그리고 그 오른쪽의 분수항들은 각각 어빌에서 데미지% 증가로 인한 증가분을 나타낸 것입니다. 사실 x와 100은 데미지 항으로 한 몸인데, x+100으로 적어놓으니 식이 굉장히 답답합니다. 총괄 데미지%를 y=x+100으로 치환하여 식을 깔끔하게 나타내 줍시다.
분수식이 나타났습니다. 공통분모가 y이며, y는 반드시 양수이므로 부등호 방향의 변화 없이 양 변에 y를 곱하여 없애줄 수 있습니다.
이제 훨씬 보기 쉽습니다. 식을 전개해 봅시다.
간단한 일차식입니다. y에 대해 정리해 줍시다.
이때 경계값에 해당하는(등식이 성립하는) y의 값은 634.33. y=100+x이므로, 캐릭터에 적용된 데미지%와 보공%의 합인 보총합 x는 534.33이 됩니다. (어빌리티로 인한 값을 제외한)보총합이 534보다 커지면 패시브 어빌이 보공 어빌보다 좋고, 더 작다면 보공 어빌이 패시브 어빌보다 좋다는 결론이 도출됐습니다.
→ 데미지 식에 대한 수정에 의해, 등식이 성립하는 y의 값은 623.33으로 변했습니다. y=100+x이므로, 캐릭터에 적용된 데미지%와 보공%의 합인 보총합 x는 523.33이 됩니다. (어빌리티 값을 제외한)보총합이 523보다 커지면 패시브 어빌이 보공 어빌보다 좋고, 더 작다면 보공 어빌이 패시브 어빌보다 좋다는 결론이 도출됐습니다. (2021-08-18 / 18:31:40 수정)
여기저기서 떠도는 얘기로는 보총합 500 혹은 550정도에서 패시브가 보공 어빌을 이긴다고 했는데, 비슷한 결과를 얻었습니다. 레벨이 높아 하이퍼 스텟이 충분히 높고, 유니온 링크 몬라 등 외부스펙 또한 잘 챙겼고, 무기보조에 보보마를 챙겼다면 아마 마을 스텟창의 보총합이 저 정도 값에 도달할 거에요.
그런데... 이게 다일까요? 다들 아는 결과에, 다들 아는 결론을 내놓을 생각으로 이 글을 쓴 건 아니겠죠?
PART III : 많이들 놓치고 있는 몇 가지 사실
첫 번째. 다들 보총합을 마을 스텟창 기준으로 생각합니다.
키네시스 게시판에 올라오는 패시브 어빌에 대한 질문글들이 꽤 많죠? 마을에서의 스텟창 스샷을 올려서, 이 정도 스펙이면 패시브 스킬 +1 어빌이 더 좋냐고 질문하는 글들을 꽤 많이 봐왔습니다.
그런데, 캐릭터가 적용받고 있는 모든 보총합이 다 스텟창에 표기된 게 아니고, 숨어있는 뎀퍼가 있다는 거죠.
당장 보스전에서 필수 링크로 꼽히는 모험가 법사의 링크는 데미지 9% 방무 9%지만, 스텟창에 표기되는 형식이 아닌 디버프가 붙는 형식이죠.
이러한 마을 스텟창에서 표기되지 않을 데미지 %를 꼽자면(앞서 서술한 나제불DPM의 스펙기준 이용)
모험가 마법사 링크(디버프 9%), 모험가 도적 링크(가동률 반영 9%), 엔젤릭버스터 링크(가동률 반영 5%), 카데나 링크(조건부 12%), 와일드헌터 유니온 공격대원 효과(확률 반영 3.2%), 그리고 하이퍼스킬의 싸이킥 그랩-리인포스(그랩에만 20%)
이렇게 기본적으로 숨어있는 데미지%가 대략 40%정도 나옵니다. 이 값을 감안하면, 위에서 계산한 520%정도의 보총합이 아닌, 마을 스텟창 기준으로는 480%정도의 보총합에서 패시브 어빌이 보공 어빌을 이기는 것이죠.
마을에서 딱 스텟창을 켰을때 나오는 보총합이 아닌, 실제로 보스전에서 적용될 데미지%를 모두 감안해야 한다는 겁니다. 그리고, 이렇게 숨어있는 데미지%가 생각보다 많다는 거에요.
[ * 실제로 숨은 데미지%가 어느 정도인진 여러분들 캐릭터의 세팅에 따라 다르므로, 직접 계산해 보시는게 가장 정확하긴 하지만 엔버 링크가 가동률 비례로 저평가되었다는 점(벞지가 적용되는 것을 무시하였고, 극딜 타이밍에 사용되는 것 또한 무시하였습니다.)을 포함해서, 정상적인 세팅이라면 아무리 낮게 쳐도 40%는 나올 거라는 최소한의 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두 번째. 실전에선 도핑이 추가됩니다.
STEP 2의 계산 과정에서 알 수 있듯, 캐릭터가 가진 크리티컬 데미지%가 높을수록 패시브 1렙으로 인한 크리티컬 데미지의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아직 우리가 챙기지 않은 도핑인 장비제작 명장 도핑 5%, 노블 크뎀 30%. 아예 극한으로 땡겨서, 하이퍼스텟 크뎀을 15렙까지 찍어 5%를 추가해서 STEP 1~4를 한 번 더 계산해 봅시다. ( 아마 은월 250레벨을 달성하지 않는 이상, 파티 버프의 도움을 받지 않고 키네시스가 찍을 수 있는 최고수치의 크뎀일겁니다. )
비얼티메이트 스킬의 경우 : 크뎀 128% -> 129%, 135+129/135+128 = 최종뎀 0.38%에 해당 -> 41.61*1.0038=41.77
얼티메이트 스킬의 경우 : 크뎀 149% -> 151%, 135+151/135+149 = 최종뎀 0.70%에 해당 -> 58.58*1.0070=58.99
STEP 2를 마친 총 딜량 : 41.77 + 58.99 = 100.76
STEP 3를 마친 총 딜량 : 100.76 * 1.0076 * 1.0104 = 102.58, 최종뎀 2.58%에 해당하는 증가입니다. ( 도핑으로 크뎀을 챙기기 전 값이 2.68%였습니다. 예상대로 크뎀이 증가하자 패시브1렙의 효율이 떨어지는 모습이 나타납니다. )
앞서 PART II에서 구한 부등식을 다시 빌려와서 적용하면,
만족하는 y의 값은 658.91, 즉 보총합이 558%일 때 패시브 어빌이 보공 어빌을 넘어선다는 계산이 됩니다.
→ 빌려온 식이 수정되었습니다. 만족하는 y값은 647.49, 즉 보총합이 548%일 때부터 패시브 어빌이 보공 어빌을 넘어선다는 뜻입니다. (2021-08-18 / 18:31:40 수정)
예상대로 크뎀이 상승하자, 패시브 어빌의 효율이 떨어져서 패시브가 보공을 이기는 보총합 값이 더욱 높아졌네요.
그러나, 도핑에는 크뎀 도핑만 있는게 아니죠. 당장 도핑의 기본인 반빨별/고보킬만 해도 뎀퍼 20%가 있으며, 노블 스킬은 무려 60%의 뎀퍼를 줍니다. 이 80%를 감안하면 기준 보총합은 468%로 떨어집니다. 도핑으로 얻을 수 있는 뎀퍼가 많기 때문에, PART II에서 계산으로 제시한 523%보다도 떨어지는 값이 됩니다. 여기에 앞서 얘기한 숨어있는 데미지 40%정도를 감안하면, 마을 스텟창 보총합 428% 지점에서 패시브가 보공어빌을 이기는 셈이죠. 세팅이 제대로 된 상황이라면, 1앜 2카 5앱 세팅 기준으로 무기/보조의 잠재에서 보공을 세 줄 정도만 챙기면 이 지점을 넘어섭니다.
그리고, 실전에는 솔격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파티 버프 중에 널리고 널린 것이 데미지%죠. 히어로, 메르조차도 데미지%를 증가시키는 파티유틸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상, 무기 보조 모두 보보마를 쓰시는 분들이라면 더 생각할 것도 없이 패시브 어빌이 보공 어빌보다 셉니다.
세 번째. 어빌 셋째줄이 크확이어야 할까요?
처음 시작할 때, "어지간한 스펙에서" 키네는 어빌 크확이 필요하므로, 비교대상이 될 어빌을 패시브+보공+크확 VS 보공+상추뎀+크확으로 잡았었죠. 왜 굳이 어지간한 스펙에서라는 말을 썼을까요? 키네시스의 크리티컬 확률을 생각해 봅시다.
키네시스의 기본 크확은 45%.
하이퍼 스탯 10레벨로 얻을 수 있는 크확 15%.
쓸만한 샤프 아이즈로 인한 크확 10%.
유니온 SS 신궁, 나로 점령대원 효과 8%.
몬스터라이프 8%(쉬움)~15%(최대).
위소울, 링크스킬, 도핑 등 다른 것을 희생하지 않고 얻을 수 있는 키네시스의 크확은 86~93%입니다. 이 상황에서 100%를 달성하려면, 반지 하나를 크리티컬 링을 착용하던지, 다른 요소를 희생해야 하기에 어빌에서 크확을 챙긴 거였죠. 그런데, 유니온 8천레벨을 달성한다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유니온 8천레벨, 그랜드 마스터 1단계에서 배치할 수 있는 캐릭터는 36개. 36개의 SS 캐릭터, 그리고 1개의 메이플 M SS 캐릭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
배치를 통해 점령할 수 있는 칸 수는 148칸. 크뎀에 40칸, 보공에 40칸, 방무에 40칸을 투자하면 28칸이 남고, 이 중 12칸은 사이 공간을 연결하는 데 사용하고 남은 칸 수는 16칸입니다.
이 남은 칸수를 크확에 둔다면 링크 등을 포기하는 일 없이 크확 100%가 반드시 달성됩니다.
어빌 얘기로 돌아와서, 이렇게 되면 어빌 셋째줄이 크확이 아니어도 됩니다. 즉, 각각 어빌에서 최상옵은 마지막 줄에 크확이 아닌 다른 옵션이 붙은 것이 되죠.
패시브와 보공의 최상옵을 뽑으면,
패시브 1렙 + 보공 10% + 상추뎀 8% VS 보공 20% + 상추뎀 8% + @(메획/아획 등 유틸옵..?)
데미지 차이가 변하여, 패시브 1렙으로 인한 상승률 VS 데미지 10%로 인한 상승률의 비교가 됩니다.
PART II에서 했던 계산과 비슷하게 해 봅시다. 왼쪽 어빌의 최종뎀 상승치는 패시브 1렙으로 인한 상승률 * 데미지 19%로 인한 상승률이 되고, 오른쪽 어빌은 데미지 28%로 인한 상승률이 됩니다.
식을 정리하는 과정은 PART II와 같으므로, 생략하고 y에 대한 부등식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등식이 성립하는 y값은 316.82, 즉 보총합 216.82에서 패시브 1렙 어빌이 보공 어빌을 넘어서게 됩니다. 사실상 패시브 + 보공 + 상추뎀이 보공 + 상추뎀보다 무조건 세다고 보시면 됩니다. (2021-08-18 / 18:31:40 수정)
앞서 크뎀이 더욱 높아지는 극스펙에 대해서 잠시 언급했었는데, 쌍크뎀장갑, 칠흑셋 등을 고려하는(혹은 이미 소유하고 있는) 무한자본가라면 당연히 유니온 8천도 챙길 것이고, 크뎀 효율을 계산할 것도 없이 패시브+보공+상추뎀이 최고의 데미지 포텐셜을 가집니다.
-
○☆★ 기다리고 기다리시던 5줄 요약 ★☆○
1. 보공 어빌 대비 패시브 레벨 +1 어빌리티의 효율은 주로 데미지 점유율과 크리티컬 데미지% 수치에 영향을 받는다.
2. 크리티컬 데미지가 꽤나 높은 유저 기준, 일반적으로 알려진 대로 보총합 523%쯤에서 패시브 1렙이 보공 20%를 넘어선다.
3. 그러나, 숨어있는 데미지%들과 실전 상황의 도핑으로 인해 실제로는 마을 보총합 430%쯤에서 패시브 1렙이 보공 20%를 넘어선다. 파티버프 중에서도 뎀퍼가 제일 흔해서 파티플 기준으로는 기준점이 더 낮아진다.
( 대략적으로 스펙을 제시하자면, 유니온·링크·몬라가 챙겨졌을 때, 무기류 윗잠 보공 3줄 정도로 기준점을 넘는다. )
4. 크뎀이 낮을수록, 얼티메이트 스킬의 딜 점유율이 높을수록 패시브1렙의 효율이 높아진다. 3번의 보총합 430%라는 기준은 크뎀을 빡세게 챙긴 기준이므로, 크뎀이 낮다면 저것보다 낮은 지점에서 패시브1렙이 보공20%를 넘어선다.
5. 유니온 8천 이상이라면 딜 어빌 종결은 무조건 패시브1렙 + 보공10% + 상추뎀 8%. 근데 키네는 광부잖아? 아메획 쓰십시오....
-> 결론 : 마을에서 스텟창 켰을 때 데미지% + 보스 공격시 데미지% 합이 430%를 넘었을 때부터 패시브가 더 세다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 계산 과정을 천천히 읽어보면 알겠지만, 그랩, 샷 퍼뎀 증가와 얼티메이트 스킬 크뎀 증가로 인한 딜 상승량을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딜 점유율에 따른 계산을 거쳐야 합니다. 그랩과 샷의 비중이 어떻게 되느냐, 그리고 얼티메이트 스킬과 비 얼티메이트 스킬의 비중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효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 보통 샷과 얼티메이트 스킬의 비중이 DPM기준보단 높으므로, 계산된 값보다 효율이 더 높은 경우가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
※ 넘어선다라는 표현에 속지 마세요. 아주 극단적인 예시로, 마을 스텟창 보총합이 500%에 도달한 유니온 8천 기준으로도 패시브+보공+상추뎀과 보공+상추뎀의 차이는 최종뎀 1.5% 수준입니다.
기준 보총합을 조금 넘은 수준이라면 0.n%대 차이가 날겁니다. 애초에 기준으로 세운 보총합이 두 어빌의 데미지가 같아지는 지점이에요.. 거기서 보총합이 늘어날수록 패시브 어빌이 아주 조금씩 더 세지는 형태입니다. 기준점을 넘었다고 패시브가 보공을 압도한다는 소리가 아닙니다.
※ 뭔가 글 뉘앙스는 패시브 좋음 패시브 하셈 이런 느낌이 됐는데.. 개인적으로, 먼저 깔끔하게 뜬 어빌을 쓰는게 맞지않나 싶습니다. 첫줄 보공 20%나 아랫줄 보공 10% 상추뎀 8% 전부 최상옵인데, 최상옵이 뉘집 개이름도 아니고 말이죠. 스펙업을 하다보면 언젠가는 반드시 패시브가 보공을 넘어서지만, 그 차이가 극단적이지도 않고, 그 확률이 만만치도 않습니다. 보공이 먼저 뜬다면 나중에 여유 될 때나 패시브로 옮기면 되니 그냥 쓰시면 되고, 패시브가 먼저 뜬다면 스펙 올리면 보공보다 좋아지니까 그냥 쓰시면 됩니다.
※ 숙련도로 인한 난수와 크리티컬 데미지로 인한 난수가 정규분포를 띨 것으로 예상했는데, 아닐 수도 있습니다. 제가 모르는 부분이라 ㅎㅎ; ㅋㅋ.. ㅈㅅ!
※ 계산 과정에서 어떠한 실수가 있었을지 모릅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너무 오류가 많으면 글삭튀할수도 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2021-08-18 / 18:31:40 수정)으로 계산과정의 데미지% 관련 문제를 바로잡았습니다. 수정 이전보다 패시브+1렙 어빌의 효율이 살짝 더 좋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키 네 좋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