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부터 말하자면 트랜지션 어썰트가 더 효율적이다.
하지만 근소한 차이라 편의성이나 계산에 포함되지 않은 조건들을 생각하면 문양 고정을 하고 블디로 저주 중첩하는게 더 낫다고 생각한다.
---------------------------------------------------
[1] 계산에 쓰인 조건들
콤보 어썰트 딜레이: 600ms
블디 1사이클 딜레이: 450ms
카디널 포스 - 에디셔널 인핸스로 인한 에디셔널 블디 발동확률과 저주 디버프 중첩확률은 단리라고 가정.
이 경우 두 확률은 둘 다 50%
->블디 시전시 편의상 1사이클당 저주 1스택으로 가정
이처리의 인챈트/에인션트 포스 최종뎀10%, 보공50%증가를 편의상 해당 스킬의 최종뎀 20% 증가로 취급
블디 1사이클 딜량: 8603%
(블 3600% 디 3600% 에디블 660% 에디차 743%)
콤보 어썰트(T) 딜량: 약 9000%
레조넌스 딜량(저주5중첩 기준): 약 9500%
크리티컬시 기본 데미지 평균 135%
스탯창 크뎀 90% + 노블스킬 크뎀 30%
저주 0중첩시 크리티컬 딜 255%
저주 5중첩시 크리티컬 딜 275%
---------------------------------------------------
[2] 조건에 따른 딜사이클 별 딜량
(1) 문양 고정시 딜사이클
트랜지션 - 블디 4회 - 레조넌스 이후 블디레조 반복
(2) 문양 미고정시 딜사이클
트랜지션 - 어썰트 - 레조넌스로 시작 후 블디레조 반복
* 처음에 트랜지션을 사용하는 이유
-> 무릉에서 몹 소환 위치로 이동하기 위함
동일한 트랜지션 시작 부분을 제외하면
(1) 문양 고정시 첫 블디 4회 + 레조넌스 까지 딜량:
저주1중첩 블디: 8063% * ( 259/255 )
저주2중첩 블디: 8063% * ( 263/255 )
저주3중첩 블디: 8063% * ( 267/255 )
저주4중첩 블디: 8063% * ( 271/255 )
저주5중첩 레조: 9500% * ( 275/255 )
<총합 43761%, 딜레이 1800ms>
(2) 문양 미고정시 어썰트 + 레조넌스 딜량:
( 9000% + 9500% ) * ( 275/255 )
총합 19950%, 딜레이 600ms
블디레조 사이클의 dps로 1200ms 딜량을 보정
(블디5회당1레조 사용시 23876%/s)
<1800ms 시점에서 딜 포텐셜은 48601%>
---------------------------------------------------
[3] 결론 및 제언
트랜지션 어썰트로 저주를 쌓고 딜사이클을 시작하는 방식이나, 블디로 저주를 쌓고 딜사이클을 시작하는 방법 둘 사이의 큰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
다만 위 계산에서는 크리티컬 리인포스 사용 여부나, 최근 패치로 에디셔널 트랜지션의 고대의 저주 디버프 중첩 조건이 바뀌면서 인챈트 포스 사용시에도 저주 중첩이 쌓인다는 점 등이 누락되어있다.
제일 좋은 방법은 배리어, 언바운드가 사용되는 층에서는 인챈트 포스 블래스트 모드를 미리 설정하고 들어가고, 다른 층에서는 해제하는 방법이겠지만
무릉에서는 빌드를 최대한 단순하게 만들어 실수할 부분을 없애는게 좋기 떄문에 문양을 고정하는 방식이 낫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