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수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패스파인더] 답답해서 키보드 레지스트리 원리 + 하는 방법 설명해 줌(장문)

Sb2
댓글: 15 개
조회: 5280
추천: 5
2025-04-12 11:00:59
시작하기에 앞서

내가 하는 행동이 무엇인지, 어떤 목적인지 명확히 알고
어떤 작업이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 지 이해하려 노력합시다

-----

1. 키보드 레지스트리 설정을 해야하는 이유

키보드 설정을 건드리지 않은 상태에서 키보드의 한 키를 꾹 누르면
첫 키가 입력된 후 약간의 딜레이(A) 후에
일정한 속도로 반복(B)하여 키가 입력됨을 알 수 있음.

제어판의 키보드 속성 탭에 들어가보면
재입력 시간과 반복 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탭이 있을 거임.

여기서,
재입력 시간이 A, 즉 첫 키가 입력된 후의 딜레이를 결정하고
반복 속도가 B, 이후 키가 반복되는 속도를 결정함.

패파 평딜 구조인 블래와 디차는 각각 서로 연계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

블래와 디차의 원래 딜레이는 360 ms ( = 0.36 초, 풀공속 기준 ) 인데,
이 360 ms 는 210 ms + 150 ms 로 나눌 수 있음.
앞의 210 ms 는 고정되어 있는 딜레이이고
뒤의 150 ms 는 연계로 지정된 스킬을 누르면 캔슬이 가능,
아무 키도 누르지 않거나 연계로 지정되지 않은 키를 누르면 그대로 적용됨.

따라서 블래와 디차의 연계 딜레이는 210 ms,
비연계 딜레이는 360 ms 라 할 수 있음.

블디를 함께 사용하는 블디 매크로를 딱 한번만 쓸 경우
블래의 연계 딜레이 210 ms, 디차의 비연계 딜레이 360 ms의 합인 570 ms 가 되며
이는 사냥 시 익숙한 더블점프 블디를 할 때의 실제 딜레이임.
(여타 대부분의 주력기 딜레이는 570 - 600 ms 임을 참고.)

그렇다면 블디 매크로를 꾹 눌러 연계를 계속하면 어떻게 될까?
블디가 모두 연계 딜레이로 적용되어 210 + 210 = 420 ms 가 1블디의 딜레이가 되는 것임.
(실제로는 서버렉 등의 영향을 받아 450 - 480 ms 로 적용됨.)

본 글의 메인 주제인 키보드 레지스트리에 대해 몰랐더라도,
윈도우의 기본 키보드 설정에서 재입력 시간(A), 반복 속도(B)를 각각 최대로 맞춰 놓은 패파라면
블디 꾹 연계에 있어 큰 이질감이나 어색함을 느끼지 않았을 것임.
왜냐하면 윈도우 기본 설정에서의 A 값의 최소치가 500 ms 정도이기 때문.

https://m.inven.co.kr/board/maple/2296/164287

해당 글 참고.

윗글의 작성자는 3번 항목에서 본섭은 딜레이가 없고 테섭의 블디 오토는 딜레이가 생긴다고 했는데
자세히 보면 본섭에서도 둘째 발 이후의 연사와는 다르게 첫 발 직후에는 미세하게 딜레이가 있음을 알 수 있음.

이는 윈도우 기본 세팅에서만 A 값 조정을 했기에 딜레이가 500 ms 로 적용되어,
실제로 완전한 연계 딜레이 캔슬이 가능한 420 ms 보다 느린 타이밍에 키가 재입력되었기 때문임.
다만 실제 적용되는 딜레이인 450 - 480 ms 와 500 ms 가 큰 차이가 없어 잘 체감이 되지 않았을 뿐.

윗글에서 글 작성자가 블디 오토에서만 첫 발 딜레이가 있다고 느낀 이유는
블디 오토는 블디를 각각 단발로 연속해서 쏘는 방식이기에
블래 한 발 쏘고 키가 재입력되어 디차가 발사되는 타이밍이 매크로에 비해 현저히 느려졌기 때문임.
(블디 매크로 : 420 - 450 ms 와 500 ms 의 차이만큼 딜레이 체감
블디 오토 : 210 ms 와 500 ms 의 차이만큼 딜레이 체감)

실제로 두 영상을 동시에 재생하면
본섭의 블디 매크로의 둘째 발 블래가 발사되는 타이밍과
테섭의 블디 오토의 둘째 발 디차가 발사되는 타이밍이
완전히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음.

따라서,
블디 매크로를 딜레이 없이 사용하려면 A 값이 420 ms 보다 작아야 하고,
블디 오토를 딜레이 없이 사용하려면 A 값이 210 ms 보다 작아야 함.

그러나 윈도우의 기본 키보드 세팅으로는 500 ms 가 한계이기 때문에,
원래는 접근성을 위한 도구인 필터 키 설정과 컴퓨터 내부 설정값을 저장하는 레지스트리 편집을 이용하는 것임.

-----

2. 키보드 레지스트리를 설정하는 방법

원래 이 기능은 키보드 이용이 불편한 유저들의 편의를 위해 일정 시간 이내에 실수로 키가 입력되더라도 그걸 무시해주는 역할을 함.
컴퓨터는 이 "실수로 키가 입력된 것을 무시하는 시간"을 레지스트리에 값으로 저장해 둠.

여기서 "실수로 키가 입력된 것을 무시하는 시간"이, 결국 첫 키 이후 딜레이인 A 값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음.

그 말은 필터 키 설정을 켜고 레지스트리를 조정하면 A 값을 유저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는 뜻이 되는 것임.

윈도우 검색 창에서 레지스트리 편집기 검색하고

(컴퓨터 이름)/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Accessibility/Keyboard Response

찾아가서

AutoRepeatDelay << 얘가 A 값
AutoRepeatRate << 얘가 B 값
Flags << 필터 키 사용 여부

이 셋만 건들면 됨.

위에서 설명했듯, A 값은 210 ms 보다 작으면 됨.
너무 작게 설정하면 평소 컴퓨터 사용이 불편해지니 150 미만으로 설정하지 말 것.

B 값은 반복 속도인데, 게이머로서 빨라서 나쁠 것 없으니 1 ms 로 설정.
(사실 30 미만은 자동으로 30 ms 로 적용되는 듯함.)

중요 : 이 설정을 통해 레조 재사용이 여러 번 터졌을 때 한번에 터뜨리는 게 가능함.
레지스트리 세팅을 하는 다른 중요한 이유임.

Flags는 짝수일 경우 필터 키 설정 대신 기본 키보드 세팅을 사용하므로 홀수로 설정.

-----

3. 그 외

키보드 레지스트리 세팅은 외부 프로그램 사용이 아님.
윈도우의 설정 중 하나를 이용할 뿐임.

이 세팅은 키보드 재입력 시간과 관련이 있지, 키보드 반응 속도와는 관련이 없음.

아랫 글에 댓글로 올려주신 유튜브 영상은...

키보드 반응 속도와 재입력 시간이라는 서로 다른 개념을 혼용하여 쓰고 있을 뿐더러,
필터 키와 레지스트리 편집이 어떤 역할인지 잘 이해하고 있지도 않으며,
애초에 너무 비슷한 내용의 레지스트리 편집이 무용이라며 방구석 컴퓨터 전문가들에게 일침 놓는 듯한 블로그 글이 구글 검색만 해도 나와서

레지스트리의 원리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는 유튜버가 그 글의 컨셉부터 내용까지 (아마도 허락 없이) 그대로 베껴 만든 결과물이라
가볍게 무시하셔도 좋을 듯함.

Lv19 Sb2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메이플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