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울링을 쓸 때 텔레포트 몹에 대해서 빗나갈 위험이 있는데 판다석성?과 기둥 사이에서
넓은 곳을 바라보고 사용하면 힘을 모으는 동작과 서펜트는 안맞더라도 정권을 내지르는 동작은 풀히트가 가능합니다
44층과 48층에선 하울링 막타로 컷이 가능하니 젠되기 전에 미리 하울링을 쓰시면 됩니다
50층 원기옥 2방은 쓰기 직전 혼란이 걸릴 수도 있으니 바라보는 방향을 한번 확인하심이 좋습니다
52층 하울링도 몹 나오고 쓰면 2페이즈 석화와 3페이즈 널뛰기를 스킵하고 끝낼 수 있습니다
54층 드래곤 라이더는 종종 밀격을 쓰니 리레에서 벗어나지 않으려면
공격 타이밍 때 제자리, 아랫퓨차를 쓰시면 강제 경직으로 버틸 수 있습니다
56층 이카르트는 뱀파이어 스킬 직후 텔레포트를 할 확률이 굉장히 높으니
눈치보면서 원기옥을 날리시면 됩니다
57층 이리나는 텔레포트를 심하게 사용하지만 벽을 등지고 이리나를 상대하면
무릉 몹은 거의 항상 바라보는 방향으로 텔레포트를 하기 때문에 캐릭터 근처를 벗어나지 않습니다
오른쪽 벽에서 딜하다가 이리나가 멀어지려 하면 바인드를 걸고 원기옥을 날리시면 됩니다
58층에선 크라이시스를 동반한 하울링을 날리는데 오즈가 스봉을 자주 사용하니
하울링을 쓰기 직전 의지를 쓰시거나 실수로 스봉에 걸렸어도 바로 만통을 먹으면 스봉이 해제됩니다
59층 미하일을 잡고 나선 라폼과 하울링 쿨타임이 20초정도 남는데
60층 시그너스를 공반을 보지 않고 넘기기 위해 극딜 버프를 올리고 리레 하울링 다음 바인드를 걸어서
공반을 보기 전에 끝내시면 됩니다
62층에선 메용2 지속시간이 끝나고 바로 메용2를 다시 리필하면 되는데 쿨타임을 보기 어려우면
그냥 입장하고 바로 쓰셔도 됩니다
처음에 제네무적과 리테를 쓰시고 제네무적이 끝날 즈음 바인드를 써서 리테를 이어가시면 됩니다
66층 게오르크는 60층대 몹중에서 유일하게 텔레포트를 하는 몹이니 바인드를 걸고 원기옥을 쓰시면 됩니다
67층에선 제네무적 리테를 쓰고 제네무적이 끝날 즈음 무적비를 써서 리테를 이어가시면 됩니다
타락마족 강화늑대기수는 은근 무빙이 거슬리니, 원기옥을 잘 보고 쓰셔야 합니다
68층 아르마는 체비뎀 50퍼의 공격을 하니 하울링 첫타 때 여차하면 바로 끊을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저는 조금이라도 기록단축을 위해 빌드에 크라이시스를 넣어놨는데, 발동 실패의 도박성이 조금 있는지라
익숙치 않거나 충분히 연습이 되지 않은 경우엔 다른 시드링을 배치하셔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