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화 순위 계산에 필요한 데이터
A. 레벨업시 얻는 실제 데미지 증가량
B. 레벨업시 소모하는 솔 에르다 기운 갯수
Score = A/B = 레벨업 효율
무공 허수아비 6분 사이클 기준 스킬별 점유율
저격 27.48%, 처형 6.16%
융합 18.11%
메가스매셔 17.84%
포톤레이 12.13%
오버로드 모드 2.67%, 미사용구간:충전구간:풀충전 구간 가한데미지 비율 = 36:5:59
아티피셜 에볼루션 5.66%
**참고**
실전보스 듄켈/칼로스 6분 사이클 기준 점유율 또한 계산하여 순위를 매겨보았으나
허수아비 기준으로 도출된 강화 순서와 큰 차이가 없어 따로 본 글에 명시하지 않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각 레벨업당 누적 Score 그래프는 다음과 같습니다.
<figure 1>
X축 : 레벨업시 도달하는 스킬 레벨
Y축 : 해당 레벨업시 Score
모두 1레벨 시작 기준입니다.
일반적으로 생각했을 때,
레벨업시 가장 높은 Score를 얻는 순서대로 나열하면
최적의 강화 순서를 얻을 수 있을거라고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맹점이 있는데, 오버로드 모드와 같이
a) 특정 구간마다 급격하게 효율이 높아지는 구간이 있기 때문에
b) 오버로드 모드 4레벨까지 누적 Score > 융합 or 스매셔 4레벨 Score 임에도 불구하고
c) 융합/스매셔 4레벨 달성을 우선시 하게 됨
이는 결과적으로 오버로드 모드의 초반 효율은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최후순위로 밀리게 되는 결과를 낳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아래와 같이 보정하였습니다.
<figure 2>
X축 : 레벨업시 도달하는 스킬 레벨
Y축 : 해당 레벨업시 Score
모두 1레벨 시작 기준입니다.
오버로드모드, 아티피셜 에볼루션 효율 보정
figure 1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오버로드 모드의 3레벨 구간마다 효율이 급상승 하는 점을 반영하기 위해
3레벨 구간의 효율을 평균내어 적용하여,
b) 오버로드 모드 4레벨까지 누적 Score > 융합 or 스매셔 4레벨 Score 인 경우
c) 융합/스매셔 4레벨 달성을 우선시 하게 됨 오버로드 모드 4레벨 달성을 우선시 함
아티피셜 에볼루션의 경우는 반대로,
d) 10레벨 마다 소모하는 기운의 갯수가 급증하여,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가 있어
e) 포톤 레이의 11~19레벨 Score보다 아티피셜 에볼루션의 11~19레벨 Score가 미세하게 높음에도 불구
f) 아티피셜 에볼루션 9레벨 달성 후 포톤 레이만 레벨업 하는 결과가 도출
d~f의 문제로 인해 10~19레벨 효율을 평균내어 적용하였습니다.
다만 아티피셜 에볼루션의 경우, 11~19레벨 효율이 포톤 레이의 11~19레벨 효율과 비교했을 때
1.025배의 차이밖에 나지 않는 문제로
보정치를 적용하더라도 포톤 레이의 강화순위에 밀리는 결과를 낳게 되었습니다.
3. 기타 보정
이 외에도, 융합/스매셔의 경우 Score가 거의 일치함으로 인한
융합8 - 스매셔8 - 융합10 - 스매셔10
과 같은 괴이한 강화순위를 낳게 되었고 이는 사실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므로
솔플기준/파티기준으로 나누어 둘중 우선시하는 컨텐츠에 따라
10레벨 달성 순위를 개인별로 조정하시라 첨언으로 넣었습니다.
대신 융합9 - 스매셔9 - 융합10 - 스매셔10 과 같이 분할해서 찍는 것 보다
융합9 - 융합10 - 스매셔9 - 스매셔 10 과 같이 몰빵해서 찍는것이 효율이 높습니다.
Python을 통하여 계산하였고 나무위키의 스킬 정보, 헥사스킬 강화비용 등을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