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글은 메이플스토리 팀의 기술 블로그(메이플로그. https://blog.maplestory.nexon.com/) 내 게시글을 인용하였습니다.
출처 : 메이플스토리 비인가 프로그램 방어하기. 메이플로그. https://blog.maplestory.nexon.com/Search/Content/4?page=1&selectType=All&txtSearchWord=%eb%b0%a9%ec%96%b4
게임 산업 종사 희망자 혹은 메이플스토리의 내부적인 내용에 대해 알고 싶은 분들이 읽으면 좋을 듯하여 공유해봅니다.
-----------------------------------------------------------------------------------------------------------------------------------
많은 유저분들께서 거탐 시스템에 대해 동적(Dynamic)으로 파악하고 계시지만, 내부적인 내용(Static)을 명확히 알 지 못하고 있습니다.(사실 해당 내용을 아는 게 더 문제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국내외 IT 기업들은 기술 블로그를 운영하곤 하는데요, 이와 관련된 내용이 메이플스토리 기술 블로그에도 기재되어 있습니다. 다른 내용들도 궁금하시면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LCP(Longest Common Prefix) Algorithm : 여러 문자열 집합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접두사 중 가장 긴 문자열을 찾는 알고리즘
유저 키 입력 등의 정보에 해당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동일한 행동이 반복되는 경우 매크로로 간주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했다고 합니다. 여전히 해당 플레이 패턴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검증하고 있을 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문자 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이나 여타 AI, NLP 등의 분야에서는 한글에 대한 처리 성능이 알파벳에 비해 심히 뒤처집니다. 그렇기에 매크로 유저는 알림이를 통해 거탐을 수동으로 해제하고, 이를 방어하기 위해 거탐 자체를 인식하게 어렵게 만든 것 같습니다. 거탐의 형태가 이상하면 '찍계인가?'하고 생각해볼 수도 있겠네요.
적발 사유 나머지의 80%가 무엇인지(아마 오입력일 듯 합니다), 매크로 유저들이 연결을 끊고 재접속하는 게 어떤 목적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비올레타는 기본적으로 작업장 모니터링 인원이 동시에 풀기 어렵게 하기 위한 방어 시스템입니다.
'거탐, 비올레타 풀었는데 왜 더 오고 더 어려워지냐?' 라는 말이 종종 있는데, 실제로 비올레타를 잘 풀면 난도가 올라갑니다. 난도 조정은 자체적인 시스템으로 판단하는 것 같아요.
시스템에서 지속적으로 매크로/작업장으로 판정하거나 찍계이기 때문에 그러지 않을까 싶습니다. 플레이 패턴이나 플레이 환경을 점검해볼 필요도 있을 것 같네요.
특정 유저의 패킷을 기반으로 이론상 플레이를 재현하는 게 가능하다는 것을 보고, 유챔이 확장되면 내 캐릭터 6개로 하는 펀치킹 같은 게 나오지 않을까 싶었는데 예측에 실패했네요.
찍계라는게 실재한다 이런 의미로 해석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