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줄 요약
메포 공급량은 무한하지 않다.
앞으로 메포 소모 컨텐츠는 늘어날것이다
시장에 메포 공급량이 부족해지면, 가격은 떡락할것이다
우선 무한한 골드 주화가 풀리면 1333으로 수렴하는건 누구나 이해가능하라 보고 넘어갑니다.
여기서 나오는 반박이
무한한 골드 주화가 안 풀린다. 입니다.
이 때문에 가치가 유지된다고 하죠.
또한 우르스때와를 비교하면서,
우르스는 오히려 공짜로 메소를 줬으므로 지금 가격이 더 유지가 잘 될거다.
이 두가지 논리를 가지고 1333원은 도달하지 않는다라고 합니다.
이제 왜, 1333원으로 갈 수밖에 없는지를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1. 골드 주화는 메이플포인트를 소모한다.
1번 때문에 우르스랑은 상황이 많이 다릅니다.
우르스는 메소 그 자체를 제공하는 반면, 주화는 메포를 소모해야만, 메소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우르스 10%, 아즈모스 12%(6%로 하향) 으로, 비율만 비슷하다고 풀리는 메소가 같다고 하면
당연히 맞는 말이지만, 소모되는 메포양은 차원이 다릅니다.
그 메포양을 계산해 봅시다.
https://www.inven.co.kr/board/maple/5974/534862
과거에 어느 분이 계산한 재미로 계산한 매주 풀리는 메소양입니다.
우르스만 본다면, 한달에 23조9190억이라 했는데, 이 때의 우르스가 13.16%의 비율이였으므로, 지금의 아즈모스 또한 메소는 계산 편의를 위해 대략 매달 20조 정도 풀린다고 보면 됩니다.(앞으로는 10조)
중요한 것은, 메포의 소비 양입니다. 액면가가 35,000,000 인 골드 주화가 현재는 대략 50,000,000 으로 엄청 올랐습니다. 그렇다면 골드 재화는 얼마나 소비가 될까요? 바로 20조/50,000,000 = 400,000개/달
즉 400,000개의 골드 재화가 매달 소비가 됩니다.(앞으론 200,000개/1달)
그렇다면, 이를 메포로 환산하면 개당 300메포이므로 120,000,000 메포, 즉 1억 2천만 메포입니다.
(앞으로는 6천만 메포가 매달 쓰일 예정)
(마일리지나 다른 부분에서 얻는 주화는 계산 편의를 위해 제외. 풀리는 골드 주화 대부분이 아즈모스이므로)
즉 메소 풀리는 양은 우르스와 비슷(이제는 더 적음)함에도 불구하고, 매달 메포가 몇천씩 삭제가 되는게 현실입니다.
2. 메포 공급량이 부족해지는 경우
그렇다면, 매달 1억 2천만 메포(6천만메포)가 공급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당연히, 메소 가격이 떡락합니다. 주화를 거래하기 위해 메포를 사야 하는데, 시장에 메포가 없으므로 메소 가치는 하락하고, 이 거래선인 1333까지 떨어지는 것입니다.
이 부분이 우르스와 큰 차이가 있습니다. 우르스는 메포라는 중간 과정이 없으므로, 메포 가격에 영향을 주지 않는데 비해, 아즈모스는 반드시 주화를 써야 하므로, 메포 시장을 반드시 써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서 반박으로, "아니 우르스때는 메포 거래 안했나? 지금도 팔고 그때도 파는거면 뭐가 다르냐?"
라고 하실 수 있는데, 우르스로 번 돈은 물통 거래, 즉, 메포 시세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법으로 판매를 하기 때문에, 즉, 시장 메포 값어치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아즈모스 골드 재화는 무조건, 메포를 거래해야만 메소가 생성되므로 메포 가격 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차이가 조그마하지만 엄청 큰겁니다.
또한, 메포 소비처는 골드 주화만 있는게 아닙니다. 최근 들어 보너스 리워드를 얻기 위해 쓰이는 메이플 포인트도 엄청나게 많은 메포를 소비하게 만듭니다. 이 부분에서도 시장에 있는 메포를 삭제를 시켜버리므로, 시장 메포 공급량은 부족해질 확률이 높습니다.
3. 앞으로 추가적으로 나올 골드 주화 컨텐츠
아즈모스를 사례로 보면, 앞으로 김창섭은 메소를 제공하는 컨텐츠를 주화로 줄 생각이 다분합니다. 왜냐하면 중간에 메포를 무조건 소비해야 하므로, 이는 현금을 메이플에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행위로 공급이 되니까요.
그렇다면, 이후에 나올 컨텐츠에서, 골드 재화를 쓰지 않을거라는 보장은 절대 없습니다. 오히려 권장될 확률이 높죠. 그러면, 언젠가는 2번 조건인, 시장의 메포 공급이 부족해지는 순간이 오면, 1333원까지 수렴하는건 반드시 올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4. 쌀팔이와 메이플의 치킨 레이스
그렇다면 이것이 가져올 영향은 무엇이냐? 바로 현질을 통한 메소 공급이 더 원할해진다는 것입니다.
당장 무조건 물통거래 가격은 메포 가격보다 반드시 싸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기당할 각오를 하고 물통거래를 하지 않을 테니까요. 여기서 메포 가격을 더더욱 낮추게 된다면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굳이 물통거래라는 리스크를 지지 않고, 메이플에 돈을 줘서 메소를 사버리게 되어서, 메이플은 오히려 돈을 더 많이 받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메소 가격이 떡락하더라도 메소를 구매할 때 메이플을 통해 구매하므로, 게임사는 이득이라는 소리입니다.
-------------------------------------------
그럼 1333으로 수렴하는것과 별개로, 이번에 운영진은 어떤 스텐스를 취했느냐?
메소 공급량을 12%->6%으로 줄였습니다.
이는 메소 공급량을 줄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메포 소모량을 줄인겁니다.
매달 메포 소비량보다 공급량이 많으면, 시장 가격은 안정화되지만, 메포 공급량이 부족해지는 순간, 가격을 떡락합니다. 이게 골드 재화의 핵심인데요. 메포 가격이 2000:1 이였는데, 시장의 메포가 다 떨어지면, 1900:1 로 가는게 아닙니다. 왜냐하면 1333:1 까지 가더라도 골드 재화는 이득이기 때문에, 1900:1, 1800:1, ... 1400:1 까지 가더라도 골드 재화를 팔아버리면 이득이므로 시장에 메포가 부족한 이상, 가격은 떡락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메이플 입장에서도 손해입니다. 메포 가격이 높을 때 거래를 해야 적은 메소 공급으로 메포를 많이 소비시키니까요. 이것 말고도 템값이 갑자기 반토막이 나버려서 유저들이 엄청나게 항의를 하니 막으려는 의지를 보이는것도 중요하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이플 입장에선 물통거래보다는 게임사와 거래를 하는것이 훨씬 이득이고, 골드 주화 관련된 컨텐츠를 낼수록 메포를 훨씬 많이 얻기 때문에, 결국에는 1333원으로 수렴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a) 1333원으로 수렴하는 것을 막으려면?
1. 시장 메포 공급량을 늘리면 됩니다. 즉, 게임사에 돈 써서 메포 가격 유지를 해야 합니다.
2. 앞으로 추가될 메포 소비 컨텐츠를 줄여야 합니다. 시장에 있는 메포가 줄어들면 가격 떡락은 기정사실이니까요.
3. 뉴비를 끌어모아서 현질하게 만들면 됩니다. 뉴비가 현질을 많이 할 수록 메포 가격 유지가 훨씬 쉬워집니다.
좋은 의견이나 반박 환영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